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장애가 있는 독거노인에 대한 긍정심리 집단치료의 효과
Effect of Group Positive Psychotherapy on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Depressive Disorder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1 no.1, 2015년, pp.69 - 74  

이승원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하주원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현수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지희 (명지병원 공공의료사업단) ,  이주영 (덕양노인종합복지관) ,  이정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오강섭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Positive psychotherap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positive thoughts and satisfaction with life are determinants for improving the symptoms of depressive disorder. This article highlights the effectiveness of group positive psychotherapy on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depressive disor...

주제어

참고문헌 (26)

  1. Statistics Korea. 2013 우울증상경험률 추이: 성별, 만 19세 이상; 2013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062&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2. Bartels SJ, Coakley E, Oxman TE, Constantino G, Oslin D, Chen H, et al. Suicidal and death ideation in older primary care patients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t-risk alcohol use. Am J Geriatr Psychiatry 2002;10:417-427. 

  3. Barnow S, Linden M. Suicidality and tiredness of life among very old persons: Results from the Berlin Aging Study (BASE). Archi Suicide Res 1997;3:171-182. 

  4. Conwell Y, Duberstein PR, Caine ED.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Biol Psychiatry 2002;52:193-204.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장책 제언; 2013 (https://www.kihasa.re.kr/html/jsp/kihasa/news/press/view.jsp?ano5013) 

  6. 김도훈. 노인정신의학. 서울: 중앙문화사;2004. p.90-95. 

  7. Draper B. Editorial Review. Attempted suicide in old age. Int J Geriatr Psychiatry 1996;11:577-587. 

  8. Statistics Korea. 2013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 2013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5/index.board?bmoderead&bSeq&aSeq308688&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9. Compton WC.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Stamford, CT: Thomson Wadsworth 2005;12:276. 

  10. Seligman MEP, Rashid T, Park AC.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2006;61:774-778. 

  11. 임영진. 성격 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 서울대학교;2009. 

  12. Seligman MEP, Steen TA, Park NS Peterson C.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2005;60:410-421. 

  13. Rashid T, Anjum A. Positive psychotherapy for young adults and children. John RZ, Abela, Benjamin L, Hankin Editors, Handbook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2008. p.250-286. 

  14. 이정애. 우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박사학위]. 고려대학교;2011. 

  15. Sartorius N, Ban TA (editors). Assessment of depression. Springer-Verlag;1986. 

  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17. Kang Y, Na DL, Hahn S.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 Korean Neurol Assoc 1997;15:300-307. 

  18. Choi SH, Na DL, Lee BH, Hahm DS, Jeong JH, Yoon SJ, et al. Estima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scale. J Korean Neurol Assoc 2001;19:585-591. 

  19.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975;12:189-198. 

  20.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60;23:56-62. 

  21. 김현정, 오윤희, 오강섭, 서동우, 신영철, 정지영. 긍정적 사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06;11:767-784. 

  22. Effect size calculator (http://www.polyu.edu.hk/mm/effectsizefaqs/calculator/calculator.html) 

  23. Gable SL, Reis HT, Impett EA, Asher ER. What do you do when things go right? The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benefits of sharing positive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4;87:228-245. 

  24. Arean PA, Raue P, Mackin RS, Kanellopoulos D, McCulloch C, Alexopoulos GS. Problem-solving therapy and supportive therapy in older adults with major depression and executive dysfunction. Am J Psychiatry 2010;167:1391-1398. 

  25. Sin NL, Lymbomirsky S.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9;65:467-487. 

  26. Carstensen LL, Isaacowitz DM, Charles ST. Taking time seriously: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1999;54:165-1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