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자저장방법 및 차광처리가 희귀식물 대청부채와 부채붓꽃의 발아와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torage Methods and Shading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Endangered Species, Iris dichotoma and Iris setos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1, 2015년, pp.60 - 66  

이수광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 ,  김효연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 ,  이기철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 ,  구자정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희귀식물인 대청부채와 부채붓꽃 종자저장방법과 적절한 차광처리를 구명하여 최적의 발아조건을 탐색하고 건전한 유묘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종자저장은 $-20^{\circ}C$, $2^{\circ}C$저장, $2^{\circ}C$ 습윤저장(30일, 60일), 노천매장, 상온저장의 6가지로 하였다. 차광처리는 온실내 대조구(무차광처리), 50% 차광처리, 80% 차광처리의 3가지로 하였다. 그 결과 대청부채의 발아율은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가장 높은 발아율(75%)을 나타내었으며 중간 저장성 종자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채붓꽃의 발아율은 대청부채와 비슷한 경향으로 60일 저온습윤저장시 9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80% 차광처리조건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95%)을 나타내었고, 건조한 조건에서 저장이 어려운 난저장성 종자로 생각된다. 대청부채의 유묘 특성은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초장 6.4 cm, 엽수 3매, 엽폭 4.6 mm, 엽장 5.7 cm, 근장 11 cm, 생중량(지상/지하부) 144 mg/260 mg, 건중량(지상/지하부) 31 mg/20 mg, 유묘활력지수와 변형된 활력지수가 각각 13,895 및 9,479로 가장 우수한 유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부채붓꽃의 유묘 특성 또한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초장 7.2 cm, 엽수 4매, 엽폭 3.2 mm, 엽장 6.8 cm, 근장 7.5 cm, 생중량(지상/지하부) 97 mg/153 mg, 건중량(지상/지하부) 17 mg/17 mg, 유묘활력지수와 변형된 활력지수가 각각 13,256 및 8,668로 가장 우수한 유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청부채와 부채붓꽃 종자는 60일 저온습윤저장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 파종시 각각 75%, 90% 이상의 발아율과 양질의 우수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 storage method ($-20^{\circ}C$, $2^{\circ}C$ dry, $2^{\circ}C$ wet 30 days, $2^{\circ}C$ wet 60 days, stratification and room temperature) and shading treatment(control, 50%, 80%) on seed germin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희귀식물이지만 유용성과 잠재성이 풍부한 대청부채와 부채붓꽃의 종자발아를 통한 대량증식을 위해 수행되었다. 대청부채와 부채붓꽃의 종자저장방법(-20℃, 2℃저장, 2℃ 습윤저장(30일, 60일), 노천매장, 상온저장)과 적절한 차광처리(온실내 차광처리 대조구, 50% 차광처리, 80% 차광처리)를 구명하여 최적의 발아조건을 탐색하고 건전한 유묘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청부채의 발아율은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가장 높은 발아율(75%)을 나타내었으며 중간 저장성 종자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특히 종자휴면이 있거나 발아가 어려운 종자가 발아하는 환경은 유묘가 자라기 적절한 조건(Bellairs and Bell, 1990)으로 종자가 발아하는 환경과 이에 따른 유묘특성연구는 희귀특산식물의 대량증식 뿐만 아니라 적절한 복원지를 탐색하는데 간접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희귀식물인 대청부채와 부채붓꽃 종자저장방법과 적절한 차광처리를 구명하여 최적의 발아조건을 탐색함과 동시에 건전하고 우량한 유묘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희귀식물이지만 유용성과 잠재성이 풍부한 대청부채와 부채붓꽃의 종자발아를 통한 대량증식을 위해 수행되었다. 대청부채와 부채붓꽃의 종자저장방법(-20℃, 2℃저장, 2℃ 습윤저장(30일, 60일), 노천매장, 상온저장)과 적절한 차광처리(온실내 차광처리 대조구, 50% 차광처리, 80% 차광처리)를 구명하여 최적의 발아조건을 탐색하고 건전한 유묘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자를 통한 실생번식은 어떤 정보들이 제공되어야 하는가? 종자를 통한 실생번식은 종자의 채종시기, 저장방법, 파종시기, 발아환경 등 실생번식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국내 희귀식물의 실생번식 연구는 주로 실험실수준(Ro et al.
발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종자저장방법 6가지는 무엇인가? 종자저장방법은 -20oC, 2oC저장, 2oC 습윤저장(30일, 60일), 노천매장, 상온저장의 6가지로 하였다. 저온습윤저장은 파종 30일과 60일 전 petridish에 여과지(Whatman No.
종자저장방법 중 저온습윤저장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종자저장방법은 -20oC, 2oC저장, 2oC 습윤저장(30일, 60일), 노천매장, 상온저장의 6가지로 하였다. 저온습윤저장은 파종 30일과 60일 전 petridish에 여과지(Whatman No. 1) 2매를 깔고 종자를 넣고 증류수 5 ml를 공급한 후 parafilm으로 밀봉하였다. 배지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주일 간격으로 증류수를 보충해 주었다. 노천매장은 파종 60일 전에 30 cm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종자 망에 종자를 넣어 야외에 묻어 저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dul-Baki, A.A. and Anderson, J.D. 1973. Vigour determination in soybean seed by multiple criteria. Crop Science 13: 630-633. 

  2. Afrakhteh, S., Frahmandfar, E., Hamidi, A., and Ramandi, H.D. 2013.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ling vigor in two cultivars of soybean dri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 and fluidized bed dryer.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and Crop Sciences 5: 2537-2544. 

  3. Bao-chun, F.U. and Wei, B.O. 2012. Study on seeds germin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ris pseudacorus L. Journal of Shanxi Agricultural Sciences 2012: 12. 

  4. Baskin, C.C. and Baskin, J.M. 1988. Germination ecophysiology of herbaceous plant species in a temperate region. Journal of Botany 75: 286-305. 

  5. Bellairs, A.M. and Bell, D.T. 1990. Temperature effects on the seed germination of ten Kwongan species from Eneabba, Western Australia. Australia Journal of Botany 38: 451-458. 

  6. Berjak, P. and Pammenter, N.W. 2002. Chapter 4. Orthodox and recalcitrant seeds. In: Vozzo, J.A(eds), Tropical tree seed manual. USDA Forest Service. pp. 137-147. 

  7. Burkart, M., Alsleben, K., Lachmuth, S., Schumacher, J., Hofmann, R., Jeltsch, F., and Schurr, F.M. 2010. Recruitment requirements of the rare and threatened Juncus atratus. Flora 205: 583-589. 

  8. Chien, C.T., Kuo-Huang, L.L., and Lin, T.P. 1998. Changes in ultrastructure and abscisic acid level, and response to applied gibberellins in Taxas mairei seeds treated with warm and cold stratification. Annals of Botany 81: 41-47. 

  9. Cho, J.S., Kwon, H.J., Jeong, J.H., Kim, S.Y., and Lee, C.H. 2013.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 and priming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of Ranunculus trichophyllus var. kazusensis(Makino) Wiegleb, endangered species in Korea. Symposium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2013. pp. 33. (in Korean) 

  10. Eom, T.H., Kim, J.H., Lee, S.I., and Jeong, J.G. 2013. A herba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Iridaceae in Korea.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8: 85-93. (in Korean) 

  11. Fenner, M. and Thompson, K. 2005. The ecology of se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p. 106. 

  12. Holloway, P.S. 1987. Seed germination of Alaska iris, Iris setosa ssp. interior. HortScience 22: 898-899. 

  13. Kim, H.D., Kim, H.L., Kwack, Y.B., Choi, Y.H., and Lee, A.R. 2010. Effects of storage condition, storage period, and priming on seed germination of Corylopsis coreana. Flower Research Journal 18: 266-2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H.J., Lee, K.C., and Suh, G.U. 2013. Effects of temperature and gibberellin treatment on embryo development and germination of Sambucus racemosa subsp. pendula see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 204-2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Rare plants in Korea. Sumeunkil. Gyeonggi, Korea. pp. 46, 70. (in Korean) 

  16. Lashkarian, G.E., Kalatehjari, S., and Khosroshahli, M. 2012. Seed dormancy breaking evaluation of two subspecies seashore iris, Iranian native, through in vitro culture.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Technology 2: 56-60. 

  17. Lee, E.J. and Koh, J.C. 2002. Improvement of seed germination in native Iris sanguinea Donn ex Horn.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0: 345-3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J.H., Lee, C.H., Park, G.W., and Song, C.Y. 2007. Forcing date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flowering of Iris koreana and Iris minutoau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 699-7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Y.N. 2006. New Korean illustrated plant book 1. Kyohaksa, Seoul, Korea. pp. 478-487. (in Korean) 

  20. Marenco, R.A. and Reis, A.C.S. 1998. Shading a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the growth of Ischaemum rugosum. Revista Brasileira de Fisiologia Vegetal 10: 107-112. 

  21. Noh, H.S., Jeong, B.C., Lee, K.K., and Lee, J.S. 2004. Studies of the proper shading levels for the native ground cover plants. Flower Research Journal 12: 329-3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Ren, J. and Tao, L. 2004. Effects of different pre-sowing seed treatments on germination of 10 Calligonum speci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5: 291-300. 

  23. Ro, N.Y., Song, E.Y., Kim, S.C., Jang, K.C., Moon, D.Y., and Kang, K.H. 2008.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promotion of germination rate in Pollia japonica Thunb.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1: 144-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hen, Y.G., Guan, K.Y., Wang, Z.L., and Feng, B.J. 2005. The studies on seed germination of four species of Iris in China. Seed 24: 21-25. 

  25. Stoltz, L.P. 1968. Iris seed dormancy. Physiologia Plantarum 21: 1328-1331. 

  26. Wees, D. 2004. Stratification and priming may improve seed germination of purple coneflower, blue-flag iris and evening primrose. Acta Horticulturae 629: 391-394. 

  27. You, K.H. 2010. A comparative studie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ffecting on regeneration of nine species Iridaceae native to Korea. Ms thesis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pp. 14-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Zhang, D., Hu, D., and Smagula, J. 2000. Temperature and gibberellin acid on seed germination of Iris versicolor L. HortScience 35: 4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