$\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 첨가에 따른 함수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Addition of Surfactant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9 no.2, 2015년, pp.79 - 83  

김남균 (인천대학교 대학원) ,  이동호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사고는 그 충격과 영향이 업무중단 및 기업의 존폐를 좌우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재난 유형이다. 따라서 사전 예방, 대비는 물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저탄장 및 합판 가공 산업 분야 등에서는 다공성 가연물의 저장이 불가피하다. 다공성 가연물 저장 공간의 화재는 그 특성상 발화시점의 파악 및 초기진압이 어려우며, 초동 대처에 실패할 경우 표면화재에서 심부화재로 이어져 2차 화재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심부화재는 다량의 독성가스발생과 재발화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다공성 가연물을 취급하는 저장공간을 중심으로 피해경감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침윤소화약제 사용 시 다공성 물질의 심부화재 소화 효율 증대에 관한 기초 연구로써,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침투성능의 향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다공성 물질은 국내 사용 목재의 75%를 점유하고 있는 뉴질랜드산 소나무의 원목 목분을 사용하였다. 소화용수는 침윤소화약제에 사용되고 있는 Butyl Di Glycol (BDG)을 선택하여 농도에 따른 표면장력별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NFPA 18의 Deep-Seated Fire Test를 기초로 수행하였으며, 살수량과 다공성 물질 내부로의 침투량, 다공성 물질 외부로의 배출량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른 표면장력이 감소함에 따라 거시적 침투속도는 감소하나 다공성 물질 내부로의 침투량은 증대되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re accident is a representative type of disaster that can largely impact on business. Therefore, precautionary measures and rapid initial response is very important when a disaster occurs. The storage of porous combustibles is inevitable in coal yard, plywood processing industry, and other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만을 첨가시킨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동일 다공성 물질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침투 및 소화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은 축소모형 실험장치로 심부화재 소화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침투량과 배출량을 측정함으로써 다공성 물질 내부 함수율을 도출하여 계면활성제의 첨가율에 따른 침투성능의 향상도를 확인하였다.
  • 실험은 축소모형 실험장치로 심부화재 소화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침투량과 배출량을 측정함으로써 다공성 물질 내부 함수율을 도출하여 계면활성제의 첨가율에 따른 침투성능의 향상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심부화재의 조기진압을 위한 침윤소화약제의 연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침투성능 연구에 대한 결과 중 표면장력이 낮아지면 증가하는 것은 무엇인가? 실험은 NFPA 18의 Deep-Seated Fire Test를 기초로 수행하였으며, 살수량과 다공성 물질 내부로의 침투량, 다공성 물질 외부로의 배출량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른 표면장력이 감소함에 따라 거시적 침투속도는 감소하나 다공성 물질 내부로의 침투량은 증대되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다공성 가연물 저장 공간의 화재 초기진압을 못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현재 운용되고 있는 저탄장 및 합판 가공 산업 분야 등에서는 다공성 가연물의 저장이 불가피하다. 다공성 가연물 저장 공간의 화재는 그 특성상 발화시점의 파악 및 초기진압이 어려우며, 초동 대처에 실패할 경우 표면화재에서 심부화재로 이어져 2차 화재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심부화재는 다량의 독성가스발생과 재발화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다공성 가연물을 취급하는 저장공간을 중심으로 피해경감 대책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 Statistical Yearbook", Korea (2013). 

  2. S. C. Sin, B. W. Chun, Y. J. Kim, K. S. Kim, D. H. Choi and K. H. Kim, "Efficient Identification of Victim by Genotyping of Personal Articles from Chungdo Fire Accident", Korean Journal of Forensic Science, Vol. 5, No. 3, pp. 186-192 (2004). 

  3. Fire Prevention Division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Carbon Dioxide Extinguishing of Safety Standards (NFSC 106)", NEMA Notice No. 2012- 122 (2012). 

  4. I. C. Kong, I. K. Park, K. B. Lim and D. H. Rie. "A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Water that Penetrates Wood Flour due to Changes of concentration of BD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8, No. 3, pp. 74- 79 (2013). 

  5. N. K. Kim, K. B. Lim and D. H. Rie, "A Study on Surface Absorption Dynamic Mechanism Due to the Addition of a Surfactant in Cellulosic Combustib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6, pp. 223-229 (2012). 

  6.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2, "Standard on Carbon Dioxide Extinguishing Systems" (2005). 

  7. J. L. Torero and A. C. Fernandez-Pello, "Natural Convection Smolder of Polyurethane Foam, Upward Propagation", Fire Safety Journal, Vol. 24, No. 1, pp. 35-52 (1995). 

  8. K. N. Palmer, "Smouldering Combustion in Dusts and Fibrous Materials", Combustion and Flame, Vol. 1, No. 2, pp. 139-154 (1957). 

  9. J. S. Kim and D. H. Rie, "Downward Smoldering Fire Characteristics of Wood Chips and Wood Flour", Journal of KOSHAM, Vol. 13, No. 1, pp. 269-274 (2013). 

  10. N. K. Kim, K. B. Lim and D. H. Rie, "Validity Analysis of Scale Model Experiment for Wetting Agent Performance Evaluatio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2, pp. 14-19 (2014). 

  11. N. K. Kim, K. B. Lim and D. H. Rie, "Wetting Agent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Scale Mode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2, pp. 20-25 (2014). 

  12. Y. S. Kim, "A Study on the Explosion Efficiency And Risk Assessment of Combustible Wood Dust by Using the Cone Calorimeter", University of Inchoen of Master's Thesis (2012). 

  13. W. T. Simpson, "Drying and Control of Moisture and Dimensional Changes", Wood Handbook - 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Forest Product Laboratory U.S.D.A forest Service Madison, Wisconsin, Chapter 12, pp. 1-21 (1987). 

  14.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8, "Standard on Wetting Agents"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