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동 중심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ction Based Mathematics Digital Textbook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5 no.2, 2015년, pp.241 - 261  

허남구 (대전송촌고등학교) ,  류희찬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교과서는 정부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지칭하는 스마트교육을 실현시키기 위한 주요 전략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과학, 수학, 사회, 영어 교과의 디지털교과서를 2013년까지 개발하여 2014년에 적용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수학 과목의 경우, 디지털교과서의 초안이 기능적인 측면에서 서책형 교과서와 크게 다르지 않아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수학 교과에 부적합한 저작도구의 사용으로 인해 수학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 중의 하나인 학생의 탐구 활동이 매우 제한적으로 구현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교과서가 보다 잘 사용되어지기 위한 개발 방향과 저작도구로서 Cabri LM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고 적용하면서 나타난 결과를 소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 is a word to condense a new kind of educational system recently proposed by the Korean government. It signifies an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system to innov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contents, methodology and assessment. Developing a digital textbook was one of the main strate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이 공학 도구를 직접 조작하는 것에 어떤 효과가 기대되는가? 공학 도구의 사용은 학생들이 공학 도구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수학적 이해를 신장시킬 수 있고 수학적 탐구 및 사고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송해덕, 박주호, 2009; 우정호, 2009; 조완영, 김남균, 2006). 실제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국내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단순한 계산 능력 배양이 목표가 아닌 경우 공학적 교구와 다양한 교구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교육과학기술부, 2012a; NCTM, 1989, 2000), 수학 교육에서 GSP, GeoGebra, Cabri 등 공학 도구를 활용에 관한 연구가 다방면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류희찬, 강경민, 2013; 손홍찬, 2011; 양성현, 2014; 이헌수, 이광호, 2012).
디지털교과서란? 교육인적자원부는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추진 방안’(2007)에서 “디지털교과서는 서책형 교과서를 디지털화하여, 서책이 가지는 장점과 아울러 검색․내비게이션 등의 부가 편의 기능, 그리고 애니메이션․3D 등 멀티미디어, 학습지원 기능을 구비하여 편의성과 학습 효과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학습교재를 의미한다.”라고 정의하였고, 2008년 초등학교 5-6학년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가 개발되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연구, 수업 모형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학 도구의 활용이 저조한 원인을 교육 시설 측면에서 찾아보면? 여기에 대한 원인은 교육 시설과 지필 교과서의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 일반 교실 환경에서는 컴퓨터가 시범용으로 한 대 배치되어 있어 학생들이 공학 도구를 직접 조작할 수 없고 교사에 의한 시범에 그칠 수 밖에 없다. 수업이 컴퓨터실에서 이루어진다고 해도 그 수업은 컴퓨터실 담당 교사와의 기기 관리 문제, 다른 교사와의 컴퓨터실 사용 시간 조정, 이동에 따른 시간 낭비와 불편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교육과학기술부(2011a). 인재 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 교육과학기술부(2011b). 인재 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 계획. 

  3. 교육과학기술부(2012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 [별책 8]). 서울: 우신기획. 

  4. 교육과학기술부(2012b).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에 따른 교과서 개선 계획(안) 

  5. 교육부(2013). '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발표. 

  6. 교육인적자원부(2007).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래 학교 교육 현실로 다가와. 

  7. 김부미(2012). 우리나라의 ICT 환경 기반 수학 학습 현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3), 657-687. 

  8. 김선희(2012). 미래 수학 교실에 대한 전망과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6(1), 285-324. 

  9. 김원경 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교사용지도서. (주)비상교육. 

  10. 김창복(1998). 동반자적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의한 활동중심 학습이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혜숙, 이미미, 안성훈(2014).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T 2014-3. 

  12. 노정민, 허희옥, 김현진, 남창우, 정현선, 김지연, 강윤수, 정문성, 김현주, 장신호, 조근영(2013).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연구 - 초등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R 2013-6. 

  13.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대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14. 류희찬, 강경민(2013). 중심사영과 투시도의 작도 학습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수학영재들의 수학적 사고특성과 교사의 역할. 학교수학, 15(4), 921-940. 

  15. 변호승, 김남균, 조완영, 허혜자(2005). 수학과 전자교과서 개발 방법론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R 2005-23. 

  16. 서지영, 주형미, 김혜숙(2012). 스마트 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내용 표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1212-16-5. 

  17. 손홍찬(2011).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학교수학, 13(1), 107-125. 

  18. 송해덕, 박주호(2009). 교수 가이던스 관점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유형이 수학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2), 29-46. 

  19. 양미경(2013).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31(4), 51-75. 

  20. 양성현(2014). GeoGebra의 구성단계 기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수학 영재 문제해결 과정의 창의성 평가 사례 연구. 영재교육연구, 24(6), 897-916. 

  21. 우정호(2003). 수학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2. 우정호(2009).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23. 이헌수, 이광호(2012). 중등 영재학생들의 GSP를 활용한 내분삼각형 넓이의 일반화.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65-584. 

  24. 정광훈(2012). 디지털교과서 현황 및 추진 방향. KT 경제경영연구소. 

  25. 조완영, 김남균(2006). 수학과 e-learning 콘텐츠 개발 방향. 교원교육, 22(1), 40-57. 

  26. 조은애, 권혁진(2008). 수학교육에 공학적 도구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 교과교육연구, 1(1), 1-29. 

  27. 주형미, 가은아, 김정효, 남창우, 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T 2012-3. 

  28. 허혜자, 최정임(2009).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나타난 오개념에 대한 연구: 분수의 나눗셈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4), 643-664. 

  29. Drijvers, P. (2012). Digital technology in mathematical education : Why it works (or doesn't). In Cho, S. J. (Ed.) The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p. 353. Berlin, Germany : Springer. 

  30. Furmaniak, M. et al (2014). Szkola ponadgimnazjalna - Matematyka1. http://www.epodreczniki.pl/front/details/30339/1 

  31. Larborde, C. (2014a). Interactive and flexible technology for an integration in the everyday practice. Proceedings of the 2nd ATCMKOREA. Cheong-ju: KNUE. 

  32. Laborde, C. (2014b). Interactivity and flexibility exemplified with Cabri. http://atcm.mathandtech.org/EP2014/invited/3672014_20625.pdf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5. Pratt, D. (2005). "Visual math : The function web book"by Yerushalmy, M., Katriel, H., and Shternberg, B. (2002). Published by CET, Ramat Aviv, Israel. www.cet.ac.il/math/function/english. International Jo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0(3), 251-258. 

  36. Polya, G. (2008).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교우사. (영어 원작은 1957년 출판). 

  37. van Loon A.-M., Ros, A. & Martens. R. (2012). Motivated learning with digital learning tasks : what about autonomy and structure?.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0, 1015-1032. 

  38. Yerushalmy, M. (2005). Functions of interactive visual representations in interactive mathematical textbook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0(3), 217-249. 

  39. Yerushalmy, M., Shternberg, B. & Katriel, H. (2014). VisualMath: Functions & Algebra. Interactive Mathematics Text. The University of Haifa. http://visualmath.haifa.ac.i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