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마을 리모델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 독일의 농촌마을 사례연구를 통해서-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he Rural village Remodelling -Focused on Korean and German Rural Villages -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17 no.1, 2015년, pp.35 - 44  

도현학 (영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regarding Rural village renovation project that improve the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of backward rural district in Korea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area residents. Especially, by comparing the Kyungbuk, Yeungju, Juchi village's case which was progressed by MAFRA (Minist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식품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은 2010년도부터 포괄보조사업의 일환으로 소도읍육성, 농촌마을종합개발, 전원마을조성 등의 15개의 사업을 통합하여, 농산어촌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생활편의 기초 서비스를 제공하여, 농촌지역주민의 삶의질 향상과 도시민의 농촌유입을 촉진하여 농산어촌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음의 사업들로 분류하여 시행하고 있다.
  • 농촌마을 리모델링 시범사업은 마을기반시설의 정비와 노후주택을 개량하고, 슬레이트 지붕을 정비하여 농어촌 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유도하고 농촌경관 저해요인을 정비, 쾌적하고 아름다운 마을을 형성하여 지속가능한 농촌마을을 건설함을 목적으로 한다.
  • 비교적 작은 단위의 마을로서 중요건축자산이나 뛰어난 자연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지역의 환경 및 농산물을 가꾸며 살아온 전형적인 농촌의 자원 환경 속에서도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사례의 마을이다. 따라서 과도한 시설계획에 따른 부작용보다는 우선적으로 마을주민들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농촌마을의 경관을 잘 유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민 들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한 농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농촌마을 리모델링사업의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대상마을로 선정하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도시의 거주환경 및 경관에 대한 개선이 증대하면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농촌의 거주환경 개선 및 농촌경관의 보존 및 개선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농촌지역개발의 새로운 방향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농촌마을의 재생을 위한 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농어촌지역의 주거환경개선과 함께 기반시설조성, 마을공동체 재생 등의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농어촌마을의 정주여건을 개선함과 동시에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기존 주택관련 사업 및 기반시설정비사업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사업효과를 극대화 하고 주택, 창고 등의 슬레이트 지붕철거 및 지붕개량을 통한 석면피해에 대처하며, 공동급식시설, 공동생활홈 등을 통해 독거노인 등의 주거복지 취약계층에 대한 대처와 노후주택의 에너지효율화 지원 및 기조 마을내에 도시민 유치를 위한 귀농, 귀촌을 유도하기 위함을 기본방향으로 한다.
  • 마을내에 잠재하는 건축자산 및 요소들을 활성화 함으로써 기존 마을의 리모델링과 마을재생 및 농지감소에 대한 억제를 도모하고자하는 목적으로 MELAP을 통해 마을외부의 개발 없이도 내부의 발전이 가능한 마을의 미래에 대한 비젼을 제시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2013년도에 시범사업으로 전개되고있는 농촌마을 리모델링사업 중에서 경북 영주의 주치골마을의 농촌마을 리모델링사업 사례와 독일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2) (Baden- Württemberg)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던 농촌개발사업 ELR (Entwicklungsprogramm Ländlicher Raum) 중에서 MELAP (Modellprojekt Eindämmung des Landschaftsverbrauchs durch Aktivierung des innerörtlichen Potenzials) 즉, 마을내부 잠재요소 활성화를 통한 효율적 농촌대지 활용 모델 프로젝트의 농촌마을 개선사례를 비교해봄으로서 앞으로 전개되어나갈 농촌마을 리모델링 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 본 연구는 기존 국내에서 전개하고 있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중의 하나로 시범사업으로 전개하고 있는 농촌 마을 리모델링사업에 대한 취지와 내용에 대하여 파악하고, 앞으로 확대 실시 예정인 사업으로서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진사례를 찾아본다. 4개의 시범사업들 중에서 가장 전형적이고 향후 다른 마을들에도 적용가능한 마을을 정하였으며, 영주 주치골마을과 사업진행과정 및 규모면에서 유사한 사업을 진행하였던 독일정부에서 진행되었던 농촌마을 개선사업을 비교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 시범마을 중에서 가장 전형적인 농촌마을의 현황 및 문제점을 안고 있는 마을을 대상으로한 영주 주치골마을의 사업내용 및 진행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농촌마을 리모델링사업이 진행되었던 선진사례로서 독일에서 시행한 마을개발사업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우리나라의 농촌마을 리모델링사업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려한다.
  • 연계사업으로 추진되는 시설로 마을부녀자 및 유휴노동력을 활용한 마을 공동소득원으로 협소한 마을광장의 연장선상에서 식당의 지붕을 마당으로 활용하고자 함으로 지형의 단차를 활용하여 가능한 건축물을 낮추어 배치하고 마을회관, 마을카페와 연계한 마을 중심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 새마을운동에서 펼쳤던 주택개량사업 이후로 최근의 농어촌주택개량사업8)이 개별적인 주택개량을 위한 단편적 정책이라면 농촌마을 리모델링 사업은 전체마을의 정주여건 개선에 대한 종합적 지원정책9)이며,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마을 전체경관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으로 향후 시범사업 이후로 확대될 시 농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복지를 위한 매우 중요한 정책이 아니라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선진의 성공적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만, 본 사례는 매우 다양한 농촌마을의 사례 중의 한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며, 좀 더 다양한 유형의 농촌마을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 제안된 마을들 중에서 13개의 농촌마을이 선정되었으며, 이는 마을외곽으로 확산되는 개발사업으로 인해 줄어 드는 농지에 대한 억제정책의 일환으로 마을내에 잠재하는 건축자산 및 요소들을 활성화 함으로써 기존 마을의 리모델링과 마을재생 및 농지감소에 대한 억제를 도모하고자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 사업의 주요목표는 첫째, 농촌공간 활용의 문제에서 빈농가에 대한 우선 활용과 둘째, 방치되어온 마을내의 건축자산의 마을공동체적 잠재 요소에 대한 새로운 판단, 셋째, 마을내부 잠재적 요소들에 대한 현실적 가능성과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 넷째, 마을의 정체성을 마을중심지를 대상으로 발전시킴, 다섯째, 낙후된 인프라시설과 커뮤니티시설의 개발, 여섯째, 지역색을 가지는 건축물과 마을의 전통적인 경관유지, 일곱째, 보존과 지속적 발전을 전제한 녹지경관 유지,여덟째, 재생 가능한 난방재료 및 자연친화적 생활환경 보존, 마지막으로 각 마을의 장단점에 대한 지역 여건에 적합한 마을사업의 전개를 목표로 설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농식품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은 2010년도부터 포괄보조사업의 일환으로 소도읍육성, 농촌마을종합개발, 전원마을조성 등의 15개의 사업을 통합하여, 농산어촌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생활편의 기초 서비스를 제공하여, 농촌지역주민의 삶의질 향상과 도시민의 농촌유입을 촉진하여 농산어촌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음의 사업들로 분류하여 시행하고 있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및 면단위 종합정비사업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농촌마을을 종합적으로 개선 및 정비하려는 노력은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 부터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및 면단위 종합정비사업 등에서 본격화되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의 대상이 공공영역의 시설정비에 한정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농촌마을의 경관 대다수를 차지하는 각 개인 주택 및 생산시설에 대한 정비는 제외됨으로 인해 종합적인 경관의 정비 및 개선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농촌마을 리모델링사업을 통해서 농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개선책으로 주민들을 위한 공공시설을 비롯한 주택 및 생산시설에 대한 개선 및 정비를 위한 지원책이 마련되면서 농촌마을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책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농촌마을을 종합적으로 개선 및 정비하려는 노력은 언제 본격화 되었나? 도시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 양적인 질적인 발전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농촌의 경우에는 농촌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개선보다는 생산증대에의 관심과 정책이 우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농촌마을을 종합적으로 개선 및 정비하려는 노력은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 부터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및 면단위 종합정비사업 등에서 본격화되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의 대상이 공공영역의 시설정비에 한정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농촌마을의 경관 대다수를 차지하는 각 개인 주택 및 생산시설에 대한 정비는 제외됨으로 인해 종합적인 경관의 정비 및 개선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송미령, 권인혜, 포괄보조금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2. 성주인외, 농어촌 경관관리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3. 한국농어촌공사, 주치골지구 농촌마을 리모델링 시범사업 기본계획, 영주시, 2013 

  4.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 (http://www.mafra.go.kr) 

  5. 독일 크레글링엔시 홈페이지 (http://www.creglingen.de) 

  6. 독일 Melap 홈페이지 (http://www.melap-bw.de) 

  7. 박헌춘, 김승근, 농어촌주택개량사업 만족도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6권4호,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