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조선족 거주환경 관련연구의 동향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Korean-Chinese People Residing in China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17 no.1, 2015년, pp.105 - 112  

허성걸 (가톨릭관동대 대학원 건축공학과) ,  조원석 (가톨릭관동대 건축학부) ,  변경화 (가톨릭관동대 첨단해양공간개발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Korean-Chinese people residing in China. The number of such studies on residential environment is a total of 123, of which 86 (69.9%) are Korean studies and 37 (30.1%) are Chinese studies. Res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선족의 거주환경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진행된 연구문헌의 동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다. 이 논문에서는 연변지역에 조선족 주거지역이 형성되는 시기와 인구변화를 다루었다.
  • 전통주거의 관점에서의 최초의 연구는 한국의 장보웅의 “中國 東北地方 朝鮮族의 民家 硏究;延邊地方 朝鮮族自治州를 中心으로(1992)”이다. 이 연구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조선족 마을을 대상으로 한반도에서 이주해 온 조선족들이 거주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그들이 초창기에 가져온 주택 원형의 보존과 변화에 대해서 실측조사하고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대부분이 함경도식의 평면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중국정부의 가족 계획 정책과 인구 감소로 인해 변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 이에 본 연구는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을 대상으로 거주환경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파악하여 조선족 거주환경 관련연구 동향을 고찰하는 것으로 목적한다. 이는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을 대상으로 한반도 주거문화의 원형에 대한 검토, 시대와 지역적인 영향에 따른 주거문화의 변화, 다른 문화와의 영향관계 등과 같은 좀 더 다각 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한중 수교가 이루어지고 한국 연구자들이 현지조사를 통해 진행한 연구의 주된 내용은 한반도 주거문화가 중국 조선족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에는 현대적 주거보다는 전통적인 한반도 주거의 관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족의 거주환경에대한 연구가 한국보다 중국이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 중국의 연구문헌의 수가 한국보다 2배 이상 적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의 인구 수에 비해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인구가 적고, 따라서 이에 비례한 연구자의 수가 적고, 조선족이 소수민족이므로 중국 내에서의 관심정도도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라고 보아진다.
조선족이란 무엇인가?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1)은 중국을 형성하는 56개 민족의 하나로서,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약 183.09만 명으로 중국 전체인구의 0.1374% 정도를 차지한다.2) 이들은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정착하면서, 주택을 건설하고, 마을을 형성하면서 그들의 고향인 한반도의 전통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조선족의 삶은 어떠한가? 1374% 정도를 차지한다.2) 이들은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정착하면서, 주택을 건설하고, 마을을 형성하면서 그들의 고향인 한반도의 전통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비록 한반도에서 이주하여 중국에 정착하여 사는 동안 중국의 다문화 영향이나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으로 인하여 그들의 전통문화가 상실되고 있지만, 중국 타 소수민족에 비하여 고유의 전통문화와 주거문화의 원형이 많이 계승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룡범, 중국 료녕성 개현 진툰향 박가구촌 조선족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학연구, 3권, 1991. pp.23-40. 

  2. 김봉열, 中國延邊地區朝鮮族의 마을과 주거, 건축역사연구, 건축역사학회, 3권 2호, 1994. pp.57-82. 

  3. 김성우, 中國遼寧省滿洲族, 韓族, 朝鮮族民家사이의 상호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권 11호, 2001. pp.117-123. 

  4. 김수인, 中國少數民族의 住居硏究, 조선대 환경연구 15(2), 15권 2호, 1999. pp.83-98. 

  5. 김일학, 조선족 농촌주거의 부엌공간의 형태와 취사 및 식사방법,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권 1호, 2010. pp.11-21. 

  6. 金日學, 朝?族民居空?特性?究, 吉林建筑工程學院學?, 28권 5호, 2011. pp.54-56. 

  7. 김일학.박용환, 조선족 농촌주거 공간구성형태의 지역적 특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5권 4호, 2009. pp.74-87. 

  8. 金正鏑, 東北地區傳統民居?居住文化?究―以滿族, 朝?族, 漢族民居爲中心, 박사학위논문, 2004. 

  9. 김종영, 중국 조선족 주거의 공간구성 형태와 그 지역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7권 1호, 1996. pp.95-103. 

  10. 김종영, 중국 료녕성 조선족 도시단독주택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1권 1호, 2000. pp.125-134. 

  11. 김종영, 중국 연변 조선족 집합주택의 취사 및 식사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3권 2호, 2002. pp.65-71. 

  12. 김종영, 中國延邊朝鮮族과 漢族의 集合住宅平面構成比較 硏究,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권 4호, 2004. pp.56-63. 

  13. 김종영, 중국 연변조선족 집합주택의 화장실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연구소 논문보고집, 23권 1호, 2010. pp.19-28. 

  14. 김혁, 중국 연길시 아파트 평면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권 7호, 2009. pp.49-57. 

  15. 朴玉順, 溫突-朝?族民居的獨特采暖方式, 沈陽建筑工程學院學?. 16권 3호, 2000. pp.160-162. 

  16. 朴玉順, 中國東北地區朝?族民居特色淺析, 建筑史論文集, 2001. pp.148-154. 

  17. 孫春日, 論述延邊朝?族聚居區的形成, 民族?究, 1990. pp.84-93. 

  18. 장보웅, 中國 東北地方 朝鮮族의 民家 硏究;延邊地方 朝鮮族自治州를 中心으로, 대한지리학회논문집, 27권 2호, 1992. pp.117-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