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분자 첨가 장어 데리야끼 소스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el Teriyaki Sauce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2, 2015년, pp.287 - 299  

성기협 (대림대학교 호텔조리과) ,  정장호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ctivity of factory eel teriyaki sauce with bokbunja was investigated by functional analysis. Sugar content analysis of eel teriyaki sauce-free with bokbunja showed fructose and glucose but not maltose. Anthocyanin content of eel teriyaki sauce with bokbunja juice concentrate was 40%. D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어 데리야끼 소스 제조 시 복분자를 즙, 분말,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하여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있는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복분자 첨가장어 데리야끼 소스의 상품화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HPLC를 이용한 유리당 분석은 sucrose와 maltose는 복분자 어느 형태에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복분자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이었다.
  • 장어 데리야끼 소스에서도 데리야끼 소스를 이용한 제품응용성에 관한 연구(Park et al 2006), 석류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 품질특성(Sung & Ko 2010) 등 건강기능성에 대한 연구 및 제품이 출시 개발되고 있지만, 우수한 생리활성과 기능성을 가진 복분자를 이용한 장어 데리야끼 소스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효과가 높으며, 균형적인 영양을 가지고 있는 장어구이에 적합한 복분자를 즙, 분말,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하여 장어 데리야끼 소스를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기능성 성분인 총 페놀 함량과 안토시아닌을 분석하여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있는 우수한 장어 데리야끼 소스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복분자 첨가 장어 데리야끼 소스의 상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Values are mea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nthocyanin은 어떤 색소인가? 복분자의 주요 색소는 anthocyanin, carotene, ellagic acid, polyphenol, quercetin 등 여러 가지가 존재하는데, 그 중 붉은색 색소는 anthocyanin이라고 보고하였다(Bai SK 2006). An- thocyanin은 식물체에서 존재하는 청색, 자색 및 적색을 나타내는 수용성 색소이며, 자연에서 많은 양과 다양한 종류가 있고, 자․적색의 천연색소로서 많은 이용가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Francis FJ 1989). Anthocyanin 색소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복분자의 당류이며, 이러한 복분자 당류의작용으로 anthocyanin 색소가 분해를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Choi et al 2005).
복분자딸기의 원산지는?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uel)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성 관목으로 높이 3 m이며, 중국이 원산지이고,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미국 등의 1,000 m 아래 산기슭의 볕이 드는 곳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학명은 Rubus coreanus Miquel, 영명은 Korean raspberry, Korean bramble, 한자명은복분자(覆盆子), 교맥포자(蕎麥抛子), 마루(馬瘻), 목매(木梅)이다(RDA 2003).
복분자의 주요 색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복분자의 주요 색소는 anthocyanin, carotene, ellagic acid, polyphenol, quercetin 등 여러 가지가 존재하는데, 그 중 붉은색 색소는 anthocyanin이라고 보고하였다(Bai SK 2006). An- thocyanin은 식물체에서 존재하는 청색, 자색 및 적색을 나타내는 수용성 색소이며, 자연에서 많은 양과 다양한 종류가 있고, 자․적색의 천연색소로서 많은 이용가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Francis FJ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 Wiley and Sons, New York. pp 176-180. 

  2. Bai SK (2006)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 dy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J Korean Soc Cloth Ind 8: 476-480. 

  3. Cha HS, Lee MK, Hwang JB, Park MS, Park KM (2001a)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1-1025. 

  4. Cha HS, Park MS, Park KM (2001b)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5. Cha JY, Kim HJ, Chung JH, Cho YS (1999) Antioxidan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310-1315. 

  6. Cho YJ, Chun SS, Kwon HJ, Kim JH, Yoon SJ, Lee KH (2005)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between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okbunja(Rubus coreanus 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90-796. 

  7. Choi HS, Kim MK, Park HS, Shin DH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Rubus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4-578. 

  8. Choi JS, Hwang JK, Kim JT, Lee DS (199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past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Korean J Nutr Food 21: 83-83. 

  9. Fennema OR, Chang WH, Lii CY (1986) Role of Chemistry in the Quality of Processed Food. Food & Nutrition Press Inc. Westport. CT. USA. 127-141. 

  10. Francis FJ (1989) Food colorants: Anthocyanuns. Food Sci Nutr 28: 273-314. 

  11. Kim HK, Joo KJ (2005) Antioxidative capacity 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methanol extract from Zizyphus juju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50-754. 

  12. Kim JM (2008)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fruits and identification of its anthocyanin.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u. p 36-43. 

  13. Kim KH, Lee YA, Lee DI, Choi YW, Kim HH, Lee MW (2000) Antioxidative activity of tannins from Rubus coreanus. Yukhak Hoeji 44: 354-357. 

  14. Kuhnau J (1976) The fi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World Rev Nutr Diet 24: 117-120. 

  15. Lee KC, Yoon TH (2006) A study on developing the olive-oil liaison to accommodate wide-spread well-being trend. Korean J Culinary Research 12: 80-96. 

  16. Lee HJ, Choi EY, Sim YJ, Kim OS, Yoo HJ, Do WN, Kim YH (2009) Anthocyanin-contents and pigment stability of black soybean by different extract condition and stabiliz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150-157. 

  17. Lee JH, Hwang H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with Rubus coreanus Miquel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2: 195-205. 

  18. Lee JH, Woo KJ, Choi WS, Kim AJ, Kim M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di 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629-636. 

  19. Lee JW, Do JH (2000)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 of Rubus coreanus and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43-947. 

  20. Lee MK, Lee HS, Choi GP, Oh DH, Kim JD, Yu CY, Lee HY (2003)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5-12. 

  21. Lee MW (1995) Phenolic compound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s. Yakhak Hoeii 3p: 39-46. 

  22. Lee YA, Lee MW (1995) Tannins from Rubus coreanus. Korean J Pharmacogn 26: 27-30. 

  23.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 of Opuntia ficucc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24. Markakis P (1974) Anthocyanin and their stability in foods. Crit Rev Food Technol 4: 437-456. 

  25. Pang KC, Kim MS, Lee MW (1996) Hydrolyzable tannins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Korean J pharmcogn 27: 366-370. 

  26. Park HN, Kang OK, Moon WS (2006) Ingredient preservation in the practical manufacture of teriyaki sau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11-121. 

  27. Park JM, Joo KJ (1982)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from juice of raspberries. Korean J Nutr Food 11: 67-74. 

  28. Park IK, Kim KS, Lee MS, Kim MH, Kim SD (1994a) Change in quality of strawberry during circulation by the refrigerate cas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1: 45-53. 

  29. Park SJ, Lee JH, Rhim JH, Kwon KS, Jang HG, Yu MY (1994b) The change of anthocyanin and spreadmeter value of strawberry jam by heating and preservation. Korean J Food Sci Tech 26: 365-369. 

  30. Park YK, Choi SH, Kim SH, Jang YS, Han JG, Chung HG (2008)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n Wood Sci. Technol 36: 102-109. 

  3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Development of wild grape and fruit wine bokbunja. 10-15. 

  32. SAS (1988)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6.03, SAS Institute, Cary. NC. 

  33. Shin KS, Park PJ, Boo HO, Ko JY, Han SS (2003) Chemical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fruit of natural bogbunga. Korean J Plant Res 16: 109-117. 

  34. Simon PW, Peterson CE, Lindsay RC (1980) Genetic and envi- ronmental influence on carrot flavor. J Am Soc Hort Sci 105: 416-423. 

  35. Slinkard K, Singleton VL (1977) Total phenol analysis :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 Am Ecol Vitic 28: 49-56. 

  36. Sung KH, Ko SH (2010) A study development of teriyaki sauce with added pomegranate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39-444. 

  37. Yoon I, Cho JY, Kuk JH, Wee JH, Jang MY, Ahn TH, Park KH (2002) In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98-904. 

  38. Yoon SR, Jeong YJ, Lee GD, Kwon JH (2003a) Changes in phenolic compounds properties of Rubi fructus extract depending extrac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38-345. 

  39. Yoon I, Wee JH, Moon JH, Ahn TH, Park KH (2003b)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quercetin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9-5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