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격자탐색법을 이용한 의사결정나무 분석 최적 모형 선택 : 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직장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Selection of the Optimal Decision Tree Model Using Grid Search Method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Workplace Reserve Force Commanders 원문보기

한국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v.40 no.2, 2015년, pp.19 - 29  

정철우 (한국국방연구원) ,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  신다윗 (한국국방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grid search method for selecting an optimal decision tree model. It chooses optimal values for the maximum depth of tree and the minimum number of observations that must exist in a node in order for a split to be attempted. Therefore, the grid search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일반직장예비군 지휘관과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직장만족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차이 검정 결과를 기술한다. 그리고 그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 본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기술한다. 먼저, 일반직장예비군 지휘관과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직장만족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차이 검정 결과를 기술한다. 그리고 그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 직장예비군은 다시 [그림 1]에 보는 바와 같이 일반직장예비군, 대학직장예비군, 국가기관 직장예비군, 국가중요시설 직장예비군, 어민예비군, 선박 예비군 6가지 유형으로 세분화된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부대 수 기준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일반직장예비군과 대학직장예비군 부대1) 소속 지휘관의 직장만족도 차이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 그러다보니 직장에 따라 직장예비군 지휘관에 대한 처우가 매우 상이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점에 있어서 개선의 요구가 국회, 국가인권위원회, 국방부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직장예비군 지휘관과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그들의 직장만족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처우 개선에 대한 요구가 타당성을 가지는지를 살펴보았고, 아울러 어떠한 점에 있어 개선이 시급한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직장예비군 지휘관과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을 중심으로 그들의 직장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첫째, 직장예비군의 종류에 따라 지휘관의 직장 만족도에 있어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둘째, 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직장만족도가 어떠한 부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는지 탐색하며, 셋째, 그 결과를 토대로 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처우 개선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나무의 크기를 최대 뿌리 깊이와 각 노드에서 분리 가능한 최소 개체 수를 조정함으로써 통제하였다. 최대 뿌리 깊이가 크면 클수록 나무의 크기는 커지는 경향이 있고, 각 노드에서 분리 가능한 최소 개체 수가 크면 클수록 나무의 크기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 본 연구는 일반직장예비군 지휘관과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그들의 직장만족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처우 개선에 대한 요구가 타당성을 가지는지를 살펴보았고, 아울러 어떠한 점에 있어 개선이 시급한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기술은 제 2장에서 다루었다.
  • 그럼에도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응용한 많은 연구에서 모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정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한계점으로 거론되는 모형의 불안정성을 극복 하기 위한 방안으로 격자탐색법을 이용한 가지치기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타당성을 실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대 뿌리 깊이와 각 노드에서의 분리 가능한 최소 개체 수에 대한 최적 값을 선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안정적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격자탐색법(grid search method)을 제안하고 실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타당성을 보이고자 하였고, 이 점에서 본 연구의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의의를 찾을 수가 있다
  • 본 연구의 또 다른 의의는 국방 분야의 정책적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처우에 있어서의 개선 방향 설정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현재 직장예비군 지휘관은 국방부장관이 임면권을 가지고 보수는 직장의 장이 지급하는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결정나무 분석이란 무엇인가? 의사결정나무 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은 분류 또는 예측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의 하나로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그 결과가 나무구조로 표현되기 때문에 연구자가 쉽게 해석할수 있고 다른 이들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결과가 나무구조로 표현되기 때문에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의사결정나무 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은 분류 또는 예측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의 하나로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그 결과가 나무구조로 표현되기 때문에 연구자가 쉽게 해석할수 있고 다른 이들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변수에 대한선형성(linearity), 정규성(normality) 등의 가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연속형 변수와 범주형 변수를 모두 취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가지 분류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첫째, 일반직장예비군 지휘관과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 사이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직장만족도 영향 지표는 급여 산정 기준의 명확성에 대한 동의 정도이다. 급여 또는 상대적 급여 등의 지표가 있었음에도 급여 산정 기준이 첫 번째 분류 변수로서 선택된 것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은 일반직장예비군 지휘관에 비해 급여 산정 기준의 명확성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처우 개선 시 가장 중요한 것이 급여 산정을 위한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따라 급여를 산정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은 일반직장예비군 지휘관에 비해 급여 산정 기준의 명확성에 대한 동의 정도 뿐 아니라 승진 기회에 대한 인식 정도 역시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급여 산정 기준도 명확하지 않고 승진 기회조차 거의 없는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처한 현실이 잘 반영된 결과이다. 한편, 승진 기회가 적다는 것은 대학직장 예비군 지휘관의 대부분이 계약직으로 고용되는 사실과 관련이 깊다. 대학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처우를 개선한다고 할 때 이러한 고용 형태에 있어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배재권, 김진화, "지식 결합을 이용한 서로 다른 모델들의 통합", 경영과학, 제24권, 제2호 (2007), pp.177-196. 

  2. 이건창, 최 관, "감리지적기업의 분류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베이지안 망과 C5.0, 그리고 앙상블 방법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36권, 제3호(2007), pp.705-737. 

  3. 이성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한 전문대학의 교원급여 결정구조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제9권(2003), pp.297-312. 

  4. 이승태, 김성신,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생물의 행동 패턴 구분과 인식", 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제15권, 제6호(2005), pp.682-687. 

  5. 조영빈, 김채복, "온라인 소매상점에서의 효과적인 고객 분류 방법론 : 의사결정나무 기법에의 적용", 대한경영학회지, 제19권, 제6호(2006), pp.2117-2134. 

  6. 정수미, 이건호, "제품별 구매고객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귀납규칙 및 IRANN 모형",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0권, 제4호(2005), pp.117-130. 

  7. 최종후, 서두성,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의 응용", 통계분석 연구, 제4권, 제1호(1999), pp.61-83. 

  8. Al-Rubaish, A.M., S.I.A. Rahim, M.S. Abumadini, and L. Wosornu, "Academic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in Saudi Arabia," Journal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Vol.18, No.l(2011), pp.1-7. 

  9. Berry, M.J. and G. Linoff, Data Mining Techniques : For Marketing, Sales,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004. 

  10. Brayfield, A.H. and H.F. Rothe,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35(1951), pp.307-311. 

  11. Breiman, L., J. Friedman, C.J. Stone, and R.A. Olshen,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RC press, 1984. 

  12. Cass, M.H., O.L. Siu, E.B. Faragher, and C.L. Cooper,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health in Hong Kong," Stress and Health, Vol.19(2003), pp.79-95. 

  13. Cooper, C.L., S.J. Sloan, and S. Williams, Occupational Stress Indicator : Management Guide, NFER-Nelson, Winsor, 1998. 

  14. Han, J., M. Kamber, and J. Pei, Data Mining : Concepts and Techniques, Elsevier, MA, 2012. 

  15. Hartigan, J.A., Clustering Algorithm, Wiley, New York, 1975. 

  16. Hsu, C.W., C.C. Chang, and C.J. Lin, A Practical Guide to Support Vector Classification, Techinical Report,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National Taiwan University, 2004. 

  17. Kang, H.C., S.T. Han, and J.H. Choi, "Interpretation of data mining prediction model using decision tree," The Korea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Vol.7, No.3(2000), pp. 937-943. 

  18. Lee, Y.C., "Application of support vector machines to corporate credit rating prediction,"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33, No.1(2007), pp.67-74. 

  19. Min, J.H. and Y.C. Lee, "Bankruptcy predic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with optimal choice of kernel function parameter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28, No.4(2005), pp.603-614. 

  20. Weiss, D.J., R.V. Dawis, and G.W. England,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sota Stud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1967. 

  21. Quinlan, J.R., C4.5 : Programs for Machine Learning, Morgan Kaufmann, San Mateo,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