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3, 2015년, pp.295 - 303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 장진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은 17세기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에 쓰인 목부재의 수종을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를 위하여 기둥, 창방, 평방, 추녀, 사래, 활주 총 42개의 시료를 조사하였다. 수종분석 결과 기둥, 창방, 평방, 활주는 모두 소나무류(경송류)로 식별되었다. 그러나 추녀는 느티나무 또는 은행나무였으며, 사래는 외래산 소나무류로 확인되어 다른 부재와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붕부 부재가 다른 부재에 비해 교체율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사래에 사용된 외래산 소나무류는 근래 보수 시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Daewungbojeon hall of Magoksa temple is a korean traditional wood building well representing Joseon Dynasty architecture in the 17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wood species of 42 wooden elements collected from Pillar (Gidung), Head-penetrating tie (Changbang), Pyeongba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마곡사 목조건축물의 기둥부재로 이용된 수종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 선행연구에 따르면 마곡사 목조건축물의 기둥부재로 이용된 수종은 소나무 51.5%, 느티나무 13.8%, Douglas fir 26.0%, Hemlock 3.6%, 기타 5.1%로 나타났다(Park et al. 2010). |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의 추녀와 사래만이 소나무류를 사용한 다른 부재들과 다르게 다른 수종을 사용한 이유는? | 그러나 추녀는 느티나무 또는 은행나무였으며, 사래는 외래산 소나무류로 확인되어 다른 부재와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붕부 부재가 다른 부재에 비해 교체율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사래에 사용된 외래산 소나무류는 근래 보수 시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
마곡사는 어떻게 창건되었는가?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의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자리 잡은 마곡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6교구 본사이다. 사찰의 창건은 640년(선덕여왕 9)에 당나라에서 귀국한 자장이 선덕여왕에게 하사받은 전 200결로 절을 창건하기 위한 터를 물색하다가 통도사, 월정사와 함께 세웠다는 설과 신라의 승려 무염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신라 말부터 고려 초까지 약 200년 동안 폐사가 된 채 도둑떼의 소굴로 이용되었던 것을 1172년(명종 2)에 보조국사 지눌이 왕명을 받고 중창하였다.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5. Standard specifications of Cultural Heritage Repai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 The precision measurement report of Daewungbojeon and Daekwngbojeon Hall in the Magoksa Temple, Gongju(I). Gungju City Hall, Chungcheongnam-do, Republic of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3. The repair report of Youngsanjon Hall in the Magoksa Temple, Gongju. Gungju City Hall, Chungcheongnam-do, Republic of Korea.
Lee, N.S. 2014. The Study on the Replacement Status of Roof Carpentry and Replacement Type by Components. A Study on Traditional Architecture 6: 53-93.
Lee, P.W. 1994. Structure of Wooden of the Tree Species Grown in Korea. Jungmin Publisher,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Lee, P.W. 1997. Wood Properties and Uses of the Tree Species Grown in Korea II. Seoul University Press, Seoul, Republic of Korea.
Lee, P.W. 1997. Wood Properties and Uses of the Tree Species Grown in Korea I. Seoul University Press, Seoul, Republic of Korea.
Min, B.W., Jang, H.D. 2012.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chunyeobu Study on analysis of types of damage. Buyeo, Republic of Korea, Proc. 2012yr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pp. 261-270.
Nouvelle vie a&c. 2013. Report on Safety Inspection of Daewungbojeon Hall in the Magoksa Temple, Gongju. Gungju City Hall, Chungcheongnam-do, Republic of Korea.
Park, B.S., Jung, S.H., Park, J.H., Seo, J.W. 2005. Species composition of wooden cultural assets pillar elements I. 2005yr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Technology, pp. 284-286.
Park, B.S., Jung, S.H., Park, J.H., Seo, J.W. 2005. Species composition of wooden cultural assets pillar elements II. 2005yr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Technology, pp. 287-289.
Park, B.S., Jung, S.H., Oh, J.A. 2010.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Magoksa Temple. 2010yr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Technology, pp. 409-410.
Park, S.J. 1987. Minute features of commercial timber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15(3): 68-88.
Park, S.J., Lee, W.Y., Lee, H.H. 1987. Wood Tissues and Species Identification. Hyangmoon Publisher, Seoul, Republic of Korea.
Park, W.G., Lee, K.H., Park, S.J. 2005. Changes in the Species of Woods Used for Korean traditional building materials. 2005yr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Technology, pp. 294-298.
Park, W.G., Lee, K.H. 2007. Changes in the Species of Woods Used for Korean Ancient and Historic Archite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6(1): 9-28.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995.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 Seoul, Republic of Kore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995.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7. Seoul, Republic of Korea.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