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자 청소년을 위한 패션 스타일링 프로그램 개발
Fashion Styling Program Development for Adolescent Girl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9 no.2, 2015년, pp.171 - 181  

이현영 (창원문성대학 미용예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at-risk adolescents, the environmental and personal risk factors that have been building up inside them as a result of not feeling protected at school or at home are manifested externally as anxiety, depression, rage, complexes, lethargy, violence, and alienation.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신체적인 외모나 매력은 객관적인 평가의 기준이 없기 때문에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면서 신체에 대한 자기 평가를 하게 된다. 그러나 본 주제를 통해 패션 스타일링은 단순히 의복과 액세서리를 코디네이션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내면의 감성과 라이프스타일이 겉모습으로 드러나며 이는 토털 스타일을 완성하는 것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 3단계는 감성체험을 통한 동기유발, 실전 스타일 링, 커뮤니케이션 활용의 주제로 다양한 인스피레이션 원천 실습을 통해 자신에게 내재되어있는 개성을 찾아내고 나에게 맞는 패션과 헤어스타일링, 피부관리법을 제안한다. 또한 긍정적인 이미지 완성을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용에 대해 습득하도록 한다. 패션 스타일링 작업은 패션 예술의 창의적 표현과 사고력에 자극을 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외적 이미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 할 수 있는 패션·미용, 문화, 예술 분야 등에 관한 창의적 활동을 통한 스타일링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위기청소년의 자존감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청소년기의 외모관리행동, 신체이미지, 라이프스타일 등의 내용분석을 통해 외모관리행동, 이미지에 대한 인식, 패션스타일링 프로그램의 참여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청소년기의 외모관리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주요변인을 중심으로 외모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여자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외모관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 연예인, 친구, 정치인 등의 다양한 인물의 리서치 작업을 통해 목표 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의 성격, 라이프스타일, 직업 등의 구체적인 파악을 통해 무드보드로 이미지화하는 작업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자신이 꿈꾸던 모습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고 실현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이해 및 이를 이루기 위한 건강관리법 등에 대해 제시한다. 청소년기의 패션소비나 개성에 대한 표현에 있어서도 충동적이거나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으로 패션이 단지 겉모습으로 드러나는 외적 치장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 우리나라 청소년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며 향후 청소년의 인구는 계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실정에서 학교나 가정에서 정상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다양한 환경적 형태로 위기를 겪고 있는 위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본 논문을 구성하였다. 패션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위기청소년의 자신에 대한 올바른 파악하고 자존감을 향상 시켜 사회에 건강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외모관리행동, 이미지에 대한 인식, 스타일링 프로그램의 참여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패션 스타일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5년 우리나라 청소년 인구는 전체 인구의 몇 퍼센트인가? 8%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여 2000년에는 24.5%, 2005년에는 22.9%가 되었다. 2013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022만명으로 2010년에 비해 1.
2013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2010년에 비해 어떠한가? 9%가 되었다. 2013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022만명으로 2010년에 비해 1.6% 증가한 반면, 청소년 인구는 1,003만9천명으로 4.1% 감소하였고, 2013년 총 인구 중 청소년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
위기청소년이 증가하는 위험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이렇게 우리나라의 청소년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반면 위기청소년은 증가(Jang, 2007)하는 위험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학교와 가정에서 보호 받지 못하고 미디어중독, 대인관계 미숙, 학업에 대한 흥미상실, 학교 폭력, 가정문제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위기 청소년의 증가는 가정이나 학교에서 보호받지 못함으로 내재되어 있던 환경적·개인적 위기요인이 다양한 외적 요인으로 표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io. D(2012). Researching and developing programs of fashion design art education by reviewing about famous pain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 Choi, J., & Kim, U. (1993). A study on clothing interests of high school girl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1), 45-51. 

  3. Featherstone, M. (1991). The body in consumer culture, the body: Social process and culture theory. London, UK: Sage Publishing Ltd. 

  4. James, B. T. (2003). Living it up: our love affair with luxury.(K.Choi, Trans.). Seoul: Mirae.(Original work published 2002). 

  5. Im. J. (2010). A study on Fashion styling teaching method and awareness of growing body in adolescent age: Adapted on a girl's class in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6. Improvement of sponsoring business of at-risk youths. Institute for the Study of Adolescent Problem, 11, 1-30. 

  7. Lee, H. (2011). A study on jeans fashion styling: Focused on the women's fashion since the 2000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angwon University, Changwon, Korea. 

  8. Lee, J. (2008). Analysis of adolescent appearance management according to degree of body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14(2), 384-395. 

  9. Lee, M. (2003). A study of appearance behavior and lifestyle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9,10), 1101-1111. 

  10. Nam, S. (2006). Meaning and State of Protection Adolescent. Adolescent Behavior Research, 11 

  11. Statics Korea. Retrieved December 20, 2013, from http://kostat.go.kr 

  12. Yang. S. (2013). An analysis on the at-risk youths' exploration of physical activity mea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J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