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로변 완충녹지 구조에 따른 소음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Noise Decreasing Effects by Structures in Roadside Buffer Gree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4 no.5, 2015년, pp.647 - 655  

김정호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오득균 (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윤용한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targeting Songpa of Seoul, were analyzed the effect on the noise mitigation in roadside buffer green spaces. Noise of Songpa Street buffer green space was determined to be higher during the day than at night. In addition, it was most of 60 db or more. However, the noise reduction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도시화가 진행된 서울특별시 중 지속적 도시화가 예상되는 송파구를 대상으로 도심지의 완충녹지가 소음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식재유형 및 녹지구조와 소음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도시지역내 공원녹지 확보량 및 쾌적한 도시관리의 지표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도시화가 진행된 서울특별시 중 향후 지속적 도시화가 예상되는 송파구를 대상으로 도심지 식재되어 있는 완충녹지가 소음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송파대로변의 완충녹지의 식재유형 및 토지이용 현황과 공간기능별 지형구조, 식재구조를 조사 분석하였고, 이를 식재구조와 소음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소음저감형 완충녹지 조성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도시지역 내 소음저감 및 쾌적한 도시관리의 지표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도시화가 진행된 서울특별시 중 향후 지속적 도시화가 예상되는 송파구를 대상으로 도심지 식재되어 있는 완충녹지가 소음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송파대로변의 완충녹지의 식재유형 및 토지이용 현황과 공간기능별 지형구조, 식재구조를 조사 분석하였고, 이를 식재구조와 소음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소음저감형 완충녹지 조성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도시지역 내 소음저감 및 쾌적한 도시관리의 지표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도시화가 진행된 서울특별시 중 지속적 도시화가 예상되는 송파구를 대상으로 도심지의 완충녹지가 소음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식재유형 및 녹지구조와 소음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도시지역내 공원녹지 확보량 및 쾌적한 도시관리의 지표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물리적 차이에 따른 녹지특성과 소음감소량을 통계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으로 Duncan’s multiple rage test를 실시하였다. 분산분석 결과(Table 1), 유의확률 0.000으로 물리적 구조에 따른 소음감소량을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물리적 구조에 따른 소음감소량에는 차이가 있다는 대립가설을 채택하였다. 또한, 물리적 구조간 비교를 위하여 Duncan’s multiple rage test를 실행한 결과(Table 3), Type M > Type S = Type F의 순으로 소음감소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측정시간대의 차이에 따른 소음을 통계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Table 2). 측정 시간대의 차이에 따른 각 지점별 소음측정값은 Ta, Tb, Tc지점 모두 유의확률 0.001로 주간과 야간의 소음정도는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측정시간대에 따른 소음정도는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채택하였다. Ta 지점의 경우, 주간의 측정값이 야간의 측정값에 비하여 신뢰구간 95% 내에서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도시 환경오염이 심각해진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60~70년대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으로 인해 수도권의 도시집중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생태계파괴와 산림훼손 그리고 도시에서의 전기와 냉난방과다사용, 차량증가에 의한 배기가스와 먼지 소음 폐기물 수질오염 등으로 도시 환경오염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시 환경오염은 우리나라뿐만 아닌, 세계적인 관심사이며, 현재에는 대도시가 오염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의 확보 및 각종 환경 위해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녹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있다.
완충녹지는 어떠한 기능을 갖고 있는가? 도시계획시설로서 완충녹지는 도시 및 공업지에서의 대기오염 물질저감 및 소음 완화, 미기후 조절 등 공익적 기능성과 함께 지역주민의 여가활동을 위한 오픈스페이스 등 심미적 기능성까지 강조되고 있다(Lee, 2005). 또한 심각한 도시환경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완충녹지기능의 극대화에 대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완충녹지의 소음완화에 대한 기능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근래에 들어 완충녹지의 많은 기능 중에서 소음완화에 대한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는 최근 산업의 발달과 자동차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시의 소음공해는 우리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파괴하고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im, 1994). 또한, 소음공해는 한번 발생하면 극히 단시간내에 사라져 버린다는 특성 때문에 비가시성 소음이라 불리우며, 여타의 공해에 비하여, 의식정도나 심각성이 덜 인식되고 있는 편이다(Leak, 1970; Misawa 와 Santo, 1985). 이렇게 인식되지 못한 소음공해가 날로 증가하는 차량의 증가와 각종 도로망의 확충으로 교통소음의 영향권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rpenter, P. L., Walker, T. D., Lanphear, F. O., 1975, Plants in the Landscape, WH Freeman & Company, 169-172. 

  2. Cho W., Lee, K. J., 1998, Planting of urban environmental forest and community planting area, J. Korean Institute Landscape Archi., 26(1), 70-82. 

  3. Cho, I. H., Jang, W. S., Kang, S. W., Kim, S. G., Go, J. Y.,2007, The study o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road traffic noise in apartment complex, J. Environmental Science, 16(10), 1179-1187. 

  4. Cho, W., 1998, Planting design in green open space, urban area : planting evaluation of buffer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Kor. J. Env. Eco. 12(1), 78-90. 

  5. Choi, I. H., 1999, Research of food density planning criteria of co-housing estate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6. Han, B. H., Kim, J. P., Choi, J. W., Cho, Y. H., 2010, Planting method of buffer green space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Rokko Island, Kobe, Japan, Kor. J. Env. Eco., 24(2), 157-165. 

  7. Hong, S. W., Lee, K. J., 2004, Variation profiles of temperature by green area of apartments in Gangnam, Seoul, Kor. J. Env. Eco., 18(1), 53-60. 

  8. Im, Y. B., Kim, M. J., 1996,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noise barriers for apartment house site near road by field measurement, J. Kor. Architectural, 12(8), 185-192 

  9. Jang, J. C., 1986, Study on buffered green construction techniques a long the road for noise mitigation, Ph. M.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J. Y., 1999, Planting models of the buffer greens pace based on the natural vegetation structure, Ph. M.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1. Kim, J. Y., 2010, A study on planting method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Gajwa buffer green space in Incheon, Korea: a case buffer green space between industr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Kor. J. Env. Eco., 20(1), 237-240. 

  12. Kim, Y. Y., 2004, A study on planting method for the specification of buffer green space-in the case of Songpa-gu in Seoul-, Ph. M.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3. Leak, C. D., 1970, Physiological effects of noise, B.Welch&A.S.Welch(Ed), Symposium Bulletin on Physiological Effects of Noise, New York : Plenum Press. 

  14. Lee, H. E., 2005,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new urban green space buffer construction in Korea, Congressional Policy Research, Seoul: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ommittee. 

  15. Lee, N. C., Kim, J. D., Kim, S. H., Bae, M. J., 2010, Study for methods to control animal reaction by sound engineering technique when designing the green bridge, Hanwha E & Tech., 46-49. 

  16. Lee, K. J., Han, B. H., Park, H. A., Choi, J. W., 2008,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seashore reclaimed land - a cased study of buffer green space, Ansan city -, Kor. J. Env. Eco., 22(6), 691-706. 

  17. Lee, O. H., LEE, K. J., 1999, Optimal planting spacing on the basis of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trees, Kor. J. Env. Eco., 13(1), 34-48. 

  18. Misawa, A., Y. Santo, 1985, A study on psychological effect of trees against traffic noises", Jap. J. Landscape Archi., 48(5), 85-90. 

  19. Oh, K. I., Kim, D. P., Choi, S. H., 2009, Study on noise attenuation according to hedge species, Kor. J. Env. Eco., 23(3), 272-279. 

  20. Park, D. G., Kim, Y. S., 1995, Noise attenuation by vegetation, J. Korean Institute Landscape Archi., 23(2), 205-212. 

  21. Park, E. Y., Yoo, B. B., 2004, Design and planning criteria for the green buffer zone, J. Korean Institute Landscape Archi., 32(2), 25-35. 

  22. Park, H. A., 2006,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s 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Ansan city, Ph. M.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23. Sagong, Y. B., Lee, S. D., 2007,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gram for buffer greens at Sinhyeon-Eup, Geoje-Si , Kor. J. Env. Eco., 21(3), 243-256. 

  24. Yoo, I. P, 2000, A study on improvement planning of buffer green space in apartment complex -a case study of Suseo apartment complex in Seoul advised by-, Ph. M.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