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디메틸설폭사이드 계에서 동적 광산란법에 의한 탐침입자의 배제층 연구
Studies on Depletion Layer of Probe Particles in the System of Poly(vinyl acetate)/Dimethyl Sulfoxide by Dynamic Light Scattering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9 no.3, 2015년, pp.370 - 381  

전국진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장진호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박일현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와 용매의 굴절률이 서로 일치되어 자체 산란광의 세기가 극소화된 시스템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c)/디메틸설폭사이드(DMSO) 계에 폴리스티렌 라텍스 탐침입자(표시 직경 200 nm)를 소량 첨가한 뒤 동적 광산란법으로 용액의 PVAc 농도에 대한 입자의 확산 거동을 정밀하게 조사하였다. 구형 입자의 환산확산계수의 농도의존성은 환산농도 $C[{\eta}]$의 신장지수함수로 분석할 수 있었고, 묽은 농도에서는 배제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초기 준희박 농도인 $1{\leq}C[{\eta}]{\leq}2.5$ 범위에서는 배제층의 사슬농도 의존지수가 -0.8로써 이론적 계산치 -0.85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배제층의 두께가 이론적 예측보다 급속히 감소하는 현상 또한 관찰되었으며, 그 원인은 인접한 탐침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Oosawa 인력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system of poly(vinyl alcohol) (PVA)/dimethyl sulfoxide, the refractive index of polymer was very well matched to that of solvent and thus its scattered intensity could be minimized. After adding small amount of polystyrene latex particle (nominal diameter 200 nm), diffusion behavior of only p...

Keyword

참고문헌 (37)

  1. D. Napper, Polymeric Stabilization of Colloidal Dispersion, Academic Press, London, 1983. 

  2. A. S. Verkman, Trends Biochem. Sci., 27, 27 (2002). 

  3. R. Varogui and P. Dejardin, J. Chem Phys., 66, 439 (1977). 

  4. T. M. H. M. Sheutjens and G. J. Fleer, J. Phys. Chem., 84, 178 (1980). 

  5. M. Stuart, F. Waajen, T. Cosgrove, B. Vincent, and T. Crowley, Macromolecules, 17, 1825 (1984). 

  6. K. Vaynberg, N. J. Wagner, R. Sharma, and P. Martic, J. Colloid Interface Sci., 205, 131 (1998). 

  7. Y.-W. Choi, S. Lee, K. Kim, P. S. Russo, and D. Sohn, J. Colloid Interface Sci., 313, 469 (2007). 

  8. Y.-W. Choi, K. Kim, J. Y. Kim, Y. Lee, and D. Sohn, Colloids Surf. A, 315, 7 (2008). 

  9. E. Donath, A. Krabi, M. Nirschl, V. M. Shilov, M. I. Zharkikh, and B. Vincent, J. Chem. Soc., Faraday Trans., 93, 115 (1997). 

  10. C. W. Hoogendam, J. C. W. Peters, R. Tuinier, A. de Keizer, M. A. Cohen Stuart, and B. H. Bijsterbosch, J. Colloid Interface Sci., 207, 309 (1998). 

  11. S. Asakura and F. Oosawa, J. Chem. Phys., 22, 1255 (1954). 

  12. S. Asakura and F. Oosawa, J. Polym. Sci., 33, 183 (1958). 

  13. A. Vrij, Pure Appl. Chem., 48, 471 (1976). 

  14. G. J. Fleer, A. M. Skvortsov, and R. Tuinier, Macromolecules, 36, 7857 (2003). 

  15. J. Hu, R. Wang, and G. Xue, J. Phys. Chem., 110, 1872 (2006). 

  16. A. M. Zhickov, J. Colloid Interface Sci., 313, 122 (2007). 

  17. G. J. Fleer, A. M. Skvortsov, and R. Tuinier, Macromol. Theory Simul., 16, 531 (2007). 

  18. T.-H. Fan, K. G. Dhont, and R. Tuinier, Phys. Rev. E, 75, 11803 (2007). 

  19. H. S. Eom and I. H. Park, Polym. Korea, 36, 628 (2012). 

  20. E. Donath, A. Krabi, G. Allen, and B. Vincent, Langmuir, 12, 3425 (1996). 

  21. B. Vincent, Colloids Surf., 50, 241 (1990). 

  22. L. T. Lee, O. Guiselin, A. Lapp, B. Farnoux, and J. Penfold, Phys. Rev. Lett., 67, 2838 (1991). 

  23. H. Bumler, B. Neu, S. Iovtchev, A. Budde, H. Kiesewetter, R. Latza, and E. Donath, Colloids Surf. A, 149, 389 (1999). 

  24. W. W. Graessley, Polymeric Liquids & Network: Structure and Properties, Garland Science, New York, 2004. 

  25. M. G. Huglin, Light Scattering from Polymer Solutions, Academic, New York, 1972. 

  26. W. Brown, Dynamic Light Scattering: The Method and some Application, Clarendon, Oxford, 1993. 

  27. K. Kamide, Thermodynamics of Polymer Solutions: Phase Equilibria and Critical Phenomena, Elsevier Science, Amsterdam, 1990. 

  28. D. Britton, F. Heatley and P. A. Lovell, Macromolecules, 31, 2828 (1998). 

  29. W. M. Kulicke and R. Keniewske, Rheol. Acta, 23, 75 (1984). 

  30. A. Ren, P. E. Ellis, S. B. Ross-Murphy, Q. Wang, and P. J. Wood, Carbohydr. Polym., 53, 401 (2003). 

  31. K. A. Streletzky and G. D. J. Phillies, Macromolecules, 32, 145 (1999). 

  32. G. D. J. Phillies, Macromolecules, 21, 3101 (1988). 

  33. K. L. Ngai and G. D. Phillies, J. Chem. Phys., 105, 8385 (1996). 

  34. C. N. Onyenemezu, D. Gold, M. Roman, and W. G. Miller, Macromolecules, 26, 3833 (1993). 

  35. D. Gold, C. N. Onyenemezu, and W. G. Miller, Macromolecules, 29 5700 (1996). 

  36. O. Glatter and O. Kratky, Small Angle X-ray Scattering, Academic Press, New York, 1982. 

  37. J. Brandrup, E. H. Immergut, and E. A. Grulke, Editors, Polymer Handbook, 4th ed., John Wiley&Sons, New York,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