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속초 GNSS 가강수량을 이용한 라디오존데 센서별 편향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Radiosonde Sensors Bias Using Precipitable Water Vapor from Sokcho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bservatory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3, 2016년, pp.263 - 274  

박창근 (국립기상과학원 관측기반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  조정호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우주측지그룹) ,  심재관 (국립기상과학원 관측기반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  최병철 (국립기상과학원 관측기반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2007년에서 2014년까지의 여름철에 대해 속초기상대 라디오존데 관측을 통해 산출된 가강수량과 속초 GNSS 관측소의 가강수량을 비교하였다. 라디오존데 센서 유형별 수증기량 관측 자료가 주야간 및 강수 발생 유무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두 관측기기의 주간, 야간별 관측 시점에 따른 가강수량 산포도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주간의 라디오존데 관측에서는 건조 편향이 발견되었다. 특히 RSG-20A 센서는 주간, 야간에서 다른 센서에 비해 건조 편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GNSS 가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라디오존데 가강수량이 GNSS 가강수량에 대해 과대 추정에서 과소 추정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라디오존데 가강수량의 편향 및 오차에 대한 정량적 분석에서는 2007, 2008년을 제외하고는 센서 종류에 상관없이 여름의 주간에 비해 야간에서 더 작은 평균 편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여름철 강수의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는 RS92-SGP 센서가 가장 뛰어난 품질의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ecipitable Water Vapor (PWV) data derived from the radiosonde observation at Sokcho observatory and the PWV data at Sokcho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observatory provid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for the summer of 2007~2014,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2007년에서 2014년까지의 여름철동안 속초기상대 라디오존데 관측을 통해 산출된 가강수량과 속초 GNSS 관측소의 가강수량을 비교하여 라디오존데의 센서 유형에 따른 편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라디오존데 센서 유형별 수증기량 관측 자료가 주야간 및 강수 발생 유무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시계열에서 대체적으로 두 관측은 서로 잘 일치하였으며 그 가운데 보이는 급격한 변동은 강수 현상과 관련된 대기 중 가강수량 증감으로 판단된다.
  • 이 연구에서는 속초기상대 라디오존데 관측을 통해 산출된 가강수량과 속초 GNSS 관측소의 가강수량을 비교하여 라디오존데의 센서 유형에 따른 편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라디오존데 센서별 수증기량 관측 자료가 주야간 및 강수 발생 여부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본문에서는 먼저 관측기기와 연구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GNSS와 라디오존데에서 산출된 가강수량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정방향으로의 GNSS 신호 총 지연량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지상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GNSS 신호의 지연량은 조성 기체에 따라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에 의한 건조지연과 수증기에 의해 발생 되는 습윤 지연으로 분류된다. 천정방향으로의 GNSS 신호 총 지연량(Zenith Total Delay, ZTD)은 건조 공기에 의한 지연량(Zenith Hydrostatic Delay, ZHD)과 수증기에 의한 지연량(Zenith Wet Delay, ZWD)으로 구성된다 (Song et al., 2002; Lim et al.
GNSS를 이용한 기상기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GNSS를 이용한 기상기술의 장점은 24시간 상시 관측이 가능하고 지상 관측소 설치에 비례하여 조밀한 분포를 가질 수 있으므로 시·공간적 분해능이 높은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과 유지비용이 비교적 적게 소요된다는 점이다. GNSS 가강수량은 GNSS 위성에서 송출된 신호가 지상국에 도달하는 동안 수증기에 의해 굴절되어 지연된 양을 역으로 환산하여 산출되는데 라디오존데나 라디오미터와 대등한 수준의 정밀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Bevis et al.
Bernese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은 무엇인가? , 2007)을 이용하였다. Bernese는 전리층 및 대류권 모델링, GNSS 망조정계산 등의 다양한 과학기술 연구를 목적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로서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Kim and Bae, 2015). 라디오존데 관측이 수행되는 관측소 중에서 속초기상대에는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용하고 있는 GNSS 상시 관측소가 설치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evis, M., S. Businger, T.A. Herring, C. Rocken, R.A. Anthes, and R.H. Ware, 1992. GPS meteorology: 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water vapor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7: 15787-15801. 

  2. Bevis, M., S. Chiswell, S. Businger, T.A. Herring, and Y. Bock, 1996. Estimating wet delays using numerical weather analyses and predictions, Radio Science, 31: 477-487. 

  3. Businger, S., S.R. Chiswell, M. Bevis, J. Duan, R.A. Anthes, C. Rocken, R.H. Ware, M. Exner, T. VanHove, and F.S. Solheim, 1996. The promise of GPS in atmospheric monitoring,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7: 5-18. 

  4. Dach, R., U. Hugentobler, P. Fridez, and M. Meindl, 2007. Bernese GPS Software Version 5.0, Stampfli Publications, Bern, Switzerland. 

  5. Davis, J.L., T.A. Herring, I.I. Shapiro, A.E. Rogers, and G. Elgered, 1985. Geodesy by radio interferometry: effects of atmospheric modeling errors on estimates of baseline length, Radio Science, 20: 1593-1607. 

  6. Duan, J., M. Bevis, P. Fang, Y. Bock, S. Chiswell, S. Businger, C. Rocken, F. Solheim, T. VanHove, R.H. Ware, S. McClusky, T.A. Herring, and R.W. King, 1996. GPS meteorology: direct estimation of the absolute value of precipitable water,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5: 830-838. 

  7. Durre, I., C.N. Williams, X. Yin, and R.S. Vose, 2009. Radiosonde-based trends in precipitable water over the northern hemisphere: an updat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4: D05112, doi:10.1029/2008JD010989. 

  8. Elgered, G., J.L. Davis, T.A. Herring, and I.I. Shapiro, 1991. Geodesy by radio interferometry: water vapor radiometry for estimation of the wet dela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6: 6541-6555. 

  9. Elliott, W.P. and D.J. Gaffen, 1991. On the utility of radiosonde humidity archives for climate studi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2: 1507-1520. 

  10. Kim, J.S. and I.H. Yoon, 2014. Study on the prediction of turning point of typhoon tracks using COMS water vapor image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 168-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S. and T.S. Bae,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GNSS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meteorologic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3: 317-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K.H., Y.H. Kim, and D.E. Chang, 2009. The analysis of changma structure using radiosonde observational data from KEOP-2007: Part I. the assessment of the radiosonde data, Atmosphere, 19: 213-2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won, H.T., T. Iwabuchi, and G.H. Lim, 2007. Comparison of precipitable water derived from ground-based GPS measurements with radiosonde observations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5: 733-746. 

  14. Lean, K. and R.W. Saunders, 2013. Validation of the ATSR reprocessing for climate (ARC) dataset using data from drifting buoys and a three-way error analysis, Journal of Climate, 26: 4758-4772. 

  15. Li, Z., J.P. Muller, and P. Cross, 2003. Comparison of precipitable water vapor derived from radiosonde, GPS, and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easureme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D20): 4651, doi:10.1029/2003JD003372. 

  16. Lim, Y.K., S.O. Han, S.P. Jung, and J.H. Seong, 2013.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precipitable water vapor according to GPS observation baseline determina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626-6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iou, Y.A., C.Y. Huang, and Y.T. Teng, 2000. Precipitable water observed by ground-based GPS receivers and microwave radiometry, Earth Planets Space, 52: 445-450. 

  18. Liou, Y.A., Y.T. Teng, T. VanHove, and J.C. Liljegren, 2001. Comparison of precipitable water observations in the near tropics by GPS, microwave radiometer, and radiosonde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0: 5-15. 

  19. Lorenc, A.C., D. Barker, R.S. Bell, B. Macpherson, and A.J. Maycock, 1996. On the use of radiosonde humidity observations in mid-latitude NWP, Meteorology and Atmospheric Physics, 60: 3-17. 

  20. McMillin, L.M., J. Zhao, M.K. Rama Varma Raja, S.I. Gutman, and J.G. Yoe, 2007. Radiosonde humidity corrections and potential atmospheric infrared sounder moisture accurac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 D13S90, doi:10.1029/2005JD006109. 

  21. Motell, C., J. Porter, J. Foster, M. Bevis, and S. Businger, 2002. Comparison of precipitable water over Hawaii using AVHRR-based split-window techniques, GPS and radiosond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3: 2335-2339. 

  22. Nakamura, H., H. Seko, and Y. Shoji, 2004. Dry biases of humidity measurements from the Vaisala RS80-A and Meisei RS2-91 radiosondes and from ground-based GPS,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2: 277-299. 

  23. Ohtani, R. and I. Naito, 2000. Comparisons of GPSderived precipitable water vapors with radiosonde observations in Jap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5: 26917-26929. 

  24. Rocken, C., T. VanHove, J. Johnson, F. Solheim, R.H. Ware, M. Bevis, S. Chiswell, and S. Businger, 1995. GPS/STORM-GPS sensing of atmospheric water vapor for meteorology,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12: 468-478. 

  25. Song, D.S., H.S. Yun, and J.M. Cho, 2002. Estimation of tropospheric water vapor using GPS obser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0: 215-2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Takiguchi, H., T. Kato, H. Kobayashi, and T. Nakaegawa, 2000. GPS observations in Thailand for hydrological applications, Earth Planets Space, 52: 913-919. 

  27. Wang, J. and L. Zhang, 2008. Systematic errors in global radiosonde precipitable water data from comparisons with ground-based GPS measurements, Journal of Climate, 21: 2218-2238. 

  28. World Meterorological Organization, 2006. Instruments and observing methods, Report No. 83, WMO Publications, Geneva, Switzerland. 

  29. World Meterorological Organization, 2008.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WMO Publications, Geneva, Switzerland. 

  30. World Meterorological Organization, 2011. Instruments and observing methods, Report No. 107, WMO Publications, Geneva, Switzerland. 

  31. Yang, H.Y., K.H. Chang, J.W. Cha, Y.J. Choi, and C.S. Ryu, 2012. Characteristics of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liquid water path by microwave radiometer,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233-2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