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루묵 수산자원회복계획에서의 TAC정책 평가
Evaluating the TAC Policy in the Sandfish Stock Rebuilding Plan 원문보기

水産經營論集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46 no.1, 2015년, pp.29 - 39  

김도훈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TAC policy and to examine the effective annual TAC quota in the sandfish stock rebuilding plan using a bioeconomic modelling method. In the analysis, first, a sandfish bioeconomic model was developed by combining a sandfish stock population model and economic mode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루묵 수산자원의 회복 및 관리를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TAC 정책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수산자원회복계획 추진 이후 도루묵 자원량 및 어획량은 지금까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2014년도부터는 어획량의 감소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도루묵 어업자원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동해구기선저인망 도루묵 연간 TAC 물량을 1,500톤, 2,500톤, 3,500톤, 그리고 4,000톤 수준으로 나누어 각각의 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분석 결과, TAC 1,500톤 설정 하에서 현 상태가 유지되는 상황(status quo)과 비교해 자원량 증대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분석에 있어서는 도루묵 자원평가모델과 도루묵 대상어업별 경제모델을 결합한 도루묵 생물경제 모델을 구축하고, 과거 및 현재 TAC 물량 수준별에 따른 자원회복기간 내 도루묵 수산자원회복 목표량 달성 여부, 어업별 어업수입 변화 등을 분석하고, 도루묵 자원회복을 위해 보다 유용한 TAC 물량 수준을 평가·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경제 모델 기법을 활용하여 도루묵 수산자원회복계획에 있어서의 현행 TAC 정책 효과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연간 TAC 물량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분석에 있어서는 도루묵 자원평가모델과 도루묵 대상어업별 경제모델을 결합한 도루묵 생물경제 모델을 구축하고, 과거 및 현재 TAC 물량 수준별에 따른 자원회복기간 내 도루묵 수산자원회복 목표량 달성 여부, 어업별 어업수입 변화 등을 분석하고, 도루묵 자원회복을 위해 보다 유용한 TAC 물량 수준을 평가·제시하고자 한다.
  • 현 상태 유지는 도루묵 자원회복계획의 현재 상황이 지속됨으로써 생물적·경제적 효과를 평가함과 동시에 도루묵 TAC 정책 연간 물량별 변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 분석되었다.

가설 설정

  • (2014)과 최근 어획량과 시장가격 수준을 조사·분석하여 동해구기선저인망의 도루묵 어획량 1,500톤에 대한 시장가격은 2,287천 원, 2,500톤 1,590천 원, 3,500톤 1,221천 원, 그리고 4,000톤에 대한 시장가격은 1,037천 원으로 가정하였다.
  • 어업별 어획노력량 수준은 어업별 어선척수에 어선별 연간 조업일수를 곱한 어업별 총조업일수(출어횟수×출어당 조업일수×어선척수)로 가정하였다.
  • 여기서, i 〓 1, 2로 연안자망과 동해구기선저인망을 각각 의미하고, 향후 발생할 어업수입에 대한 사회적 할인율은 5.5%를 우선 가정하였다.
  • 어업별 도루묵 생산함수 추정에 있어서는 도루묵 어획의 주요 대상어업인 연안자망과 동해구기선저인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안자망의 도루묵 생산함수[hCG(ECG, X)]와 동해구기선저인망의 도루묵 생산함수[hDS(EDS, X)]는 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루묵 어업자원량(X)과 어획 노력량(E) 수준에 대해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형태로 가정하였다(Anderson, 1986; Clark, 1990; Conrad, 199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체 도루묵 어획량의 변화는 어떠한가? 도루묵 전체 어획량 변화를 살펴보면,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71년 약 25,000톤을 달성한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79년에는 약 1,400톤으로 급감하였다. 하지만 이후 다시 어획량이 증가하기 시작해 1987년에는 12,000톤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다시 어획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도루묵 수산자원회복계획이 시작된 2006년에는 약 2,650톤 수준에 이르렀다. 2006년 도루묵이 시범사업 대상종으로 선정되어 수산자원회복계획이 추진된 이후 도루묵 어획량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2007년 약 3,800톤, 2009년 약 4,000톤, 2012년 약 5,500톤, 그리고 2013년에는 약 6,300톤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4년에는 약 4,700톤 수준으로 전년도인 2013년에 비해 26%정도 감소하였다.
목표 회복수준은 어떻게 설정되는가? 수산자원회복계획의 수립과 운영에 있어서는 현재 자원량(어획량) 수준을 조사·평가한 뒤 목표 회복수준과 회복기간, 그리고 목표 달성을 위한 효과적인 어업관리 정책수단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Kim, 2004; Khwaja and Cox, 2010). 현행 수산자원회복계획 하에서 목표 회복수준은 과거의 자원변동 상황을 고려하고, 향후 여건을 감안하여 현실성 있는 수준으로 설정되고 있다. 그리고 자원회복기간은 어업자원의 수명과 자원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있다(NFRDI, 2014).
자원회복기간은 어떻게 설정되는가? 현행 수산자원회복계획 하에서 목표 회복수준은 과거의 자원변동 상황을 고려하고, 향후 여건을 감안하여 현실성 있는 수준으로 설정되고 있다. 그리고 자원회복기간은 어업자원의 수명과 자원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있다(NFRDI, 2014). 예를 들어, 도루묵을 포함한 대부분의 어업자원 회복기간을 10년으로 설정하고, 자원회복의 목표는 현재 어획량 수준 등을 바탕으로 자원회복기간 동안 연간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derson, L. G. (1986), The Economics of Fisheries Management,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 Choi, J. Y. and Kim, D. H. (2012), "An Exploratory study on determining optimal fishing effort and production levels of danish seine fishery under the sandfish stock rebuilding plan,"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3 (1), 1-9. 

  3. Clark, C. (1990), Mathematical Bioeconomics,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4. Conrad, J. (1999), Resource Econo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Davis, J. C. (2010), Rebuilding fisheries : Challenges for fisheries managers, The Economics of Rebuilding Fisheries Workshop Proceedings, OECD. 

  6. Haddon, M. (2001), Modelling and Quantitative Methods in Fisheries, Champman & Hall/CRC. 

  7. Holland, D. (2010), Economic considerations and methods for evaluating fishery rebuilding strategies, The Economics of Rebuilding Fisheries Workshop Proceedings, OECD. 

  8. Kim, D. H. (2003), "A bioeconomic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otal Allowable Catch(TAC) policy under the rebuilding plan,"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12 (4), 663-686. 

  9. Kim, D. H. (2004), "A bioeconomic analysis on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 management policies in the multispecies fishery,"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35 (1), 1-22. 

  10. Kim, D. H. (2004), The concept of fish stock rebuilding plan and its application, KMI Report 2004-5, Korea Maritime Institute. 

  11. Khwaja, S. and Cox, A. (2010). Rebuilding Fisheries: An overview of issues and policy approaches in the OECD. The Economics of Rebuilding Fisheries Workshop Proceedings, chapter 2. OECD. 

  12. Lee, D. J., Larkin, S. L. and Adams, C. M. (2000), "A bioeconomic analysis of management alternatives for the U.S. North Atlantic Swordfish fishery," Marine Resource Economics, 15 (2), 77-96. 

  13. Lee, S. I., Yang, J. H., Yoon, S. C., Chun, Y. Y., Kim, J. B., Cha, H. K., and Choi, Y. M. (2009), "Biomass estimation of sailfin sandfish in Korea waters," Kor J Fish Aquat Sci, 42(5), 487-493. 

  14. MOF(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5), A study on mid- and long-term implementation of fish stock rebuilding pla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5. MOF(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a), Fisheries Production Statistic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6. MOF(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b), Report of Fish Stock Rebuilding Plan Regional Scientific Committe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7. MOF. Fisheries Information Portal (www.fips.go.kr) 

  18. NFFC. (2014), Report of Fishing Business Survey,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19.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2), Stock Assessment of major coastal and offshore fish species in Korea, SP-2012-FR-002,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4), The Status of Fish Stock Rebuilding Plan, Report of Fish Stock Rebuilding Plan Regional Scientific Committe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1. Seo, Y. I., Chung, Y. H. and Kim, D. H. (2014),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s and catch amounts of sandfish using a cointegration test," J Kor Soc Fish Technol, 50 (4), 502-5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