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최대 강도 태풍의 북상 경향에 대한 종관분석
Synoptic Analysis on the Trend of Northward Movement of Tropical Cyclone with Maximum Intensit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2, 2015년, pp.171 - 180  

최기선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박기준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김정윤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김백조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풍 발생빈도에서 1999-2013년 동안의 태풍 발생빈도는 1977-1998년 동안의 태풍보다 열대 및 아열대 서태평양의 북서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 1977-1998년 동안의 태풍은 주로 필리핀 동쪽 먼 해상에서 필리핀 및 남중국해를 지나 인도차이나 반도를 향해 서쪽으로 이동하거나 필리핀 동쪽 먼 해상에서 일본 동쪽 먼 해상으로 북상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1999-2013년 동안에 태풍들은 주로 동아시아 중위도 지역으로 북상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1999-2013년 동안의 태풍들이 1977-1998년 동안의 태풍들보다 훨씬 고위도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후자의 기간보다 전자의 기간에 태풍 최대강도가 고위도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기간 사이에 500 hPa 유선에 대한 차에서 $30-50^{\circ}N$에서는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강화되어 있는 반면 남중국해의 북쪽에는 몬순 기압골 아노말리가 위치해 있으며, 이 몬순 기압골 아노말리는 $145^{\circ}E$까지 동쪽으로 확장되어 있었다. 이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와 몬순 기압골 아노말리에 의해 동아시아 중위도 지역은 남동풍 아노말리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 남동풍 아노말리는 태풍들을 동아시아 중위도 지역으로 향하게 하는 지향류 아노말리의 역할을 하게 되어 1999-2013년 동안의 태풍들이 1977-1998년 동안의 태풍들보다 최대 강도의 위도가 증가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garding the tropical cyclone (TC) genesis frequency, TCs between 1999 and 2013 were generated more frequently in the northwest waters of the tropical- and subtropical western North Pacific than TCs between 1977 and 1998. TCs over the period from 1977-1998 showed a northward track trend generated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들 연구에서는 최근 태풍 최대 강도의 북상 경향에 대한 종관환경장의 분석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최근 태풍 최대강도 위치의 북상 경향을 파악하고, 이의 원인이 되는 종관환경장의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단순히 최근의 태풍 최대강도의 위도가 좀 더 증가할 수 있는 배경장을 분석하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하여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연구가 추가될 것이다.
  • 이 연구는 최근에 태풍 최대강도의 위도가 증가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두 기간 사이에 종관환경에 대한 차를 분석하였다. 먼저 두 기간 사이에 500 hPa 유선에 대한 차에서 30-50o N에서는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강화되어 있는 반면 남중국해의 북쪽 해역에서는 몬순 기압골 아노말리가 위치해 있으며 이 몬순 기압골 아노말리는 145o E까지 동쪽으로 확장되어 있다(Fig.

가설 설정

  • 3, bur for (a) outgoing longwave radiation (OLR) and (b) 600 hPa relative humidity. In (b), contour interval is 1% and shaded areas are significant at the 95% confidence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풍 강도의 변화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중 상당수의 태풍들이 한국을 포함하여 북서태평양에 인접해 있는 여러 동아시아 국가에 상륙하여 천문학적 수치의 경제적 피해와 인명피해를 발생시킨다. 특히, 태풍강도는 피해규모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지난 수년간 북서태평양 태풍 강도의 변화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Emanual (2005)을 포함한 몇몇 연구에서는 최근 북서태평양에서 해수면 온도가 상승 함에 따라 태풍 강도 역시 강화되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슈퍼태풍 하이옌의 중심최대풍속은 몇 km였는가? 특히, 2013년 11월 8일 슈퍼태풍 ‘하이옌’이 필리핀 중부 Leyte주를 강타했는데 관측사상 가장 큰 태풍이었다. 태풍의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379 km로나타났으며, 이는 한국을 강타했던 가장 최악의 태풍이었던 ‘매미’의 1.5배였고, 미국의 ‘카트리나’ 보다도 더 큰 슈퍼태풍으로 분석되었다.
하이옌은 필리핀에 어떤 피해를 끼쳤는가? ‘하이옌’은 강한 바람과 6 m 높이의 해일이 필리핀 중부를 휩쓸어 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하였다. 현재까지 확실하지 않지만 이 태풍으로 약 5천명 이상이 사망 및 실종했으며, 약 400만명 이상의 이재민들이 단전, 단수와 식량부족으로 고통을 겪었다. 특히 Tacloban city는 95%가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거대한 쓰레기장으로 변 했다(Yang and Yi, 2013; NOAA,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ove, M.C., Zierden, D.F., and O'Brien J.J., 1998a, Are Gulf landfalling hurricanes getting stronger?.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9, 1327-1328. 

  2. Chan, J.C.L., 2005, Interannual and interdecadal variations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Meteorological and Atmospheric Physics, 89, 143-152. 

  3. Chan, J.C.L. and Shi, J.E., 1996, Long-term trends and interannual variability in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3, 2765-2767. 

  4. Choi, K.S., Kang, K.R., Kim, D.W., Hwang, H.S., and Lee, S.R.,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 passage frequenc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using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721-733 

  5. Choi, K.S. and Kim, T.R., 2011a, Development of a diagnostic index on the approach of typhoon affecting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347-359 

  6. Choi, K.S., and Kim, T.R., 2011b, Regime shift of the early 1980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opical cyclone affecting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453-460. 

  7. Chu, P.S., 2002, Large-scale circulation features associated with decadal variations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central North Pacific. Journal of Climate, 15, 2678-2689. 

  8. Chu, P.S. and Clark, J.D., 1999, Decadal variations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central North Pacific.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 1875-1881. 

  9. Elsner, J.B., Jagger, T.H., and Niu, X.F., 2000, Changes in the rates of North Atlantic major hurricane activity during the 20th centur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7, 1743-1746. 

  10. Elsner, J.B., Kossin, J.P., and Jagger, T.H., 2008, The increasing intensity of the strongest tropical cyclones. Nature, 455, 92-95. 

  11. Emanuel, K., 2005, Increasing destructiveness of tropical cyclones over the past 30 years, Nature, 436, 686-688. 

  12. Goh, A.Z.C. and Chan J.C.L., 2009, Interannual and interdecadal variations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in the South China S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0, 827-843. 

  13. Ho, C.H., Baik, J.J., Kim, J.H., and Gong, D.Y., 2004, Interdecadal changes in summertime typhoon tracks. Journal of Climate, 17, 1767-1776. 

  14. Kalnay, E., Coauthors, 1996, The NCEP/NCAR 40-Year Reanalysis Project.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7, 437-471. 

  15. Kamahori H., Yamazaki N., Maanji N., and Takahashi K., 2006, Variability in intense tropical cyclone day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SOLA, 2, 104-107. 

  16. Kim, J.H., Ho, C.H., and Sui, C.H., 2005, Circulation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record-breaking typhoon landfall on Japan in 2004.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2(L14713), doi:10.1029/2005GL022494. 

  17. Kistler, R., Coauthors, 2001, The NCEP/NCAR 50-year reanalysis.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2, 247-267. 

  18. Klotzbach, P.J., 2006, Trends in global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past twenty year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10805, doi:10.1029/2006GL025881. 

  19. Kossin, J.P., Emanueal, K.A., and Wecchi, G.A., 2014, The poleward migration of the location of tropical cyclone maximum intensity. Nature, 509, 349-355. 

  20. Landsea, C.W., 2007, Counting Atlantic tropical cyclones back to 1900. EOS, 88, 197-208. 

  21. Landsea, C.W., Nicholls N., Gray W.M., and Avilia L.A., 1996, Downward trends in the frequency of intense Atlantic hurricanes during the past five decad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3, 1697-1700. 

  22. Liebmann, B. and Smith, C.A., 1996, Description of a complete (interpolated) outgoing longwave radiation dataset.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7, 1275-1277. 

  23. Lighthill, J. and Coauthors, 1994, Global climate change and tropical cyclones.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5, 2147-2157. 

  24. Lyon, B. and Camargo, S.J., 2008, The seasonally-varying influence of ENSO on rainfall and tropical cyclone activity in the Philippines. Climate Dynamics, 32, doi:10.1007/s00382-008-0380-z. 

  25. 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13, State of the Climate: Hurricanes and Tropical Storms for Annual 2013 

  26. Pan, C.J., Reddy, K.K., Lai, H.C., and Yang, S.S., 2010, Role of mixed precipitating cloud systems on the typhoon rainfall. Annales Geophysicae, 28, 11-16. 

  27. Park, D.S.R., Ho C.H., Kim J.H., and Kim H.S., 2011, Strong landfall typhoons in Korea and Japan in a recent decad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6, D07105, doi:10.1029/2010JD014801. 

  28. Park, S.K. and Lee, E.H., 2007, Synoptic features of orographically enhanced heavy rainfall on the east coast of Korea associated with Typhoon Rusa (2002).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L02803), doi:10.1029/2006GL028592. 

  29. Reynolds, R.W., Rayner, N.A., Smith, T.M., Stokes, D.C., and Wang, W., 2002, An improved in situ and satellite SST analysis for climate. Journal of Climate, 15, 1609-1625. 

  30. Wang, B. and Chan J.C.L., 2002, How strong ENSO events affect tropical storm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Journal of Climate, 15, 1643-1658. 

  31. Webster, P.J., Coauthors, 2005, Changes in tropical cyclone number, duration, and intensity in a warming environment. Science, 309, 1844-1846. 

  32. Wilks, D.S., 1995,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s. Academic Press, 467 pp. 

  33. Wingo, M.T. and Cecil, D.J., 2010, Effects of vertical wind shear on tropical cyclone precipitation. Monthly Weather Review, 138, 645-662. 

  34. Yang, W.J. and Yi, W.H., 2013, Safety evaluation of mansionary buildings for Tsunami. Journal of Korean Socirty of Hazard Mitigation, 13, 45-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