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R&D 이전기술의 사업화 성공요인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Commercialization Success Factors of Transfer Technology from Public R & D and Enhancing Performance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8 no.1, 2015년, pp.28 - 48  

박지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과학기술정책) ,  윤수진 (한국과학기술원 기술경영) ,  박범수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 R&D 연구기관은 기업에게 좋은 기술공급처다. 그러나 낮은 사업화 성공률은 기업에게 고민꺼리다. 어떤 기술을 이전 받을 때 사업화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한국의 IT기술분야 공공R&D 기관을 대상으로 이전기술의 사업화 성공요인을 로지스틱으로 회귀분석했다. 분석 결과, 이전기술이 기업의 기존보유 제품과 연계성이 높고, 기술적 호환성이 높을수록 사업화 성공률이 높았다. 반면, 예상과는 달리 이전받을 기술의 개발과정에 기업이 공동연구로 참여한 경우보다는 독립적으로 기술이전 받을 때 오히려 상용화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전기술의 완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ublic R & D institutions report to verify what the impact factors on the course of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based on technology companies who previously received prior to the developed technology, what policies and plans for the next requirements based on this by offering the i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IT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인 A출연(연)의 기술이전 및 상용화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공공R&D기관에서 개발되어 이전된 기술의 상용화 성공요인을 실증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IT 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인 A출연(연)의 기술이전 및 상용화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공공R&D기관에서 개발되어 이전된 기술의 사업화 성공요인을 실증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R&D과정에의 기업참여 유무는 사업화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사업화를 하고자 하는 대상기술이 기존 제품과 기술연계성이 높을 때 사업화 성공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기업의 R&D인력의 규모가 클수록 기술사업화 결과에 긍정적이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4 : 이전기술의 완성도가 높을수록 사업화 성공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5 : 기업보유기술과 호환성이 높을수록 사업화 성공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것이다.
  • R&D 기업 참여여부는 기업이 이전기술의 R&D에 참여한 건은 1을 부여하고, 그렇지 않은 건은 2를 부여하였다. 기술개발 과정에 참여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기술이전 후 사업화 가능성이 높아질 것을 가정하고 변수에 포함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종갑(2005)는 기술이전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세 가지를 무엇으로 제시하였는가? 김종갑(2005)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공공기술 이전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 및 대학보유 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공부문의 기술이 민간부문으로 이전될 때 그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 분석하였다. 기술이전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기술적 특성, 기술이전 과정, 기술이전 받는 기업의 특성 세 가지로 크게 제시하였다. 기술특성으로는 필요성, 연관성, 기술유형을 제시하였고 기술이전 과정으로는 정부의 공급관리, 기업의 수요관리, 정부의 이전비용 지원, 이전 속도를, 마지막으로 기술수요 기업의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기업규모, 시장 지배력, 기술역량, 과거의 유사경험을 제시하였다.
서유화(2007)은 중소벤처기업 상용화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무엇으로 구분하였는가? 서유화(2007)는 CT(Culture Technology)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요인과 기술상용화 성패관계에 대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상용화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기술적 요인과 비 기술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기술적 요인은 기술개발비용, 기술경험축적, 기술 집중도, 기술력으로 구분하였고, 비 기술적 요인은 기업규모, 개발환경으로 구분하여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 기술적 요인 중 기술경험축적이 상용화 성공 가능성을 가장 크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별되었다.
국내에서는 사업화란 무엇으로 규정하고있는가? 기술사업화에 대한 정의는 국・내외에 다양하게 내려져 왔다. 우선 국내에서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3에서 ‘사업화란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을 개발 생산 또는 판매하거나 그 과정의 관련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최종인 등(2012)은 개발된 기술을 제품으로 연결하여 시장에서 팔리도록 만드는 일련의 과정이라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김경환.현선해.최영진 (2006),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자원요인 탐색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5(3): 151-163. 

  2. 김광석.정호진.장용재 (2012), "기술사업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자동차산업을 바탕으로", 기술혁신연구 20(1): 235-262. 

  3. 김선우.이장재 (2007), "연구개발팀의 성과를 결정짓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출연연구기관 프로젝트 팀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년 추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243-257. 

  4. 김영조 (2005), "기술협력 활동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 흡수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4(5): 1366-1390. 

  5. 김순위.정동빈.박영술 (2009),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서울: 한나래. 

  6. 김태현 (2006),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과정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권오상.한귀덕 (2014), "농림기술개발사업의 기술이전 성과 결정요인 분석", 농촌경제, 29(3): 51-65. 

  8. 동아일보, "한국 국가경쟁력 26위, 경제성과는 좋지만...", 2014.05.22. 

  9. 미래창조과학부 (2014), "R&D성과확산을 위한 기술 사업화 추진 계획(안)". 

  10. 미래창조과학부 (2013), "2013년 과학기술통계백서". 

  11. 박순철.양동우 (2010), "기술평가지표와 기술 사업화 성패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한국산 업은행의 초기기술 사업화투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3(1): 41-63. 

  12. 박지원 (2015), "기술흡수역량과 기술특성이 기술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산업통상자원부 (2014),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14. 신용세.하규수 (2012), "기술경영능력이 기술 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10(8): 97-110. 

  15. 이성근.안성조.이관률 (2008), "기술이전성과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이전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3): 31-50. 

  16. 이선영.서상혁 (2011), "정부지원 중소기업 기술협력사업의 성과판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14(3): 664-688. 

  17. 이영덕 (2004), "정보통신기술의 사업화 성공 요인 분석", 기술혁신연구 12(3): 259-276. 

  18. 이종민.노민선.정선양 (2013), "중소기업의 기술기획 역량이 기술 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21(1): 253-278. 

  19. 이종민.정선양 (2011), "중소기업의 기술 사업화 성공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R&D 기획역량 혁신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5-184. 

  20. 이철주.이강택.신준석 (2012), "정부지원 중소기업 R&D 프로젝트의 사업화 성과 영향요인 분석: 인증과 특허의 영향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20(3): 229-253. 

  21. 이학식.임지훈 (2008), "SPSS 14.0 매뉴얼", 경기: 법문사. 

  22. 이헌동.김정봉 (2008), "수산연구개발사업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특수사업을 중심으로", 해양정책연구, 23(2): 105-134. 

  23. 양영석.최종인 (2010), "공공 R&D 기관의 효과적인 기술 사업화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1): 287-294. 

  24. 장성근.신영수.정해혁, R&D투자 (2009), "기술경영능력, 기업성과간의 관계", 경영학연구, 38(1): 105-132. 

  25. 정진화.노재선.조현정 (2008), "농업연구개발의 기술적 성과 결정요인: 농촌진흥청 연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농업경제연구, 49(2): 73-98. 

  26. 정형식.김영심.염승엽 (2008), "산학간 협동방식에 대한 지각된 GAP이 공동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2008년 통합학술대회, 1-16. 

  27. 정동원.한종호 (2013), "IT산업의 생산이 대구.경북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연구, 12(2): 173-182. 

  28. 조현정 (2012), "자원기반 관점에서 본 대학의 기술 사업화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지식재산연구, 7(3): 217-245. 

  29. 최영훈.이장재 (2003), "중소기업기술이전의 성공 요인 : 한국의 기술이전정책에 주는 의미", 한국행정학회 2003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0. 추정엽 (2014), "국내 ICT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지원사업의 기술준비도(TRL)단계 변화유형별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7(4): 1563-1592. 

  3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2), "기술이전사업화 통계조사 분석 자료집". 

  3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 "산업기술생태계 관점에서 본 기술이전사업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3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08), "산업분야별 TRL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34. NTIS (2013), "과학기술통계서비스-IMD 국제경쟁력 평가". 

  35. Barney, J. B. (1991), "Firm Resource ana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7: 99-120. 

  36. Bozeman, B. and Coker, K. (1992), "Assessing the Effective of Technology Transfer from US Government R&D Labortories: The Impact of Market Orientation", Technovation, 12: 239-255. 

  37. Brown, M. A., Berry, L. G. and Goel, R. K. (1991), "Guidelines for Successfully Transferring Government-Sponsored Innovations", Research Policy, 20(2): 121-143. 

  38. Chia-Ying Li (2012),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Moderating Roles of Technological Turbulence and Ontegration",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6(1): 370-387. 

  39. Choi, Jong-In, Hong, Kil-Pyo, Jang, Seung-Kwon and Bae, Yong-Gug (2012),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 A Case of the KAERI's Hemo Him",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12): 129-140. 

  40. Dill. D. D. (1995), "University-industry Enterpreneurship :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American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Units", Higher Education, 29: 369-384. 

  41. Dewan, S. and Kraemer, KL. (2000),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oductivity : Evience from Country-Level Data", Management Science, 26(4): 548-562. 

  42. Ettlie, J. E. (1982), "The Commercialization of Federally Sponsored Technological Innovations", Research Policy, 11(3): 173-192. 

  43. Gilsing, V., Bekkers, R., Freitas, I. M. B. and Steen, M. (2011), "Differences in Technology Transfer between Science-based and Development-based Industries: Transfer Mechanisms and Barriers", Technovation, 31(12): 638-647. 

  44. Goel, R. K. et al. (1991), "Guidelines for Successfully Transferring Goverment-Sponsored Innovations", Research Policy, 20: 121-143. 

  45. Chesbrough, H. (2003), "The Logic of Open Innovation: Managing Intellectual Propert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5(3): 33-58. 

  46. Lee, J. and Win, H. N. (1996), "Technology Transfer and Research University: A Search for the Boundarie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25: 843-863. 

  47. Jolly, V. K. (1997), Commercializing New Technologies, Cambri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48. Holger, K. and Michael, D. (2004), "Licensing as a Commercialization Strategy for New Technology-Based Firms", Research Policy, 33: 1141-751. 

  49. Lockett, A. and Wright, M. (2005), "Resources, Capabilities, Risk Capital and the Creation of University Spin-out Companies", Research Policy, 34(7): 1043-1057. 

  50. Mitchell, W. and Singh, K. (1996), "Survival of Business Us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o Commercialize Complex Good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 17(3): 169-195. 

  51. McEachron, N. B. (1978), Management of Federal R&D for Commercialization, Executive Summary and Final Report, CA:SRI International. 

  52. Nikulainen, T. and Palmberg, C. (2010), "Transferring Science-based Technologies to Industry-Does Nanotechnology Make a Difference?", Technovation, 30(1): 3-11. 

  53. OECD (2013), OECD Science, Technology & Industry Scoreboard. 

  54. Saavedra, P. and Bozeman, B. (2004), "The "Gradient effect" in Federal Laboratory-Industry Technology Transfer Partnership", 32(2): 235-252. 

  55. Shefer, D. and Frenkel, A. (2005), "R&D, Firm Size and Innovation: An Empirical Analysis", Technovation, 25(1): 25-32. 

  56. Thursby, J. G. and Kemp, S. (2002), "Growth and Productive Efficency of University Intellectual Propetty Licensing", Research policy, 31(1): 109-124. 

  57. Thursby, J. and Thursby, M. (2000), "Industry Perspectives on Licensing University Technologies : Sources and Problems",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University Technology Managers, 12: 9-22. 

  58. White, M. A. and Bruton, G. D. (2011),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 A Strategy Approach, South Western Educational Publishing. 

  59. Wang, M. et al. (2003), Technology Transfer of Federally Funded R&D, In conference proceedings: Perspectives from a forum, Prepared for the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60. Wonglimpiyarat, J. (2010),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of Technology: Lessons from Silicon Valley",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35(2): 225-236. 

  61. Zahra, S. A. and Bogner, W. C. (2000), "Technology Strategy and Software New Ventures Performance :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petitive Environment",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5(2): 135-73. 

  62. Zapata (2009), TEC Algorithm Training Course, NC State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