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화계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en Elements in Daewoong-jeon of Hwagye-temple, Seoul,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 no.5, 2020년, pp.326 - 332  

이광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목제문화재연구소) ,  박창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 화계사 대웅전의 목부재에 대한 수종과 연륜연대분석을 진행하여 재질과 정확한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웅전 목부재(27점)의 수종은 대부분 소나무속 중 경송류로 식별되었고, 대보 1점만 전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시료 채취하였으며, TSA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크로스데이팅 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보와 기둥과 같은 구조재 20점들에 대한 최외각 연도는 1839년에서 1870년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수피가 존재하는 5점의 벌채연도는 1869년과 1870년으로 나타내어, 2012년 실측조사에서 종도리 복장물에서 확인된 중건기록(1870년)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his study's objective was to conduct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for the wood elements of Daewoong-jeon(main temple), Hwagye-temple, Seoul, Korea. Most of the wood elements were made from Pinus spp.(hard pine). However, one large beam was constructed from Abies spp.. For the 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재로 지어진 건축물은 오랜 기간 주변 야외환경에 노출되어 부후와 손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교체 및 수리가 이루어지는데 서울 화계사 대웅전은 2005년 전까지의 수리기록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화계사 대웅전의 목부재에 대한 연륜연대분석법을 적용하여 중건기록에서 확인된 연대와 각 부재들의 연대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1870년 중건 이후 약 130년 동안 수리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0, Report on the survey and repair of the Gyeonghoeru. 326-332. (in Korean) 

  2. Kang, C.W., Kim, N.H., Kim, B.R., Kim, Y.S., Byun, H.S., So, W.T., Yeo, W.M., Oh, S.W., Lee, W.H. and Lee, H.H., 2008, Physics and mechanics of wood. Hyangmunsa, 47-48. (in Korean) 

  3. Kim, Y.J. and Park, W.K., 2005, Tree-ring dating of Korean furniture and woodcraft work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Modern era: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46, 247-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Lee, K.H., Son, B.H. and Park, W.K., 2013. Tree-ring dating of coffin woods excavated from Shinnae-dong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Wood Science & Technology, 41(5), 406-414. 

  5. Lee, P.W., 1997,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Korean wood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6-56. (in Korean) 

  6. Park, W.K. and Lee, K.H., 2007, Changes in the species of woods used for Korean ancient and historic archite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6(1), 9-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Park, W.K. and Lee, K.H., 2009. Tree-ring dating of coffin woods from Naeheung-dong in Gunsan, South Korea. IAWA Journal, 30(4), 459-468. 

  8. Park, W.K., Choi, J.K. and Kim, Y,J., 2006b, Analysis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of coffin woods excavated at Hopyungri, Namyangju,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8, 105-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Park, W.K., Son, B.H. and Han, S.H., 2003,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used for Tongmyungjeon hall of Changkyung palac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2(3), 53-6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Park, W.K., Yoon, D.H. and Park, S.H., 2006a,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coffin woods excavated at Ma-Jeon relic in Jeonju, Korea. Journal of Korean Wood Science & Technic, 34(6), 1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