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에서 과학으로의 전이학습프로그램의 효과
Influence of transfer learning program from mathematics to scien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8 no.1, 2015년, pp.31 - 44  

성창근 (영천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서 학습한 지식을 과학적 개념을 학습하는데 직접 적용해보는 전이학습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수학 교과에서 학습한 비율 개념이 과학 교과의 속력 개념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학생들 스스로 탐구해보는 전이학습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것이 학생들의 비율 개념 이해와 수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이 학습은 학생들의 비율 개념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또한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더욱이 '고정된 비' 수준에 머물러 있던 35명의 학생 중, 17명의 학생이 '내면화된 비' 수준으로 이동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수학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전이 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비율개념이해 수준을 높이고 긍정적인 수학학습 태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는 전이에 성공할 수 있는 인지적 조건을 찾는데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전이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것의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test effect of transfer learning program rather than students' transfer ability. For these purpose, firstly this study design transfer learning program to apply from 'rate concept' in learning math class to 'velocity concept' in science class. Subsequently, this study is to analyz...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이 또는 학습의 전이란 무엇입니까? 전이 또는 학습의 전이는 한 상황에서 습득한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학교에서 학습한 지식을 다른 교과 또는 일상생활에 전이하는 능력은 수학 학습의 중요한 목적이다.
속력과 속도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과학적 관점에서 물체의 속력과 속도는 구별된다. 물체가 운동을 할 때 단위시간에 통과한 경로의 길이만 생각하고 방향을 생각하지 않을 때 속력(speed)이라 하고, 속력의 크기와 방향을 함께 생각하는 양을 속도(velocity)라 한다. 속력은 이동한 거리와 걸린 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므로 초등학생들의 속력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Thomson(1994)은 비 개념의 이해가 3가지 수준을 거쳐 발달한다고 하였는데 3가지 수준이란 무엇입니까? Thomson(1994)은 비 개념의 이해는 3가지 수준을 거쳐 발달한다고 보았다. 즉, 곱셈적인 양의 비교로서의 비, 내면화된 비, 내재화된 비. 이 중 두 번째 수준인 내면화된 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 수학 5-2 교사용 지도서. 서울: 두산동아(주)(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Mathematics teachers' guide 5-2. Seoul: Dong-A Publishing Co.)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초등학교 과학 5-2 교사용 지도서. 서울:(주)금성출판사.(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cience teachers' guide 5-2. Seoul: KumSung Publishing Co.) 

  3. 박희옥.박만구 (2012). 비와 비율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장애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5(2), 159-170.(Park. H. O., & Park, M. G. (2012). An analysis on the epistemological obstacles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learning of ratio and rate.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2), 159-170.) 

  4. 이종희.이진향.김부미 (2003). 중학생들의 유추에 의한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 사상의 명료화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6, 245-267.(Lee, J. H., Lee, J. H., & Kim, B. M. (2003).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analogy.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6, 245-267.) 

  5. 성창근 (2014). 학습 전이에 있어서 유추 거리와 지식의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7(1), 1-16.(Sung, C. K. (2014). Influence of analogy distance and mathematical knowledge in transfer of learning.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7(1), 1-16) 

  6. 장혜원 (2002).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의 값과 비율 개념의 구별에 관한 논의. 학교수학, 4(4), 633-642.(Chang, H. W. (2002). A Discussion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alue of ration' and 'The rat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4(4), 633-642.) 

  7. 정영옥 (2005). 초등학교에서 비와 비례식 지도에 대한 고찰-한국,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논총, 18, 13-28.(Chong, Y. O. (2005). On the reflection of teaching ratio and proportionality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Education Publications, 18. 13-28.) 

  8. 정은실 (2003). 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수학적, 심리적 분석. 학교수학, 13(3), 247-265.(Chung, E, S. (2003). A Historical, mathematical, psychological analysis on ratio concept. School Mathematics, 5(4), 421-440.) 

  9. Barnett, S. M., & Ceci, S. J. (2002). When and where do we apply what we learn? A taxonomy for far transfer. Psychological Bulletin, 128(4), 612-637. 

  10. Bassok, M. (1997). Two types of reliance on correlation between content and structure in reasoning about word problem. In L. D. English(Ed.),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pp. 221-246). Mahwah,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1. Bassok, M., & Holyoak, K. J. (1989). Inter-domain transfer between isomorphic topic in algebra and physic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 Cognition, 15(1). 153-166. 

  12. Bassok, M., & Olseth, K. L. (1995). Object-based representations: Transfer between cases of continuous and discrete models of chang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1(6), 354-367. 

  13. Doerr, H., & English, L. (2003). A Modelling perspective on students' mathematical reasoning about data.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2), 110-136. 

  14. English, L. D. (1997). Children's reasoning process in classifying and solving computational word problem. In L. D. English(Ed.),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pp. 191-22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5. Frue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6. Gay, L. R. (1996).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 Englewood Cliffs, New Jersey: A Simon & Schuster Company. 

  17. Gick, M. L., & Holyoak, K. J. (1983). Schema induction and analogical transfer. Cognitive Psychology, 15, 1-38 

  18. Holyoak, K. J., & Koh, K. (1987). Surface and structural similarity in analogical transfer. Memory & Cognition, 15(4), 332-340. 

  19. Lesh, R., & Sriramna, B. (2005). Mathematics Education as a design science. International Reviews on Mathematical Education, 37(6), 490-505. 

  20. Lobato, J. (2006).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transfer of learning: History, issue, and challenge for future research.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5(4), 431-449. 

  21. Rebello, N. S., Zollman, D. A., Allbaugh, A. R., Engelhardt, P. V., Gray, K. E., Hrepic, Z., et al. (2005). Dynamic transfer: A perspective from physics education research. In J. P. Mestre (Ed.), Transfer of learning from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Greenwich, CT:Information Age Publication Inc. 

  22. Reed, S. K. (1999). Word problems: Research and curriculum reform.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3. Thomson, P. (1994).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peed and its' relation to concept of rate. In G. Herel & J. Confrey(Eds.),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pp. 178-234). Albany, NY: SUN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