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기반 조선왕조 건국과정 분석
Analysis of Foundation Procedure for Chosun Dynasty Based on Network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5, 2015년, pp.582 - 591  

김학용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려 공민왕에서부터 조선이 건국되는 과정을 다양한 시각에서 기록된 네 가지 다른 역사서로부터 등장인물을 추출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든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사회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다른 역사서와는 달리 태조 총서는 이성계와 그 가문 중심으로 주관적으로 기록된 역사임을 네트워크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지만 네트워크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 다른 사실은 정도전이 조선건국의 설계자로 알려져 있으나 네트워크 연구에서는 조선건국에 있어서 실제 그의 역할이 두드려지지 않았는데, 이 사실은 다양한 역사적 기록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본 연구는 고려말과 조선건국 사이의 역사적 사실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네트워크 연구에서 중심인물 또는 허브 노드를 결정하는 구조인자는 연결계수다. 응집 중심성은 네트워크상에서 위치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척도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계수 값에 응집 중심성 값을 추가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중심인물을 결정하는데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을 도입하였으며, 역사네트워크에서 주관성과 편향성을 반영하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향후 네트워크 연구에서 연결계수와 응집 중심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면 허브 노드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te-Koryeo people networks were constructed from four different history books that were written by various historic aspects in the period from king Kongmin to the final king of the Koryeo, Kongyang. All networks constructed in this study show scale free network properties as if most social network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인물을 도출하는 구조인자는 연결계수이다. 그 동안 네트워크 연구에서 연결계수가 높은 노드를 허브(hub)라고 하고 이 허브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18]. 그러나 연결계수는 한 노드에 연결되어있는 다른 노드의 수만을 결정하는 것이지 노드의 중요성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 이 두 구조인자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좀 더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결계수를 중심으로만 허브를 도출하는 그 동안의 네트워크 구조 연구에 응징 중심성 인자를 추가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허브를 규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연결계수와 응집 중심성을 함께 반영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면 중요도까지 반영되는 허브를 결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네트워크 기반 연구방법을 접맥시켜 고려의 입장을 반영한 역사서, 조선의 입장을 반영한 역사서, 고려 말의 역사 기록, 조선 건국의 역사기록을 분석하여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는 인자인 응집 중심성을 통해서 기록된 역사의 왜곡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태조 총서는 조선건국의 정당성을 부각하고 이성계 및 그 가계를 기반으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관적인 시각에서 기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기록의 역사가 가져오는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한 중요한 사료의 하나로 이 총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태조 총서 인물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 상반되는 이유는 왕자의 난에 희생된 정도전에 관한 기록의 역사와 조선 후기 정도전의 가치를 재해석한 역사가의 해석의 역사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정도전 평가에 관한 객관적인 사실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는 연결계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네트워크상에서 허브에 해당되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에서 한 노드 또는 인물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에 있느냐의 척도인 응집 중심성 값과 상호비교하여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표 2].
  • 첫째로, 다양한 각도에서 기록된 역사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구축된 네트워크로부터 얻은 중심인물을 상호비교 분석함으로써 기록된 역사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역사적인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박영규, 이윤섭, 및 태조 총서에 등장하는 인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허브(hub)에 해당되는 인물들을 각 네트워크로부터 도출하고 비교함으로써 객관적인 역사적인 사실을 제시할 수 있었다.
  • 그러나 연결계수는 한 노드에 연결되어있는 다른 노드의 수만을 결정하는 것이지 노드의 중요성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계수에 응집 중심성 인자를 추가하여 두 값을 상호 비교하고 보완함으로써 네트워크를 분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표 2]. 이 두 구조인자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좀 더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록된 역사인 박영규나 이윤섭의 인물 네트워크에 비해 태조 총서 인물 네트워크는 조선 건국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도록 매우 편향되어 있음을 반영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계수와 응집 중심성 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네트워크상에서의 위치뿐만 아니라 역사서인 경우 서술과정에서의 객관성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 건국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기록된 역사서를 중심으로 조선 건국에 관여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도출한 역사적인 사실은 크게 두 가지 이며, 네트워크 구조 인자를 바탕으로 왜곡된 역사 또는 주관적인 역사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사실의 발견이 또 다른 의의라 하겠다.
  • 본 연구는 네트워크 기반 연구방법을 접맥시켜 고려의 입장을 반영한 역사서, 조선의 입장을 반영한 역사서, 고려 말의 역사 기록, 조선 건국의 역사기록을 분석하여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는 인자인 응집 중심성을 통해서 기록된 역사의 왜곡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든 네트워크들은 전형적인 사회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여주는 멱함수 분포를 가지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 특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멱함수 분포에 관한 결과는 제시하지 않았다. 멱함수 분포를 가진다는 의미는 허브에 해당하는 소수노드에 많은 링크가 연결되어 있고, 매우 적은 링크를 가진 노드가 다수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의 역사란 무엇인가? 같은 역사이지만 역사를 보는 시각에 따라, 기록의 역사, 해석의 역사, 객관적인 역사로 나눌 수 있다[1]. 기록의 역사는 하나의 역사적인 사건이나 사실이 기록한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는 것으로 다양한 역사 기록에서 발견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삼국시대의 역사를 조명한 일연의 삼국유사와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될 것이다.
역사는 보는 시각에 따라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같은 역사이지만 역사를 보는 시각에 따라, 기록의 역사, 해석의 역사, 객관적인 역사로 나눌 수 있다[1]. 기록의 역사는 하나의 역사적인 사건이나 사실이 기록한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는 것으로 다양한 역사 기록에서 발견된다.
기록의 역사의 대표적인 예는 무엇인가? 기록의 역사는 하나의 역사적인 사건이나 사실이 기록한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는 것으로 다양한 역사 기록에서 발견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삼국시대의 역사를 조명한 일연의 삼국유사와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될 것이다. 승려인 일연은 삼국의 역사를 불교흥국 사관을 중심으로 중국 사료들을 주로 인용하여 저술한 반면, 정치가인 김부식은 유교합리주의 사관 중심으로 기술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학용, 김학봉 "조선왕조실록 네트워크의 동적 변화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529-537, 2014. 

  2. 김두진,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연구, 일조각, 2014. 

  3. http://sillok.history.go.kr 

  4. 사미르 아민 (김용규 역), 유럽중심주의, 세종출판사, 2000. 

  5. 안드레 프랑크 (이희재 역) 리오리엔트, 도서출판 이산, 2003. 

  6. 신채호 (박기봉 옮김),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2006. 

  7. 이종욱, 신라가 한국인의 오리진이다, 고즈윈, 2012. 

  8. 곽신환, 우암 송시열, 사광사, 2012. 

  9. 이덕일,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김영사, 2000. 

  10. 조인희, 안병호, "정통사극과 퓨전사극의 문제점 및 특징으로 인한 발전방안과 전망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5권, 제3호, pp.77-84, 2011. 

  11. 정진수, 김학용, "고구려, 백제, 신라 왕조실록 인명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474-480, 2011. 

  12. 김학용, "조선왕조 가계 인물 네트워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476-484, 2012. 

  13.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2004. 

  14. 이윤섭, 동아시아속 고려사, 이북스펍, 2014. 

  15.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Tree0&idkaa 

  16. 유재하, 고려왕조사 제5권, 학문사, 2000. 

  17. http://cytoscape.org 

  18. M. E. J. Newman, Networks; an introduction, Oxford Univ. Press, 2010. 

  19. L. Freeman, "A set of measures of centrality based upon betweenness," Sociometry, Vol.40, No.1, pp.35-41, 1977. 

  20. A. Shimbel, "Structural parameters of communication networks," Bull. Math. Biophys. Vol.15, No.2, pp.501-507, 1953. 

  21. 존 던킨 (김범 역), 조선 왕조의 기원, 너머북스, 2013. 

  22. 최상용, 박홍규, 정치가 정도전, 출판사 까치, 2007. 

  23. 이중환 (허경진 옮김), 택리지, 서해문집, 2007. 

  24. 이상백, "삼봉인물고 1. 무인난설원기를 중심으로", 진단학보, 제2권, pp.1-45, 1935. 

  25. 이상백, "삼봉인물고 완, 무인난설원기를 중심으로", 진단학보, 제3권, pp.41-75, 1935. 

  26. 한영우, 정도전 사상의 연구, 서울대출판부, 19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