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간재배 시 차광과 부엽토 처리에 따른 갯기름나물의 생장 및 광합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Peucedanum japonicum by Shading and Leaf Mold Treatment in Forest Farming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78 - 85  

송기선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전권석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최규성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 ,  김창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박용배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김종진 (건국대학교 녹지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산채인 갯기름나물을 대상으로 임간재배지 내 차광과 부엽토가 갯기름나물의 생장 및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다 고품질의 갯기름나물을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산량 증대 및 친환경 재배기술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전광 및 35%, 50%, 75% 차광으로 총 4차광처리와 부엽토처리(대조구, 침엽부엽토, 활엽부엽토)를 하였다. 초장, 줄기직경, 근원직경, 줄기수, 건중량은 전광 내 활엽부엽토에서 가장 높았으며, 엽면적, 엽장, 엽폭은 35% 차광 내 활엽부엽토에서 가장 높았다. 광합성, 기공전도도, 증산율, 수분이용효율은 전광 내 활엽부엽토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광합성률은 모든 차광에서 활엽부엽토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차광률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갯기름나물을 친환경적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임간재배에서 35% 차광(상대광도 51.1%) 후 활엽부엽토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생장을 보여 생산량 증대와 고품질 갯기름나물의 생산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hading and leaf mold treatm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sis responses of Peucedanum japonicum in forest farming. It is very valuable as a sort of health food, so that the demand for the vegetable has increased recently. The ex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산채인 갯기름나물을 대상으로 자연 그대로에서 생육된 갯기름나물과 유사한 품질로 생산하기 위해 임간재배지 내에서 차광과 부엽토 처리를 하여 갯기름나물의 최적 생육환경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임간에서 자생하는 산채와 유사한 고품질의 갯기름나물을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산량 증대 및 친환경 재배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산채인 갯기름나물을 대상으로 자연 그대로에서 생육된 갯기름나물과 유사한 품질로 생산하기 위해 임간재배지 내에서 차광과 부엽토 처리를 하여 갯기름나물의 최적 생육환경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임간에서 자생하는 산채와 유사한 고품질의 갯기름나물을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산량 증대 및 친환경 재배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간재배지의 생육환경이 갯기름나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갯기름나물의 초장의 경우, 대조구와 침엽부엽토에서는 차광률이 높아질수록 커져 75% 차광에서 가장 컸으나 활엽부엽토에서는 전광에서 가장 컸고 차광률이 높아질수록 작아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용식물의 활용도 변화는 어떠했는가? 식용식물은 대부분 1960년 이전까지 구황작물로서 이용되어 왔는데, 현재는 국민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유기농 및 무농약으로 재배된 작물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생산자의 소득 증가와 소비자의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구조로 의식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독특한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는 건강 기호식품인 자연산 산채류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Park et al.
산채란 무엇인가? 산채란 인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 아닌, 산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그 중 식용이 가능한 식물을 말한다. 참죽, 두릅, 찔레와 같이 나무의 순을 이용하는 것도 있으나, 초본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실제로는 기호성이 좋고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식물 80여종 정도만을 산채로 이용하고 있다(Nam and Baik, 2005).
갯기름나물의 연한 부분의 활용도는 어떠한가? 열매는 타원형이며, 잔털이 있고 뒷면이 능선이 실처럼 가늘다. 연한 부분을 나물로 한다(Lee, 2006). 갯기름나물에 대한 연구로는 면역효과(Cho, 2004), 생리 활성(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yeon, J.Y., Lee, S.S., Choi, G.S., and Kang, S.M. 2010. Crop physiology. Hyangmoon Press. Seoul, Korea. pp. 1-482. 

  2. Chea, Y.A., Kim, S.M., Kim, G.S., Yoo, C.Y., Yang, D.C., Song, C.G., and Kang, J.H. 2007. Medical botany. Hyangmoon Press. Seoul, Korea. pp. 1-246. 

  3. Cho, Y.H.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munizing and anti-cancer effect of the root and the aerial par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 1-33. 

  4. Choi, M.S., Kim, G.N., Park, G.S., and Lee, S.W. 2010. Physiological response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igularia stenocephala growing at different fertilizing scheme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9: 97-108. 

  5. Chung, S.H., Kim, K.J., Suh, D.H., Lee, K.S., and Choi, B.S. 1994. Changes in growth and yield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by planting time, mulching, and planting densit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 121-126. 

  6. Faria, T., Garcia-Plazaola, J.I., Abadia, A., Cerasoli, S., Pereira, J.S., and Chaves, M.M. 1996. Diurnal changes in photoprotective mechanisms in leaves of cork oak (Quercus suber) during summer. Tree Physiology 16: 115-123. 

  7. Gwak, J.S., Sung, H.G., and Chang, G.J. 2011. Cultivation of medicinal plants. BlueHappy Publisher. Seoul, Korea. pp. 1-423. 

  8. Ha, J.B., Lim, C.S., Kang, H.Y., Kang, Y.S., Hwang, S.J., Mun, H.S., and An, C.G. 2012. Effect of shading method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aprika in summer season.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1: 419-427. 

  9. Hiroki, S. and Ichino, K. 1998. Comparison of growth habits under various light conditions between two climax species, Castanopsis sieboldii and Castanopsis cuspidat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shade tolerance. Ecological Research 13: 65-72. 

  10. Jeon, K.S., Song, K.S., Choi, K.S., Kim, C.H., Park, Y.B., and Kim, J.J. 2015. Growth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Atractylodes japonica by light controls and leaf mold treatment in forest farmi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3: 161-167. 

  11. Kim, D.H., Han, C.S., Kim, G.E., Kim, J.H., Kim, S.G., Kim, H.K., Oh, O.J., and Whang, W.K. 2009. Biolosical activities of isolated compounds from peucedani radix. Yakhakhoeji 53: 130-137. 

  12. Kim, G.N., Cho, M.S., and Kwon, K.W. 2010a. Analysis growth performance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under changing light intens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 68-74. 

  13. Kim, G.N., Cho, M.S., and Lee, S.W. 2010b.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hree deciduous hardwood seed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 regime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9: 36-48. 

  14. Kim, J.W., Yoon, J.H., Jeon, K.S., Jung, J.M., Jung, H.R., Cho, M.G., and Moon, H.S. 2012. Growth characteristics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um by shading treatment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 19-25. 

  15. Kim, M.J. 2015. Effects of intake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extract and its application to the skin o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skin conditions. Ph. D. Thesis. Konkuk University pp. 1-144. 

  16. Kim, S.M., Shin, D.I., Yoon, S.T., and Song H.S. 2007. Distribution patter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by ordination method in southern coast of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9: 285-290. 

  17. Kwon, K.W., Kim, G.N., and Cho, M.S. 2009.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hree wild vegetable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 106-114. 

  18. Lee, K.C., Lee, H.B., Park, W.G., and Han, S.S. 2012a. Physiological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Parasenecio firmu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 79-89. 

  19. Lee, K.C., Noh, H.S., Kim, J.W., Ahn, S.Y., and Han, S.S. 2012b. Changes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photosynthesis in Synurus deltoide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 320-330. 

  20. Lee, S.Y., Kim, H.J., Bae, J.H., Shin, J.S., and Lee, S.W. 2007. Effect of shading on shoot growth and quality of Sedum sarmentosum in Korea.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6: 388-394. 

  21. Lee, T.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I). Hyangmoon Press. Seoul, Korea. pp. 1-853. 

  22. Nam, Y.K. and Baik, J.A. 2005. Status of research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about endemic wild vegetabl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People, Plants, Environment 8: 1-10. 

  23. Park, J.M., Kang, J.H., and Kim, M.B. 2004.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ffected by shading and flower bud pinchi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 231-236. 

  24. Park, N.K., Lee, S.H., Chung, S.H., Park, S.D., Choi, B.S., and Lee, W.S. 1995. Effects of fertilization and mulching on yield and quality of Peusedanum japonicum Thunber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3: 16-20. 

  25. Park, S.B., Kim, M.J., Park, Y.M., Hwang, S.I., and Kim, E.G. 2012. Profitability analysis for Ligularia fischeri forest farmi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3): 426-433. 

  26. Renuka, C., Thomas, J.P., and Rugmini, P. 2007. Effects of light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edible shoots of rattan. Journal of Tropical Forest Science 19: 164-167. 

  27. Salisbury, F.B. and Ross, C.W. 1992. Plant physiology (4th ed.).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Belmont. California, USA. pp. 1-257. 

  28. Song, K.S., Jeon, K.S., Kim, C.H., Yoon, J.H., Park, Y.B., and Kim, J.J. 2014. Effect of shading level o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fischeri seedling.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3: 88-94. 

  29. Song, K.S., Jeon, K.S., Yoon, J.H., Kim, C.H., Park, Y.B., and Kim, J.J. 2014.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root development of Peucedanum japonicum seedling by shading rate and container Siz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 384-390. 

  30. Strothmann, R.O. 1967. The influence of light and moisture on the growth of red pine seedlings in Minnesota. Forest Science 13: 182-191. 

  31. Witkowski, E.T.F. and Lamont, B.B. 1991. Leaf specific mass confounds leaf density and thickness. Oecologia 88: 486-4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