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홀스타인 젖소의 원유내 acetone과 β-hydroxybutyrate acid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aceton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acetone and β-hydroxybutyrate acid contents in raw milk of Holstein dairy cattl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3, 2015년, pp.687 - 693  

조광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조충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준호 (국립한경대학교 동물분자유전육종사업단) ,  박경도 (국립한경대학교 동물분자유전육종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젖소의 검정기록, 378,086개를 이용하여 케토시스 진단 지시형질로 이용되는 유량내 아세톤과 ${\beta}$-히드록시부틸산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형질별 목장, 비유단계, 산차, 착유시간 및 월령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모든 요인들에서 고도의 유의성 (p < 0.01)이 나타났으며, 가장 큰 환경요인은 비유단계였다. 1회 착유량, 아세톤과 ${\beta}$-히드록시부틸산의 함량에 대한 월령의 1차 회귀계수는 모두 정 (+)의 관계, 2차 회귀계수는 부 (-)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비유 2단계 (36~65일) 비유량의 최소자승평균은 19.06kg으로 비유말기에 비하여 6.51kg 높았다. 아세톤과 ${\beta}$-히드록시부틸산의 함량에 대한 최소자승평균은 비유 1단계 (5~35일)에서 각각 0.1929mM/L과 0.0742mM/L로 가장 높았으며, 착유일수에 따라 감소하다가 비유말기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산에 대한 아세톤과 ${\beta}$-히드록시부틸산의 함량의 최소자승평균은 각각 0.1414mM/L과 0.0522mM/L로 2차산 이상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오후착유에 대한 아세톤과 ${\beta}$-히드록시부틸산의 함량의 최소자승평균이 각각 0.1372mM/L과 0.0534mM/L로 오전착유보다 일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378,086 lactation records on dairy cattl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acetone and ${\beta}$-hydroxybutyrate acid contents in raw milk which are used as ketosis diagnosis indicator traits were analyzed in this experiment. Significance testing was conducted on farm, lactation 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케토시스 진단 지시형질인 원유속 아세톤과 β-히드록시부틸산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효과를 분석하여 준임상형 케토시스의 조기진단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젖소가 일관성 있는 비유지속성을 유지하기는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9∼43%라는 연구결과 (Suthar 등, 2013)에 비추어 볼 때, 준임상형 케토시스는 비유단계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젖소는 분만 후 최고 비유량에 도달한 이후 착유일수에 따라 점차적으로 비유량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비유량이 유지되는 정도를 비유지속성이라 정의하는데 (Togashi와 Lin, 2004), 비유량이 증가하는 시기에 케토시스와 같은 대사성 질병 등으로 인하여 최고 유량도달 후 급격한 유량 감소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비유지속성과 질병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하는 것은 농가의 수익과 직결되나 (Dekkers 등, 1998) 대부분의 젖소가 일관성 있는 비유지속성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Cho 등, 2013).
비유지속성은 무엇인가? 9∼43%라는 연구결과 (Suthar 등, 2013)에 비추어 볼 때, 준임상형 케토시스는 비유단계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젖소는 분만 후 최고 비유량에 도달한 이후 착유일수에 따라 점차적으로 비유량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비유량이 유지되는 정도를 비유지속성이라 정의하는데 (Togashi와 Lin, 2004), 비유량이 증가하는 시기에 케토시스와 같은 대사성 질병 등으로 인하여 최고 유량도달 후 급격한 유량 감소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비유지속성과 질병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하는 것은 농가의 수익과 직결되나 (Dekkers 등, 1998) 대부분의 젖소가 일관성 있는 비유지속성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Cho 등, 2013).
케토시스는 무엇인가? 케토시스란 주로 젖소에서 발생하는 대사장애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당질 및 지질대사의 이상에 의해 케톤체가 생체 내에 이상적으로 증가하여 동물에 임상증상 즉, 저혈당, 소화기 장애 또는 신경증상 등이 나타나는 질병을 말한다 (De Roos 등, 2007; Zhang 등, 2012). 식욕 감퇴나 비유량의 저하 등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임상형, 약하게 나타내는 것을 준임상형 케토시스라 하며 (McArt 등, 2012), 고능력우 일수록 케토시스 발병률이 높다 (Koeck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 K. H., Yoon, H. B., Cho, C. I., Min, H. R., Lee, J. H., Kong, H. S., Lee, H. K. and Parj, K. D. (2013). A consideration on the lactation persistency evaluation in Korean Holstein dairy cattle.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55, 173-178. 

  2. Dekkers, J. C. M., Ten Hag, J. H. and Weersink, A. (1998). Economic aspects of persistency of lactation in dairy cattle.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53, 237-252. 

  3. De Roos, A. P. W., Van Den Bijgaart, H. J. C. M., Horlyk, J. and De Jong, G. (2007). Screening for subclinical ketosis in dairy cattle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 Journal of Dairy Science, 90, 1761-1766. 

  4. Duffield, T. F., Lissemore, K. D., McBride, B. W. and Leslie, K. E. (2009). Impact of hyperketonemia in early lactation dairy cows on health and production. Journal of Dairy Science, 92, 571-580. 

  5. Enjalbert, F., Nicot, M. C., Bayourthe, C. and Moncoulon, R. (2001). Ketone bodies in milk and blood of dairy cows: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s and utilization for detection of subclinical ketosis. Journal of Dairy Science, 84, 583-589. 

  6. Geishauser, T., Leslie, K., Kelton, D. and Duffield, T. (1998). Evaluation of five cowside tests for use with milk to detect subclinical ketosis in dairy cows. Journal of Dairy Science, 81, 438-443. 

  7. Lee, D. H. and Min, H. L. (2013). Estimation of daily milk yields from AM/PM milking records.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55, 489-500. 

  8. McArt, J. A. A., Nydam, D. V. and Oetzal, G. R. Oetzel. (2012). Epidemiology of subclinical ketosis in early lactation dairy cattle. Journal of Dairy Science, 95, 5056-5066. 

  9. Koeck, A., Miglior, F., Jamrozik, J., Kelton, D. F. and Schenkel, F. S. (2013). Genetic associations of ketosis and displaced abomasum with milk production traits in early first lactation of Canadian Holsteins. Journal of Dairy Science, 96, 4688-4696. 

  10. Oetzel, G. R. (2004). Monitoring and testing dairy herds for metabolic disease.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20, 651-674. 

  11. SAS Institute Inc. (2008). SAS/STAT 9.2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12. Suthar, V. S., Canelas-Raposo, J., Deniz, A. and Heuwieser, W. (2013). Prevalence of subclinical ketosis and relationships with postpartum diseases in European dairy cows. Journal of Dairy Science, 96, 2925-2938. 

  13. Togashi, K. and Lin, C. Y. (2004). Efficiency of different selection criteria for persistency and lactation milk yield. Journal of Dairy Science, 87, 1528-1535. 

  14. Zhang, Z., Liu, G., Wang, H., Li, X. and Wang, Z. (2012). Detection of Subclinical Ketosis in Dairy Cows. Pakistan Veterinary Journal, 32, 156-16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