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 검은별무늬병(Venturia nashicola) 고도 저항성 '93-3-98' 유래 PR-10 유전자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10 gene derived from highly resistant '93-3-98' pear inoculated with scab (Venturia nashicola)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42 no.1, 2015년, pp.25 - 33  

천재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김세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조강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김대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최인명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신일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 검은별무늬병 고도저항성 '93-3-98'과 고도감수성 '스위트스킨'간의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분석을 통해 '93-3-98'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pathogenesis-related 10 (PR-10) 유전자를 분리하여 PyrcpPR-10으로 명명하고 기관 및 품종별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단편염기서열의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PCR을 통해 PyrcpPR-10 유전자는 전체길이가 743bp이고, 480bp의 ORF와 159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yrcpPR-10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황실리'(저항성), '감천배'(중도저항성), '원황'(중도감수성), '신고', '스위트스킨'(고도감수성)은 동일하였으나 'Bartlett'(고도저항성)은 일부 염기서열의 차이를 보였다. BLAST X를 통한 다른 식물 종의 PR-10 아미노산과 비교에서 64 ~ 98%의 상동성을 보였고 공통적으로 GXGGXG motif를 가지고 있었다. 기관 및 조직별 PyrcpPR-10 유전자의 발현량은 꽃잎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잎, 꽃대, 눈, 수피 순이었다. 저항성과 감수성 품종에 따른 PyrcpPR-10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모든 품종에서 접종 24시간 후 급격히 증가였으며, 특히 'Bartlett', '93-3-98', '황실리'에서 높게 발현되었고 '감천배', '원황'의 경우 저항성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고도 감수성 '신고', '스위트스킨'은 발현이 가장 낮았다. 배에서 분리한 PyrcpPR-10 유전자는 검은별무늬병 저항성에 직접 연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yrcpPR-10 gene with differentially expressed was isolated by using the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assay between '93-3-98' (highly resistant against scab caused by Venturia nashicola) and 'Sweat Skin'(highly susceptible) and analyzed the expression pattern according to organs and cul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SH분석을 통하여 검은별무늬병 고도 저항성 ‘93-3-98’에서 차등적으로 발현하는 PyrcpPR-10 유전자를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 하고 분자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Real-time PCR를 통하여 저항성 품종 특이적 발현과 기관 특이적 발현을 분석함으로써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SH분석을 통하여 검은별무늬병 고도 저항성 ‘93-3-98’에서 차등적으로 발현하는 PyrcpPR-10 유전자를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 하고 분자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thogenesis-related 10 단백질의 RNase 활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1994)은 인삼에서 분리한 ribonuclease의 아미노산 서열과 PR-10 단백질이 높은 상동성을 가지며 발현 양상이 유사하여 PR-10 단백질이 가지는 RNase 활성이 방어 반응과 관련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RNase활성은 병원체 감염 부위의 세포자살(programmed cell death) 또는 병원체에 대해 직접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식물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Bet v 1 (Bufe et al.1996), LaPR-10 (Bantignies et al.
PR-10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어디에 존재하며 형태는 어떠한가? 1986) PR-10 단백질은 병원체에 대한 방어 뿐만 아니라 식물의 발달에도 관여하며(Sikorski et al. 1999) 대부분의 PR 단백질은 세포외에 존재하는 반면 PR-10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세포내에 존재하며 16 ~ 19 kDa의 작은 크기의 산성 단백질이다(Liu and Ekramoddoullah. 2006).
pathogenesis-related (PR) 단백질은 어떻게 유도 되며 몇가지의 분류가 있는가? 식물은 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병원 체에 끊임없이 노출되며 방어반응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한다. 이러한 단백질 중 pathogenesis-related (PR) 단백질은 병원체와 환경스트레스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Van Loon and Van Strien. 1999) 단백질의 구조와 생화학적 활성에 기초하여 17개의 family로 분류되어 있다(Sels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tkinson RG, Perry J, Matsui T, Ross GS, Macrae EA (1996) A stress-, pathogenesis-, and allergen-related cDNA in apple fruit is also ripening-related. NZ J Crop Hort. Sci 24 : 103-107 

  2. Bantignies B, Seguin J, Muzac I, Dedaldechamp F, Gulick P, Ibrahim R (2000) Direct evidence for ribonucleolytic activity of a PR-10-like protein from white lupin roots. Plant Mol Biol 42 : 871-881 

  3. Borsics T and Lados M (2002) Dodder infection induces the expression of a pathogenesis-related gene of the family PR10 in alfalfa. J Exp Bot 53 : 1831-1832 

  4. Breiteneder H, Pettenburger K, Bito A, Valenta R, Kraft D, Rumpold H, Scheiner O, Breitenbach M (1989) The gene coding for the major birch pollen allergen Betv1, is highly homologous to a pea disease resistance response gene. EMBO J 8 : 1935-1938 

  5. Bufe A, Spangfort MD, Kahlert H, Schlaak M, Becker W-M (1996) The major birch pollen allergen, Betv1, shows ribonuclease activity. Planta 199 : 413-415 

  6. Faize M, Faize L, Ishizaka M, Ishii H (2004) Expression of potential defense responses of Asian and European pears to infection with Venturia nashicola. Physiol Mol Plant Pathol 64 : 319-330 

  7. Flores T, Alape-Giron A, Flores-Diaz M, Flores HE (2002) Ocatin. A novel tuber storage protein from the andean tuber crop oca with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Plant Physiol 128 : 1291-1302 

  8. Fujimoto Y, Nagata R, Fukasawa H, Yano K, Azuma M, Iida A, Sugimoto S, Shudo K, Hashimoto Y (1998) Purification and cDNA cloning of cytokinin-specific binding protein from mung bean (Vigna radiata). Eur J Biochem 258 : 794-802 

  9. Iandolino A, da Silva FG, Lim H, Choi H, Williams L, Cook D (2004) High-quality RNA, cDNA, and derived EST libraries from grapevine (Vitis vinifera L.). Plant Mol Bio Rep 22 : 269-278 

  10. Ishii H, Udagawa H, Nishimoto S, Tsuda T, Nakashima H (1992) Scab resistance in pear species and cultivars. Acta Phytopathol Entomol Hung 27 : 293-298 

  11. Kim SH, Koh GC, Hwang B, Lee HJ and, Hong SW (2009)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Juvenile vs. Mature Leaves of Pear (Pyrus pyrifolia) by Using Annealing Control Primer. J. Korea. Soc. Appl. Biol. Chem 52 : 121-127 

  12. Liu J-J and Ekramoddoullah AK (2006) The family 10 of plant pathogenesis-related proteins: their structure, regulation, and function in response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Physiol Mol Plant Pathol 68 : 3-13 

  13. Liu J-J, Ekramoddoullah AK, Piggott N, Zamani A (2005) Molecular cloning of a pathogen/wound-inducible PR10 promoter from Pinus monticola and characterization in transgenic Arabidopsis plants. Planta 221 : 159-169 

  14. Liu X, Huang B, Lin J, Fei J, Chen Z, Pang Y, Sun X, Tang K (2006) A novel pathogenesis-related protein (SsPR10) from Solanum surattense with ribonucleolytic and antimicrobial activity is stress-and pathogen-inducible. J Plant Physiol 163 : 546-556 

  15. Lotan T, Ori N, Fluhr R (1989) Pathogenesis-related proteins are developmentally regulated in tobacco flowers. Plant Cell 1 : 881-887 

  16. Moiseyev GP, Beintema JJ, Fedoreyeva LI, Yakovlev GI (1994) High sequence similarity between a ribonuclease from ginseng calluses and fungus-elicited proteins from parsley indicates that intracellular pathogenesis-related proteins are ribonucleases. Planta 193 : 470-472 

  17. Park CJ, Kim KJ, Shin R, Park JM, Shin YC, Paek KH (2004) Pathogenesis-related protein 10 isolated from hot pepper functions as a ribonuclease in an antiviral pathway. Plant J 37 : 186-198 

  18. Park P, Ishii H, Adachi Y, Kanematsu S, Ieki H, Umemoto S (2000) Infection behavior of Venturia nashicola, the cause of scab on Asian pears. Phytopathology 90 : 1209-1216 

  19. Robert N, Ferran J, Breda C, Coutos-Thevenot P, Boulay M, Buffard D, Esnault R (2001)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incompatible interaction of Vitis vinifera leaves with Pseudomonas syringae pv. pisi: Expression of genes coding for stilbene synthase and class 10 PR protein. Eur J Plant Pathol 107 : 249-261 

  20. Rozen S, Skaletsky HJ (1998) Primer 3. Code available at http://www-enome.wi.mit.edu/genome_software/other/primer3.html. 

  21. Saraste M, Sibbald PR, Wittinghofer A (1990) The P-loop-a common motif in ATP-and GTP-binding proteins. Trend Biochem Sci 15 : 430-434 

  22. Sels J, Mathys J, De Coninck B, Cammue B, De Bolle MF (2008) Plant pathogenesis-related (PR) proteins: a focus on PR peptides. Plant Physiol Biochem 46 : 941-950 

  23. Shin IS, Bae KM, Nam GY, Kang B-C, Chun J, Cho KH, Kim SH, Choi HS, Kim HR, Hwang HS (2012) Identification of genes induced by Venturia nashicola in indigenous Korean pear 'Hwangsilri'. Hort. Environ. Biotechnol. 53 : 513-520 

  24. Sikorski MM, Biesiadka J, Kasperska AE, Kopci'nska J, Lotocka B, Golinowski W, Legocki AB (1999) Expression of genes encoding PR10 class pathogenesis-related proteins is inhibited in yellow lupine root nodules. Plant Sci 149 : 125-137 

  25. Somssich IE, Schmelzer E, Bollmann J, Hahlbrock K (1986) Rapid activation by fungal elicitor of genes encoding "pathogenesis-related" proteins in cultured parsley cells. PNAS 83 : 2427-2430 

  26. Srivastava S, Emery RN, Kurepin LV, Reid DM, Fristensky B, Kav NN (2006) Pea PR 10.1 is a ribonuclease and its transgenic expression elevates cytokinin levels. Plant Growth Regul 49 : 17-25 

  27. Srivastava S, Fristensky B, Kav NN (2004) Constitutive expression of a PR10 protein enhances the germination of Brassica napus under saline conditions. Plant Cell Physiol 45 : 1320-1324 

  28. Swoboda I, Hoffmann-Sommergruber K, O'Riordain G, Scheiner O, Heberle-Bors E, Vicente O (1996) Bet v 1 proteins, the major birch pollen allergens and members of a family of conserved pathogenesis-related proteins, show ribonuclease activity in vitro. Physiol Plant 96 : 433-438 

  29. Van Loon L and Van Strien E (1999) The families of pathogenesis-related proteins, their activitie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R-1 type proteins. Physiol Mol Plant Path 55 : 85-97 

  30. Wen J, Vanek-Krebitz M, Hoffmann-Sommergruber K, Scheiner O, Breiteneder H (1997) The potential of Betv1 homologues, a nuclear multigene family, as phylogenetic markers in flowering plants. Mol Phylogenet Evol 8 : 317-333 

  31. Wu F, Yan M, Li Y, Chang S, Song X, Zhou Z, Gong W (2003) cDNA cloning, expression, and mutagenesis of a PR-10 protein SPE-16 from the seeds of Pachyrrhizus erosus. BBRC 312 : 761-766 

  32. Xie Y-R, Chen Z-Y, Brown RL, Bhatnagar D (2010) Express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wo pathogenesis-related protein 10 genes from Zea mays. J Plant Physiol 167 : 121-130 

  33. Yan Q, Qi X, Jiang Z, Yang S, Han L (2008) Characterization of a pathogenesis-related class 10 protein (PR-10) from Astragalus mongholicus with ribonuclease activity. Plant Physiol Biochem 46 : 93-99 

  34. Zheng Q-L and Ishii H (2009)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genes related to phosphatidic acid synthesis in Japanese pear leaves inoculated with Venturia nashicola. J Gen Plant Pathol 75 : 413-421 

  35. Zhou X-J, Lu S, Xu Y-H, Wang J-W, Chen X-Y (2002) A cotton cDNA (GaPR-10) encoding a pathogenesis-related 10 protein with in vitro ribonuclease activity. Plant Sci 162 : 629-63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