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장인자/키토산이 담지된 온도감응성 하이드로젤의 유착방지제로서의 응용
Thermosensitive Chitosan-based Hydrogel with Growth Factor as Adhesion Barrier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9 no.3, 2015년, pp.480 - 486  

박준규 ((주)바이오알파) ,  나재운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최창용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직과 장기 유착은 외과적 수술 후 부작용으로 자주 발생된다. 이러한 조직 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착부위에 장벽을 형성하여 장기 유착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감응성 하이드로젤 유착방지제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폴록사머, 키토산표피성장인자를 가지고 온도감응성 키토산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키토산 하이드로젤은 인체 내 온도와 유사한 $35^{\circ}C$에서 졸-젤 전이현상을 보였고, 1분 이내에 빠르게 젤화되었다. 키토산 하이드로젤은 표피성장인자를 7일 동안 천천히 방출하였고, 마우스모델에서 평가한 결과 조직 유착 방지를 효과적으로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도 감응성과 항균성을 갖는 키토산 하이드로젤이 장기 부착의 증가와 표피성장인자를 천천히 방출하는 유착방지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dhesion of tissue and organ occur with frequency after surgery. Theomosensitive hydrogel was prepared from poloxamer/chitosan/epidermal growth factor as adhesion barrier agent. The prepared hydrogel showed sol-gel transition temperatures around human temperature and gelation temperature was the...

주제어

참고문헌 (32)

  1. H. Y. Yang, K. S. Suh, Y. K. Youn, S. W. Kim, S. J. Kim, K. U. Lee, and Y. H. Park, J. Korean Surg. Soc., 52, 335 (1997). 

  2. W. J. Lee, B. I. Moon, J. B. Park, I. M. Kim, and B. O. You, J. Korean Surg. Soc., 49, 192 (1995). 

  3. K. Falk, P. Bjorquist, M. Stromqvist, and L. Holmdahl, Br. J. Surg., 8, 286 (2001). 

  4. H. S. Shim, Y. W. Lee, Y. M. Lee, Y. H. Oh, S. W. Kwon, J. H. Kim, and S. K. Sohn, J. Korean Sur. Soc., 63, 179 (2002). 

  5. M. Hurme, K. Katevuo, F. Nykvist, T. Aalto, H. Alaranta, and S. Einola, Acta Radiol., 32, 286 (1991). 

  6. D. Attwood, J. H. Collett, and C. J. Tait, Int. J. Pharm., 126, 25 (1985). 

  7. V. V. Ranade and J. B. Cannon, Drug Delivery Systems, CRC Press, London, 2011. 

  8. C. J. Brine and P. R. Austin, Comp. Biochem. Physiol., B: Comp. Biochem., 69, 283 (1981). 

  9. F. Shahi, J. K. V. Arachchi and Y. J. Jeon, Trends Food Sci. Technol., 10, 37 (1999). 

  10. E. E. Evans and S. P. Kent, J. Histochem. CytoChem., 10, 24 (1962). 

  11. S. Tokura and I. Azuma, Chitin Derivatives in Life Science, Japan Soc. Chitin, Sapporo, 1992. 

  12. I. Ikeda, M. Sugano, K. Yoshida, E. Sasaki, Y. Iwamoto, and K. Hatano, J. Agric. Food Chem., 41, 431(1993). 

  13. R. A. A. Muzzarelli, C. Lough, and M. Emanuelli, Carbohydr. Res., 164, 433 (1987). 

  14. D. H. Na, Y. S. Youn, I. B. Lee, E. J. Park, C. J. Park, and K. C. Lee, Pharm. Dev. Technol., 11, 513 (2006). 

  15. R. A. Goodlad, T. G. Wilson, W. Lenton, H. Gregory, K. G. Mccullagh, and N. A. Wright, Experientia, 41, 1161 (1985). 

  16. L. E. Bragg, T. C. Hollingsed, and J. S. Thompson, J. Parenter. Enteral Nutr., 14. 283 (1990). 

  17. M. Reim, T. Kehrer, and M. Lund, Ophthalmologica, 197, 179 (1988). 

  18. Y. Jaacobi, A. A. Israel, and E. P. Goldberg, J. Surg. Res., 55, 422 (1993). 

  19. A. A. Luciano, K. S. Hauser, and J. Benda, Am. J. Obstet. Gynecol., 146, 88 (1983). 

  20. I. R. Schmolka, J. Am. Oil. Chem., 54, 110 (1977). 

  21. G. Wanka, H. Hoffman, and W. Ulbricht, Macromolecules, 27, 4145 (1994). 

  22. S. H. Oh, J. K. Kim, K. S. Song, S. M. Noh, S. H. Ghil, S. H. Yuk, and J. H. Lee, J. Biomed. Mater. Res., 72A, 306 (2005). 

  23. K. Edsman, J. Carlfors, and R. Petersson, Eur. J. Pharm. Sci., 6, 105 (1998). 

  24. Y. Y Chen, H. C. Wu, J. S. Sun, G. C. Dong, and T. W. Wang, Langmuir, 29, 3721 (2013). 

  25. H. H. Jung, K. Park, and D. K. Han, J. Control. Release, 147, 84 (2010). 

  26. R. K. Prud'homme, G. Wu, and D. K. Schneider, Langmuir, 12, 4651 (1996). 

  27. J. K. Park, K. J. Lee, D. H. Son, C. Choi, M. K. Jang, and J.-W. Nah, J. Chitin Chitosan, 16, 45 (2011). 

  28. J. Chen, R. Jhou, L. Li, B. Li, X. Zhang, and J. Su, Molecules, 18, 12415 (2013). 

  29. G. Wei, H. Xu, P. T. Ding, S. M. Li, and J. M. Zheng, J. Control. Release, 83, 65 (2002). 

  30. H. Ellis, W. Harrison, and T. B. Hugh, Br. J. Surg., 52, 471 (1965). 

  31. M. H. Kim, S. C. Park, M. K. Jang, J. W. Nah, K. S. Hahm, and Y. Park, J. Chitin Chitosan, 13, 1 (2008). 

  32. T. Gratieri, G. M. Gelfuso, E. M. Rocha, V. H. Sarmoto, O. D. Freitas, and R. F. V. Lopez, Eur. J. Pharmaceut. Biopharmaceut., 75, 18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