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 기반 한국사 연구의 현황과 가능성: 디지털 역사학의 시작
Conditions and potentials of Korean history research based on 'big data' analysis: the beginning of 'digital history'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9 no.6, 2016년, pp.1007 - 1023  

이상국 (아주대 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글은 역사학, 그 중에서 한국사 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모색하고, 이를 활용한 '디지털 역사학'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대한 '한국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사 연구를 위해서는 기존의 질적분석 방법론뿐만 아니라 양적분석 방법론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학제 간 융합연구가 요청된다. 본 글에서는 '한국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연구의 출현을 고대하면서, 학제 간 융합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연구의 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즉,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는 텍스트 분석방법으로 '한국사 빅데이터'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한다면, 양적분석 방법론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행간의 의미읽기의 부재'를 점차 보완해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으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준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사료가 충분하지 않은 전근대 한국사의 역사적 인물과 사건들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 결과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시각화를 통해서도 평면적 연구에서 찾아내지 못한 역사적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디지털 역사학'의 서막이 오른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plores the conditions and potential of newly designed and tried methodology of big data analysis that apply to Korean history subject matter. In order to advance them,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ies over pre-existing qualitative analysis. To obta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과정에서 한국사 관련 비정형데이터를 정형데이터로 전환하여 분석하는데 필수적인 다양한 학문분야들 간 융합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다. 기술 데이터의 텍스트를 의미 분석하여 마이닝하고 계량화 데이터로 전환하는 언어학과 전산학 연구방법론, 전환된 데이터베이스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시각화 기법에 적용하는 통계학과 시각화 연구방법론 등을 역사학 연구에 적용하는 학제 간 융합연구를 모색하는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한국사 빅데이터 기반 학제 간 융합연구의 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한국사의 연구주제를 탐구하는 연구의 일례를 소개한다.
  • 본 글에서는 ‘한국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연구의 출현을 고대하면서, 학제 간 융합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연구의 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 본 글은 역사학, 그 중에서 한국사 연구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모색하고, 이를 활용한 ‘디지털 역사학’의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글은 역사학, 그 중에서 한국사 연구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모색하고, 이를 활용한 ‘디지털 역사학’의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전산화된 한국사 빅데이터의 현황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전산화된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검토하고, 이들 연구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 이 절에서는 언어/전산학, 데이터마이닝/통계학, 정보시각화 분야의 방법론을 실제 역사적 주제를 탐구하는데 적용해보고자 한다. 연구주제는 조선 전기 역사적 주요 인물들의 권력 관계를 추정하는 것이다.
  • 마지막 장에서는 한국사 빅데이터 기반 학제 간 융합연구의 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한국사의 연구주제를 탐구하는 연구의 일례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역사학 기반 학제 간 융합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데이터는 어떻게 지칭되는가 최근 전세계적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빅데이터는 “신종 천연자원” 혹은 “21세기 원유”로 지칭되며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것이다. 각 학문분야에서도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인문학, 특히 역사학 분야에서도 빅데이터의 중요성과 활용방안에 대한 관심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양적분석이 역사학 연구에 절실히 요청되는 이유는? 활자 매체를 통해서 역사학 자료를 접하던 연구자들에게 ‘디지털 데이터’의 창출과 활용이라는 새로운 연구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활자로 기록된 역사 자료를 자구 하나하나 그리고 그 사이 행간의 의미를 살피는 전통적인 질적분석(qualitative analysis)의 역사 연구방법론으로는 변화하는 연구환경에 대처하는데 분명한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전산화된 방대한 역사학 빅데이터를 대량으로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양적분석(quantitative analysis)을 역사학 연구에 적용하는 방법론적 모색이 절실히 요청되는 것이다.
역사학 자료가 ‘역사학 빅데이터’로 일컫게 되는 중요한 계기의 시점은 언제인가 역사학 자료가 ‘역사학 빅데이터’로 일컫게 되는 중요한 계기는 2000년대 전후의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학문분야 연구에 대한 정부 차원의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졌고, 역사학 분야에서도 역사학 자료에 대한 전산화가 본격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t Sungkyunkwan University eds. (forthcoming). The Attempt of Historical Demography Research in Korea, Sungkyunkwan Univeristy Press. 

  2. Beck, F., Burch, M., Munz, T., Di Silvestro, L., and Weiskopf, D. (2014). Generalized Pythagoras trees for visualizing hierarchies.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IVAPP),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 17-28), IEEE. 

  3. Bezerianos, A., Dragicevic, P., Fekete, J. D., Bae, J., and Watson, B. (2010). Geneaquilts: A system for exploring large genealogies.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16, 1073-1081. 

  4. Braudel, F. (1980). On History (trans. by Sarah Matthews),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5. Cho, D., Han, Y., and Park, C. (1994). Korean Historian and Historical Awareness, Yeoksabipyungsa Press. 

  6. Choi, H., Moon, S., Ha, H., and Lee, K. (2015). Proximity based Circular Visualization for similarity analysis of voting patterns between nations in UN General Assembly. Design Convergence Study, 53, 133-150. 

  7. Chung, J. S. and Kim, H. Y. (2011). Analysis of people networks in Goguryeo, Baekje, and Silla Dynasty Sillok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5. 

  8. Dong, H., Campbell, C., Kurosu, S., Yang, W., and Lee, J. Z. (2015). New sources for comparative social science: Historical population panel data from East Asia. Demography, 52, 1061-1088. 

  9. Hong, Y. (2013). Database Construction Process of Basic Archaeological Resources in the Medieval Period in Korea-Promoting the utilization archaeological resources of the medieval history in Korea. Korean Medieval Research, 36, 71-106. 

  10. Hollingsworth, T. H. (1957). A demographic study of the British ducal families. Population Studies, 11, 4-26. 

  11. Household Registers Research Team (2003). he Study of Danseong Household Register,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12. Huang, M. L., Huang, T. H., and Zhang, J. (2009). TreemapBar: Visualizing additional dimensions of data in bar chart. In 2009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Information Visualisation (pp. 98-103), IEEE. 

  13. Issac, L. W. and Griffin, L. J. (1989). Ahistoricism in time-series analyses of historical process: Critique, redirection, and illustrations from US labor histor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873-890. 

  14. Joo, S. (2008). A study on the Bulding of digitized history materials and standardization. The Study of Historical Folklore, 26, 209-246. 

  15. Kang, D., Lee, J., and Kim, T. (2015). A study of history a generation method of history ontology using meta-data. In Presented at 2015 KICS(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Winter Conference. 

  16. Kim, K. and Lee, B. (2014). History as the core source of cultural contents.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224, 424-448. 

  17. Lee, D., Lee, S., and Shin, H. (2016). The inference of power mechanism of early Joseon Dynasty. In Presented at 2016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Methods for Analysis of 'History Bigdata': The Beginning of 'Digital History'' Conference. 

  18. Lee, K. (2006). Research on a new data model for analysis of pedigree records. Jangseogak, 16, 195-232. 

  19. Lee, N. (2003). Humanity Sciences and Knowledge Information- Forcusing on the Law Concerned with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Korean History Information Unification System-, Humanities Contents, 1, 117-130. 

  20. Lee, S. (2013). The Impact of Family Background on Bureaucratic Reproduction in the thirteenth-tofifteenth century Korea: A case study on the Andong Kwon-ssi Sunghwabo.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81, 42-67. 

  21. Lee, S. and Lee, K. (2014). Visualization approach to a Korean genealogy data. Presented at 2014 Digital Humanities International Conference at Ajou University. 

  22. Lee, S. and Lee, W. (2016). Strategizing Marriage: An Analysis of Marriage Networks in the Andong Gwon-ssi Genealogy (working paper). 

  23. Lee, S. and Park, H. (2008). Marriage, social status, and family succession in Medieval Korea (Thirteenth-Fifteenth centuries). Journal of Family History, 33, 123-138. 

  24. Lee, S. and Yoo, J. (2016). Microstudy on the Length of Life in the Late Joseon Korea (working paper). 

  25. Lee, S. H., Francon, R., Abrams, D. M., Kim, B. J., and Porter, M. A. (2014). Matchmaker, matchmaker, make me a match: migration of populations via marriages in the past. Physical Review X, 4, 041009. 

  26. Miyazima, Hiroshi (2004).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the study of Korean population history.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46, 61-78. 

  27. Moon, S., Choi, K., Han, H., Lee, K., and Kim, J. (2016). VoteStream Vis: Visual Analisys of Congressional Vote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Presented at 2016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Methods for Analysis of 'History Bigdata': The Beginning of 'Digital History'' Conference. 

  28. Park, M., Ye, H., and Kwon, K. (2016). Construction of Ontology and Thesaurus for expression searching for government office titles and appointment and dismissal.reward and punishment. In Presented at 2016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Methods for Analysis of 'History Bigdata': The Beginning of 'Digital History'' Conference. 

  29. Wagner, E. W. (2007). Achievement and Ascription in Joseon Dynasty (translated by Lee, Hoonsang and Sookkyung Son), The Iljogak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