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막장의 맛 성분에 관한 연구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ree Sugar, Organic Acid and Free Amino Acid in Commercial Makjang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2, 2015년, pp.326 - 332  

전소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혜련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정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수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보담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kjang is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short-term fermented soybean pas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ree amino acids as well as microbial counts of six kinds of Makjang. Commercial Makjang from different regions (Kangwon-do, Cho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조법이 제대로 전수되지 않아 품질의 규격화가 미흡하여 생산지역에 따라 제조방법과 맛의 차이가 다양한 막장의 표준화를 위해 막장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고품질 상품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막장의 중요한 맛 성분인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등의 정량검사와 관능 검사를 통해 전통 식품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Means with a same letter in a colum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별미장 중 막장이란? 별미장은 메주를 변형된 방식으로 띄우거나 대두 이외의 부재료로 특별한 맛을 낸 장 또는 별미로 담아 먹는 단기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속성장이라 표현하기도 하며(Yoon SS 1984), 장 맛과 숙성기간에 따라 시금장, 무장, 찌엄장, 집장, 깻묵장, 막장 등 138가지로 분류하여, 지역에 따라 각종 특산물을 이용한 장류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왔다(Kim et al 2012). 여러 가지 별미장 중 막장은 단기간 발효시켜 먹는 속성장으로, 사전적 의미는 ‘허드레로 먹기 위하여 간단하게 담근 된장’으로 막장 제조 시 장 담글 때 쓰는 메주를 쓰기도 하고, 메주콩에다 여러 가지 곡류를 넣어 찐 후 띄운 막장 전용 메주를 사용하기도 하며, 메주 가루를 버무릴 때 메주밥, 보리밥, 찹쌀밥 등을 섞어서 담가 찌게나 국 등으로 즐겨먹는 별 미장이다(Yoo et al 2003).
별미장이란? 별미장은 메주를 변형된 방식으로 띄우거나 대두 이외의 부재료로 특별한 맛을 낸 장 또는 별미로 담아 먹는 단기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속성장이라 표현하기도 하며(Yoon SS 1984), 장 맛과 숙성기간에 따라 시금장, 무장, 찌엄장, 집장, 깻묵장, 막장 등 138가지로 분류하여, 지역에 따라 각종 특산물을 이용한 장류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왔다(Kim et al 2012). 여러 가지 별미장 중 막장은 단기간 발효시켜 먹는 속성장으로, 사전적 의미는 ‘허드레로 먹기 위하여 간단하게 담근 된장’으로 막장 제조 시 장 담글 때 쓰는 메주를 쓰기도 하고, 메주콩에다 여러 가지 곡류를 넣어 찐 후 띄운 막장 전용 메주를 사용하기도 하며, 메주 가루를 버무릴 때 메주밥, 보리밥, 찹쌀밥 등을 섞어서 담가 찌게나 국 등으로 즐겨먹는 별 미장이다(Yoo et al 2003).
별미장 중 막장에 대한 고문헌 기록은? 고문헌을 통해 나타난 막장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 15가지의 장 중 막장 또는 묽은 장을 의미하는 만장(滿醬), 염장, 뒤집은 장을 의미하는 수장, 장국이 대표적인 장으로 기록이 남아있지만, 조리서는 전해지지 않아 조리법은 알 수 없다 (Ann & Woo2012). 조선시대에는 막장이라는 표현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고, 다만, 음식디미방에 막장으로 보이는 장이 음식의 조미료로 이용된 기록이 보인다. 막장은 주로,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지역에서 국이나 찌개, 쌈장으로 즐겨 먹던 장으로, 지방마다 원료의 종류, 발효, 숙성조건이 달라, 모양, 색, 맛 등 품질이 다르다(Kim & Lee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n YG, Woo N (2012) Study on the classified Jang(fermented soybean) in Goryeo and Chosun dynasty period. Korean J Food Nutr 25: 460-482. 

  2. Hwang JH, Oh YS, Lim JH, Park JE, Kim MB, Yoon HS, Lim SB (2009)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ju traditional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56-1663. 

  3. Jang BR (2008) A comparative study on properties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commercial soybean paste. Hangyang University, Seoul. pp40-41. 

  4. Jeong JH, Kim JS, Lee SD, Choi SH, Oh MJ (1998) Studies o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15. 

  5. Joo HK, Oh KT, Kim DH (1992) Effects of mixture of improved meju, Korean traditional meju and natto on soybean paste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 286-293. 

  6. Jung BM, Roh SB (2004)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32-139. 

  7. Kim BS, Rhee CH, Hong YA, Woo CH, Jang CM, Kim YB, Park HD (2007) Changes of en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p. SP-KSW3. Korean J Food Preserv 14: 545-551. 

  8. Kim DH, Kim SH (1999)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ereals fermented with Mucor and Rhizop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76-182. 

  9. Kim HJ, Sohn KH, Chae SH, Kwak TK, Yim SK (2002) Brown color characteristics and antioxidizing activity of doenjang extracts. Korean J Food Cook Sci 18: 644-654. 

  10. Kim HY, Hwang IG, Yoo SM, Hwang Y, Cha SM, Kim H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ercial Jeupjang.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1: 571-579. 

  11. Kim JY, Lee SY, Park NY, Choi H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oybean paste (Daemae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HJ18-4.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43-749. 

  12. Kim SM, Lee CJ (2004) A study on manufacturing of Korean sauce described in "Jeungbosallimgyeongj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175-186. 

  13.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004)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ueon, Korea. pp. 176. 

  14. Kwon SH, Shon MY (2004)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s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during maturation periods. Korean J Food Preserv 11: 461-467. 

  15. Lee HT, Kim JH, Lee SS (2009)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between soybean pastes adding sword bean and general soybean pastes. J Fd Hyg Safety 24: 94-101. 

  16. Lee NS, Oh NS (1996) Characteristics of yeast flora and gas generation during fermentation of Doenjang. Agric Chem Biotechnol 39: 255-259. 

  17. Park JS, Lee MY, Lee TS (1995)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 bean paste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917-924. 

  18. Yang SH, Choi MR, Kim JK, Chung YG (1992) Characteristics of the taste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Nutr 21: 443-448. 

  19. Wilson AM, Work TM (1981)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and sucrose in potatose. J Food Sci 46: 300-330. 

  20. Woo KS, Yu SM, Im SK, Chun HK, Kwon OC, Lee JS (2004) Changes in aroma compounds of several Byeolmijang during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989-1997. 

  21. Yoo SM, Kim hr, Kim JS, Kim TY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pjang and Makjang using different starch sources. Korea Soybean Digest 20: 57-64. 

  22. Yoon SS. 1984. Korean Food History and Cooking. Suhaksa, Seoul, Korea. pp 5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