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MODIS 지면피복분류 개선
Improvement of MODIS land cover classification over the Asia-Oceania regio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1 no.2, 2015년, pp.51 - 64  

박지열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서명석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지면피복 분류자료(MCD12Q1)에서 분류오류로 판단되는 화소들을 재분류함으로써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최근 12년(2001-2012)간의 MODIS 지면피복 분류자료에서 지면피복 유형이 3개 이상으로 분류된 화소는 분류상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여 지면피복 재분류 화소로 선정하였다. 지면피복 재분류를 위해 공간해상도는 1 km이고 시간주기는 8일인 MODIS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자료를 이용하였다. NDVI 자료 중 구름 등으로 오염된 화소를 보정하기 위해 시 공간 연속성을 이용한 보정기법인 Correction based on Spatial and Temporal Continuity (CSaTC) 기법을 이용하였다. 보정된 NDVI 자료를 1개월 주기로 합성한 후 분류 오류로 판단된 화소들에 대해 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ISODATA) 기법으로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각 군집별 식생 계절변동 특성을 고려하여 지면피복을 분류한 후 정상으로 판정된 MODIS 지면피복과 합성하여 최종 지면피복 재분류 자료를 산출하였다. 분류 정확도는 GPS를 이용한 현장관측 자료와 유럽우주국의 지상검증참조자료 등 총 138개 지상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2012년 MODIS 지면피복 분류자료의 정확도는 약 68%이었으나 본 연구에서 재분류한 지면피복자료의 정확도는 약 74%로 나타나 일부 화소들에서 분류 정확도가 개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mproved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land cover map over the Asia-Oceania region through the reclassification of the misclassified pixels. The misclassified pixels are defined where the number of land cover types are greater than 3 from the 12 years of MODIS land co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매년 동일한 위성자료에 동일한 분류 방법을 적용하여 분류된 최근 12년(2001-2012)간의 MODIS 지면피복 분류자료(MCD12Q1) 중에서 분류오류라 판단되는 일부 화소들을 재분류하여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한다. 지면피복 재분류에는 2013년의 MODIS 정규화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식생지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지면피복을 분류할 경우 상대적으로 분류 정확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양질의 시계열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Wang and Tenhunen, 2004).
  •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MODIS 지면피복 분류자료(MCD12Q1) 중 분류오류라 판단된 화소들에 대해 최근 2013년의 MODIS NDVI 자료를 이용하여 지면피복을 재분류 하였다. 지면피복 재분류를 통해 일부 유형에서는 분류 정확도가 개선되어 환경 변화연구 및 기상분야의 수치/기후 모델의 지면경계조건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MODIS 지면피복 분류자료(MCD12Q1)에서 나타나고 있는 분류오류를 개선하기 위하여 분류오류라 판단되는 화소에 대해 최근 2013년의 MODIS NDVI 자료를 이용하여 지면피복을 재분류하고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다양한 유형의 지면피복이 복잡하게 분포하는 경계 부근에서는 기하학적 보정 수준에 따라 연도별로 지면피복이 상이하게 분류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기하학적 보정은 오차가 1 km 이내로 우수하게 되었다는 가정하에 지면피복 유형이 2개까지 분류된 화소는 정상적으로 분류된 화소로 그 이상으로 분류된 화소는 분류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12년 동안 하나의 화소에서 분류된 지면피복 유형의 수가 2개 이하인 화소는 정상으로 분류된 화소로 정의하고, 3개 이상으로 분류된 화소는 분류상 오류로 판단하여 지면피복 재분류 화소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면피복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표면에 물리적으로 무엇이 존재하는 가를 의미하는 지면피복(land cover)은 지권과 대기권간의 에너지 및생지화학 순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지면피복에 따라 상이한 식생유형, 잎면적 지수 등은 알베도나 거칠기길이에 영향을 주어 지면-대기간 잠열 속, 현열 속 그리고 운동량 속 등의 조절을 통해 전 지구 및 지역 규모의 기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Sellers et al.
지면피복은 어떻게 지역 규모의 기후 형성에 영향을 주는가? 지표면에 물리적으로 무엇이 존재하는 가를 의미하는 지면피복(land cover)은 지권과 대기권간의 에너지 및생지화학 순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지면피복에 따라 상이한 식생유형, 잎면적 지수 등은 알베도나 거칠기길이에 영향을 주어 지면-대기간 잠열 속, 현열 속 그리고 운동량 속 등의 조절을 통해 전 지구 및 지역 규모의 기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Sellers et al., 1997; Chase et al.
우리나라에서 시행 된 지면피복 분류 연구의 예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환경 변화 연구 및 기상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지면피복 분류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Kim et al. (2011) 및 Ryu et al. (2013)은 Satellite Pour I’ Observation de la Terre (SPOT) 위성의 식생지수 자료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지면피복을 분류하고 지면피복 변화 및 사막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Kang et al. (2010)은 기상분야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2006-2008년의 MODIS 식생지수 자료를 합성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대해 1 km 공간 해상도의 지면피복을 분류하였고 현재 천리안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의 기상자료 처리시스템에서 기초 입력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 되고 있는 지면피복 분류 자료 중 USGS, IGBP, UMd 등은 우리나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지면피복 분류를 대부분 사바나로 분류하고 있고 만주지역 등에서 공간불연속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K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derson, J.R., E.E. Hardy, J.T. Roach, and R.E. Witmer, 1976. A land use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system for use with remote sensor data,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964. 

  2. Bontemps, S., P. Defourny, E.V. Bogaert, O. Arino, V. Kalogirou, and J.R. Perez, 2011. GLOBCOVER 2009-Products description and validation report, European Space Agency. 

  3. Brown, D.G., B.C. Pijanowski, and J.D. Duh, 2000. Model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land cover on private lands in the Upper Midwest, US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59(4): 247-263. 

  4. Chase, T.N., R.A. Pielke Sr, T.G.F. Kittel, R.R. Nemani, and S.W. Running, 2000. Simulated impacts of historical land cover changes on global climate in northern winter, Climate Dynamics, 16(2-3): 93-105. 

  5. Cho, A-R. and M.S. Suh, 2013. Detection of contaminated pixels based on the short-term continuity of NDVI and correction using spatiotemporal continuity,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9(4): 511-525. 

  6. Friedl, M.A., D. Sulla-Menashe, B. Tan, A. Schneider, N. Ramankutty, A. Sibley, and X. Huang, 2010. MODIS Collection 5 global land cover: Algorithm refinement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datase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1): 168-182. 

  7. Ge, J., J. Qi, B.M. Lofgren, N. Moore, N. Torbick, and J.M. Olson, 2007. Impacts of land use/cover classification accuracy on regional climate simul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12: 1984-2012. 

  8. Hansen, M.C., R.S. DeFries, J.R. Townshend, and R. Sohlberg, 2000. Global land cover classification at 1 km spatial resolution using a classification tree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6-7): 1331-1364. 

  9. Herold, M., P. Mayaux, C.E. Woodcock, A. Baccini, and C. Schmullius, 2008. Some challenges in global land cover mapping: An assessment of agreement and accuracy in existing 1 km datase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5): 2538-2556. 

  10. Huang, S. and F. Siegert, 2006. Land cover classification optimized to detect areas at risk of desertification in North China based on SPOT VEGETATION imagery,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67(2): 308-327. 

  11. Kang, J.H., M.S. Suh, and C.H. Kwak, 2007. A comparison of the land cover data sets over Asian region: USGS, IGBP and UMD, Atmosphere, 17(2): 159-169. 

  12. Kang, J.H., M.S. Suh, and C.H. Kwak, 2009. Classification of land cover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MODIS data, Atmosphere, 19(2): 169-182. 

  13. Kang, J.H., M.S. Suh, and C.H. Kwak, 2010. Land cover classification over East Asian region using recent MODIS NDVI data (2006-2008), Atmosphere, 20(4): 415-426. 

  14. Kim, S.I., K.S. Han, and K.J. Pi, 2011. The trend analysis of vegetation change applied to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ver East Asia: using the NDVI 10-day data in 1999-2010,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9(4): 153-159. 

  15. Loveland, T.R., B.C. Reed, J.F. Brown, D.O. Ohlen, Z. Zhu, L. Yang, and J.W. Merchant, 2000. Development of a global land cover characteristics database and IGBP DISCover from 1 km AVHRR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6): 1303-1330. 

  16. Masson, V., J.L. Champeaux, F. Chauvin, C. Meriguet, and R. Lacaze, 2003. A global database of land surface parameters at 1-km resolution in meteorological and climate models, Journal of climate, 16(9): 1261-1282. 

  17. McCallum, I., M. Obersteiner, S. Nilson, and A. Shivdenko, 2006. A spatial comparison of four satellite derived 1 km global land cover dataset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8(4): 246-255. 

  18. Park, J.Y. and M.S. Suh, 2014. Characteristics of MODIS land-cover data sets over Northeast Asia for the recent 12 years(2001-2012),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4): 511-524. 

  19. Ryu, J.H., K.S. Han, K.J. Pi, and M.J. Lee, 2013.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 around desert areas of East Asi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1): 105-114. 

  20. Sellers, P.J., R.E. Dickinson, D.A. Randall, A.K. Betts, F.G. Hall, J.A. Berry, G.J. Collatz, A.S. Denning, H.A. Mooney, C.A. Nobre, N. Sato, C.B. Field, and A. Henderson-Sellers 1997. Modeling the exchanges of energy, water, and carbon between continents and the atmosphere, Science, 275(5299): 502-509. 

  21. Suh, M.S., J.R. Lee, J.H. Kang, D.K. Lee and M.H. Ahn, 2005.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sonal change of vegetation and climate elements in East Asia,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1(4): 557-570. 

  22. Tchuente, A.T.K., J.L. Roujean, and S.M. De Jong, 2011. Comparison and relative quality assessment of the GLC2000, GLOBCOVER, MODIS and ECOCLIMAP land cover data sets at the African continental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3(2): 207-219. 

  23. Verburg, P.H., K.Neumann, and L. Nol, 2011. Challenges in using land use and land cover data for global change studies, Global Change Biology, 17(2): 974-989. 

  24. Wang, Q. and J.D. Tenhunen, 2004. Vegetation mapping with multitemporal NDVI in North Eastern China transect (NECT),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6(1): 17-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