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연약지반상 압성토의 최적단면 및 측구위치 결정을 위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for Determining Optimum Section and Trench Range on Soft Counter Weight Fill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4 no.1, 2015년, pp.51 - 58  

박종철 (POSCO E&C.) ,  장용채 (Dept. of ocean.plant civil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백인철 (Dept. of ocean.plant civil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정동환 (Dept. of ocean.plant civil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압성토공법은 성토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성토체 측면에 일정한 폭과 높이로 흙을 쌓은 공법을 말한다. 본 연구는 실제 도로현장에서 전단파괴가 발생되어 복구방법으로 압성토공법을 적용한 시공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효율적인 압성토 단면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치해석결과 효율적인 압성토 단면은 압성토 폭 : 제체 높이의 2배(2H), 압성토 높이 : 제체높이의 1/3(H/3) 이다. 또한, 압성토체를 가로지르는 측구를 설치할 경우, 본성토체로부터 적절한 이격거리를 제시함으로서 효과적인 횡단측구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unter weight filling is a technology to accumulate soils on the side of berm with a proper width and height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embankment. This study aims to assess a feasibility of the counter weight filling in the construction of pavement roads for recovery of shear failure 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의 안정성을 수치 해석검토하고, 지반의 구성상태 및 토질공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연약 지반 개량공법 중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압성토 공법의 설계, 시공과 그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Terzaghi, K. and Peck, R. B.1967).
  • 0m 정도이다. 본 연구대상 현장은 외적인 환경에 의하여 공기가 지연되, 성토체 확보를 위하여 급하게 단기 과재성토를 실시해 하부지반의 원활한 압밀침하가 발생하지 않아 제체사면의 전단파괴가 발생한 현장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 깊이, 제체의 높이, 연약지반의 점착력, 측구의 위치 등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하여 합리적이고 경제성 있는 압성토공법의 범위를 제시하고자 수치 해석을 시행하였다.
  • 일반적으로 압성토공법은 제체의 안정을 기하기 위하여 본 제체 가장자리에 일정 범위의 흙을 쌓는 공법을 말한다. 여기서는 압성토체를 건설하였는데 주변 여건상 부득불 압성토체를 가로지르는 수로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수로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검토한 것이다. 즉, 압성토체에 측구를 설치할 때 측구의 위치 변화에 따른 안전 율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 여기서는 압성토체를 건설하였는데 주변 여건상 부득불 압성토체를 가로지르는 수로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수로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검토한 것이다. 즉, 압성토체에 측구를 설치할 때 측구의 위치 변화에 따른 안전 율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해석에서 연약지반 깊이 D는 6m, 12m, 18m로, 제체 높이 H는 8m, 12m, 16m로, 압성토체의 폭과 높이는 각 제체의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합리적인 크기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의 침하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일본 FUJITSU 社에서 개발한 AFIMEX 프로그램으로 탄성해석과 탄소성해석을 시행하였다. 해석대상지반의 단면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약지반이란 무엇인가? 연약지반은 우리나라 서・남해안 지역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으며,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않은 지반으로 표준관입 시험의 N 값이 0~4인 점토질 실트 혹은 실트질 점토로 이루어진 지반을 일컫는다. 이 지반은 강도와 투수성이 낮고, 압축성이 큰 지반으로 장기간에 걸쳐 압밀침하가 발생하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전단활동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연약지반은 어떠한 단점이 존재하는가? 연약지반은 우리나라 서・남해안 지역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으며,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않은 지반으로 표준관입 시험의 N 값이 0~4인 점토질 실트 혹은 실트질 점토로 이루어진 지반을 일컫는다. 이 지반은 강도와 투수성이 낮고, 압축성이 큰 지반으로 장기간에 걸쳐 압밀침하가 발생하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전단활동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연약지반은 전단강도가 낮아 성토하 중을 지지할 수 없으면 지중 수평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심하면 전단파괴로 상부 구조물이 붕괴할 수도 있다.
연약지반의 낮은 전단강도는 어떠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가? 이 지반은 강도와 투수성이 낮고, 압축성이 큰 지반으로 장기간에 걸쳐 압밀침하가 발생하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전단활동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연약지반은 전단강도가 낮아 성토하 중을 지지할 수 없으면 지중 수평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심하면 전단파괴로 상부 구조물이 붕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계 및 시공 시에는 지반파괴 및 과대변형을 억제하고 안정적인 시공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지반개량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Bergado.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Bergado. D.T. (1996), "Soft Ground Improvement", ASCE Press. pp.131-146. 

  2. Dong-yi Lee (2008), "A study on application of counterweight fill in sloped banking area", Master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pp.1-12. 

  3. Eun-Chool Kwon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unter balance method for the shear failure", Master thesis, Miryang National University. pp.13-20. 

  4. Jong-soon Bae (2001), "Deformation of soft soil due to geometry of berm",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661-669. 

  5.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05), "Soft Ground", Goomi Press. pp.238-244. 

  6. Terzaghi, K. and Peck, R. B. (1967), "Soil Mechanics in Engineering Practice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380-382. 

  7. Yong-chai Chang (1995), "Geotechnical Engineering on Soft Ground", Seron press. pp.326-3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