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시군구 임목축적량 통계 산출 기법 개발
Estimations of Forest Growing Stocks in Small-area Level Considering Local Forest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1, 2015년, pp.117 - 126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김철민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군구 단위 산림통계의 사회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현실을 반영한 산림통계 산출이 어려운 상황에 있다. 따라서, 시군구 산림 통계 산출을 위하여 해당 시군구의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주변 지역의 자료를 함께 활용하여 통계량의 오차 수준을 감소시키고 소면적 통계량이 해당 지역 산림의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소면적 통계산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면적 지역과 특성 구조가 유사하다는 가정을 만족하면서 통계산출을 위한 최소한의 표본점 개수를 확보하기에 적정한 공간 단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산림의 지역적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기후, 토양, 수종 구성 등의 동질성을 기준으로 구획된 확장시군구 기반의 합성추정법, 시 도 단위 자료를 이용하는 기본계획구 합성추정법, 인접 시군구 자료를 이용하는 이웃시군 합성추정법을 비교하고, 이 방법들을 통해 산출된 임목축적 통계의 지역적 특성 설명력과 상위 통계와의 관계에 대한 평가를 수행했다. 그 결과, 확장시군구 합성추정법이 기본계획구 합성추정과 이웃시군 합성추정보다 지역적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하는 통계를 산출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확장시군구 합성추정법을 통해 산출된 통계량은 시도 단위로 산출된 통계량의 95% 신뢰구간 내에 포함되었으며, 이웃시군 합성추정법에 의해 산출된 결과보다 시도단위 통계량과의 차이가 적게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statistics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have many social needs, nevertheless we have some difficulties for working out an accurate statistics because of insufficient data in small-area level. Thus, new small-area estimation method has to set aside additional data, decrease errors of st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형기반 추정은 소면적 통계산출과 동시에 세밀한 공간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위 통계와의 적합성 및 활용성 부분에서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여건에 맞는 소면적 통계산출 방법을 선정하기 위해 국내 산림통계 산출의 기존 접근방법이자 비산림분야에서도 오랜 기간 검토가 이루어진 합성추정법의 적용방법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통계산출 대상인 소지역과 소지역을 포함한 대지역의 특성구조가 유사하다는 가정을 만족하면서 산림통계 산출을 위한 최소한의 표본점 개수를 확보할 수 있는 공간단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새롭게 도출된 공간 구분 기준을 적용한 합성추정법을 통해 소면적 통계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소면적통계 산출을 위해 기본계획구 자료를 이용해왔던 기존 방법, 이웃시군의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새로운 산림공간구획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지역적 특성 반영 효과와 오차수준의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다.
  • 그리고 소면적통계 산출을 위해 기본계획구 자료를 이용해왔던 기존 방법, 이웃시군의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새로운 산림공간구획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지역적 특성 반영 효과와 오차수준의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국내 실정에 가장 적합한 합성추정법 기반 소면적 산출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표본점 개수가 제한적인 소면적의 통계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주변 표본점 자료를 활용을 하는 동시에 지역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동질성을 고려한 새로운 확장시군구 구획을 통한 합성추정법을 적용하였으며, 이 결과와 기존에 다루어졌던 기본계획구 합성추정법, 이웃시군 합성추정법을 비교하여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어떤 조사인가? 국가산림자원조사는 국가 단위 산림자원의 현황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산림자원조사로서, 전국 산림을 모집단으로 하여 표본을 배치하고 산림지역 표본점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하여 산림자원의 현황을 파악하여 국가 산림통계를 산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국가산림자원조사의 표본점은 계통추출법을 적용하여 전국에 걸쳐 4×4 km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소면적 통계 산출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국내외에서는 연구되고 있는 소면적 통계 산출방법은 크게 자료기반추정방법, 공간모형기반추정방법으로 나눌수 있다. 자료기반추정에는 해당 소면적의 자료로만 통계량을 추정하는 직접추정법과 주변자료를 활용하여 추정하는 간접추정법(합성추정, 복합추정)이 있으며, 모형기반 추정은 소면적 내 보조자료들을 활용하여 통계산출을 하는 지역단위모형(EBLUP 등)과 임상도나 위성영상을 이용한 공간모형으로 나뉠 수 있다.
기본계획구 기준이 갖고 있는 한계점은? 기본계획구 기준은 과거 산림통계 산출시 적용되어 왔던 방법이다. 그러나 소지역과 대지역의 특성구조가 유사하다는 가정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시·도 규모 내에서 발생하는 지역적 산림특성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장치가 부재하여 개선이 요구된다. 이웃시군 기준은 해당시군을 둘러싸고 있는 시군을 대면적으로 산정하여 표본점을 공유해서 통계산출을 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웃시군을 대상지 내의 시군에 한해 설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 S.W., Lim, J.H., Kim, S.J., and Lee, M.B. 2012. Economic tree species(1) Pine Tr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p. 250. 

  2. Bechtold, W.A., Patterson, P.L.(Editors). 2005. The enhanced forest inventory and analysis program - national sampling design and estimation procedures. General Technical Report SRS080. USDA Forest Service. NC. U.S.A. pp. 85. 

  3. Cho, H.K., Yoo, B.O., Kim, S.H., Ryu, J.H., Kim, J.C., Seo, S.H., Kim, J.S., Lee. J.B., and Kim, H.H. 2012. Production and update of large scale forest type map using the digital airphoto.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p. 135. 

  4. Chung, S.Y., Yim, J.S., Cho, H.K., Jeong, J.H., Kim, S.H., and Shin, M.Y.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for Muju county using biomass conversion table and remote sensing da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4): 409-416. 

  5. Jeong, J.H., Won, H.K., and Kim, I.H.. 2004. Forest Site in Korean -Forest Soil-.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p. 621. 

  6. Kang, Y. and Jang, S. 2007. A Study on the Delimitation of Census Output Areas in Korea.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0(1): 15-36. 

  7. Kim, D.H. and Kim, J.K. 2004. Estimating local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Statistics Korea. pp. 123. 

  8. Kim, E.S., Kim, K.M., Lee, J.B., Lee. S.H., and Kim, C.C. 2011.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455-465. 

  9. Kim, J.S., Hwang, H.J., and Shin, K.I. 2008. Comparison of spatial small-area estimators based on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1(5): 855-866. 

  10. Kim, S.H., Kim, J.C., Yoo, B.O., Yim, J.S., and Jung, I.B. 2011.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p. 166. 

  11. Korean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3. Assessment for forest resources of Korea : 2006-2012. Korean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Seoul, Korea. pp. 267 

  12. Kwon, S.P. 2007. Small-area estimation of employment statistics. pp. 54-80. In : Improvement of statistics technique for development of national statistics,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13. Lee, S.W., Won, H.K., Jung, Y.H., Jeong, J.H., Koo, K.S., Kang, Y.H., Son, Y.M., and Shin, M.Y. 2009. History and application of optimum site determination system of the tree speci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p. 128. 

  14. Lee, K.S. and Shin, K.I. 2008. Comparison of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s for lattice data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1(3): 387-397. 

  15. Shin, J.H. and Kim, C.M. 1996. Ecosystem classification in Korea(I): Ecoprovince classification. FRI Journal of Forest Science 54. pp. 188-199. 

  16. Shin, J.H., Kwon, J.H., Oh, J.H., Chun, J.H., Lim, J.H., Yang, H.M., and Kim, Y.K. 2009. Korean forest landscape and ecosystem zoning.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p. 52. 

  17. Smith, W.B. 2002. Forest Inventory and analysis: a national inventory and monitoring program. Environmental Pollution 116. pp. S233-S242. 

  18. Tomppo, E., Katila, M., Haakana, M., and Persaari, J. 2010. The multi-source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Finland-methods and results 2005. Finnish Forest Research Institute. Vantaa, Finland. pp. 59. 

  19. Yim, J.S., Han, W.S., Jung, I.B., Kim, S.H., and Shin, M.Y. 2010. Application of synthetic estimator for estimating forest growing stock volumes at the small-area level.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3): 285-291. 

  20. Yim, J.S., Yoo, B.O., and Shin, M.Y. 2012. Comparison of forest growing stock estimates by distance-weighting and stratification in k-Nearest Neighbor Techniqu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3): 374-380. 

  21. Yoo, S.H., Heo, J., Jung, J.H., Han, S.H., and Kim, K.M. 2011.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using Landsat TM and ratio images-kNN algorithm and regression model prior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9(2): 39-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