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소 독성 기반 우레탄 화재의 위험성 평가 연구
A Research of Risk Assessment for Urethane Fire Based on Fire Toxicity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9 no.2, 2015년, pp.73 - 78  

김성수 (인천대학교 대학원) ,  조남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센터) ,  이동호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스크 관리 대상 중 화재는 대형재해임과 동시에 물적 인적 손실을 동반하는 고위험군 항목에 속한다. 따라서 재난안전관리에서는 실천적 측면에서의 화재예방활동과 발생 가능한 화재위험성 예측, 화재 피해 최소화를 위한 안전관리비용 투자가 요구되며 인적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스 유해성 시험(KS F 2271)기반 연소 독성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화재위험성평가 기법의 기초 데이터 확보를 위한 연구로, 두께 5~25 mm의 우레탄 시료를 대상으로 가스 유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동물에 노출되는 연소생성물은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로 분석하여 ISO 13344의 연소독성지수 Lethal Fractional Effective Dose ($L_{FED}$)를 산출하였다. 또한, $L_{FED}$에 기초하여 시료의 Lethal Concentration 50% ($LC_{50}$)을 산정한 결과, 일정치 이상의 화재하중을 가지는 우레탄 시료의 $LC_{50}$$118{\sim}129g/m^3$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해당 기법이 우레탄 화재 위험성 분석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본 기법의 적용으로부터 유해가스에 의한 인적피해 예측을 기반으로한 건축물 안전 확보 차원의 전략적 투자확대의 자료로 활용 가능케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re in the risk management subject belongs to high risk disaster which accompanies personnel and materiel loss. So,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s required to include fire prevention activities, fire risk prediction and investment of safety management expense. Combustion toxicity is requi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관리에 적용 가능한 정량적 화재 위험성 평가 기법의 기초데이터 확보를 위하여, KS F2271 가스 유해성 시험을 화재모델로 설정하고, 두께별로 재단된 우레탄 시료의 연소생성물을 실험동물에 노출시키는 실험을 실시함과 동시에 ISO 19702에 따른 연소가스의 정량 ·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현대의 건축자재의 특성상 화재성장률과 연소생성물의 발생량 증가로 위험도는 비례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대비되는 독성분석 기법의 가설은 고분자재료에 새로운 연소 생성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생성물이 매우 높은 독성을 가질 수 있다는 이론에 기초한다. 이러한 견해는 인(P)계통 난연재료를 함유하고 있는 폴리우레탄폼과 PTFE 등의 물질에서 매우 높은 독성을 갖는 연소생성물이 발생된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auberghe Verolien, "Fear, Threat and Efficacy in Threat Appeals: Message Involvement as a Key Mediator to Message Acceptanc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1, No. 2, pp. 276-285 (2008). 

  2. J. H. Petajan and K. L. Voorhees, "Extreme Toxicity from Combustion Products of a Fire-retarded Polyurethane Foam", Science, Vol. 187, No. 4178, pp. 742-744 (1975). 

  3. B. C. Levin and A. J. Fowell, "Further Development of a Test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the Acute Inhalation Toxicity of Combustion Products", Technical Report, NBSIR 82-2532,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Wanshington, DC (1982). 

  4. C. J. Hilado "Relative Toxicity of Pyrolysis Products from Upholstery Fabrics: Effects of Fabric Variables and Test Conditions", The Journal of Combustion Toxicology, Vol. 4, No. 3, pp. 393-414 (1977). 

  5.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ion, NFPA (2002). 

  6. D. A. Purser, "The Incapacitative Effects of Exposure to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ducts of Polyurethane Foams", Fire and Materials, Vol. 8, Issue 1, March, pp. 10-16 (1984). 

  7.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ct 2012-624, Fire Retardant Performance Standard of Interior Finishes (2011). 

  8. KS F 2271: Testing method for incombustibility of internal finish material and element of buildings. 

  9. KS F ISO 5660-1: Reaction-to-fire tests -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10. KS F ISO 1182: Reaction to fire tests for products -- Non-combustibility test. 

  11. ISO 19702: 2006 "Toxicity testing of fire effluents - guidance for analysis of gases and vapours in fire effluents using FT-IR gas analysis". 

  12. D. A. Purser, "Bioassay Model for Testing the Incapacitating Effects of Exposure to Combustion Product Atmospheres Using Cynomolgus Monkeys", Journal of Fire Sciences, Vol. 24, No. 1, pp. 20-36 (1984). 

  13. U. C. Luft, Handbook of Physiology, American Physiology Society, Washington, DC (1965). 

  14. ISO 13344: 2004 "Estimation of the lethal toxic potency of fire effluents". 

  15. Life Safety Code Handbook. 

  16. R. Cote, "Life Safety Code Handbook", NFPA. 

  17. S. S. Kim "A Research of Grain Size Analysis of Particulate Matter in Fire Efflu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8, No. 6, pp. 1-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