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평가 전문성에 대한 자가진단 내용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diagnosis on Their Competency for Assessment in Science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4 no.2, 2015년, pp.153 - 163  

강훈식 (춘천교육대학교) ,  강석진 (전주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diagnosis on their competency for assessment in scienc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depth group interviews with 6 teacher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an scores of f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과학 평가의 윤리성, 평가 실시채점성적 부여, 평가 방법의 선정, 평가 결과의 분석해석 활용의사소통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전문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생이 겪는 어려움을 진단하거나 특별한 지도를 필요로 하는 학생을 변별하는 데 적합한 평가 방법의 선정 및 규준 참조 평가와 준거 참조 평가에 관한 전문성이 부족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량적 자료 분석과 해석 및 평가 도구의 개발과 관련된 전문성은 상대적으로 부족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평가 전문성에 대한 자가진단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평가의 윤리성’, ‘평가 실시채점성적 부여’, ‘평가 방법의 선정’, ‘평가 결과의 분석해석․활용의사소통’, ‘평가 도구의 개발’ 영역 순으로 자신의 전문성 수준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초등학교 교사가 과학 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총체적인 전문성 수준 관련 정보는 현재로서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평가 전문성에 대한 자가진단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가는 무엇인가? 평가는 학생의 학습과 성취에 대한 교사의 의사 결정을 뒷받침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활동으로(McMillan et al., 2002), 평가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 목표 달성 정도 및 다양한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파악, 설정된 교수 목표의 타당성 및 학습 지도 방법의 유효성 점검 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교수․학습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Kwon et al.
교사의 평가는 학생들 의 학습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그 예시는 무엇인가? 실제로 교사의 평가는 학생들 의 학습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형성평가의 교수 효과를 조사한 연구를 종합한 Black and Wiliam(1998)의 연구에 따르면, 형성평가의 효과 크기(effect size)는 0.4~0.7로 가장 효과적인 교육 처치 중 하나였다. 따라서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은 성공적인 교수․학습 및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Cho & Ko, 2008; Falk, 2012; Min, 2012; Park & Oliver, 2008; Veal & MaKinster, 1999).
평가 결과는 무엇으로 사용 되는가? 평가는 학생의 학습과 성취에 대한 교사의 의사 결정을 뒷받침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활동으로(McMillan et al., 2002), 평가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 목표 달성 정도 및 다양한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파악, 설정된 교수 목표의 타당성 및 학습 지도 방법의 유효성 점검 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교수․학습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Kwon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990). Standards for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9(4), 30-32. 

  2. Black, P. & Wi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5(1), 7-74. 

  3. Cho, H.-H. & Ko, Y. J. (2008).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6), 618-632. 

  4. Choi, K., Lee, H. & Nam, J.-H. (2000).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with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479-490. 

  5.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6. Jang, S.-M. & Kim, J.-Y. (2002). Analysis on the statu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science based on the elementary teachers' concer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2), 227-239. 

  7. Kim, D.-Y. (2006). The development of a self-diagnostic program for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 Centering on earth science contents -.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Kim, H.-J., Kwack, D.-H. & Sung, M.-W. (2000). An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evaluation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 101-111. 

  9. Kim, J. Y. (2005).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n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aegu. 

  10. Kim, K., Park, E., Song, M., Sang, K., Kim, S., Kim, H., Shin, J., Seo, J., Lee, C., Kim, J., Kim, K. & Choi, S. (2012). A study on management of standards-based assessment in secondary schools [중등학교의 성취평가제 운영 방안 연구].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RE 2012-8). 

  11. Kim, K.-M. & Kim, S.-W. (2002). A study on the weight of assessment domains in science education focused on the teacher's view poi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3), 540-549. 

  12. Kim, S. (2002). A study on the teacher's competence for classroom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5(1), 151-171. 

  13. Kim, S.-Y. & Hyun, M.-S. (2005).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general matter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appropriat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9(2), 213-232. 

  14. Ko, M.-S., Kim, E.-A., Heo, J.-M. & Y. I.-H. (2013).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practice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2), 124-135. 

  15. Kwon, J.-S., Kim, B. K., Choi, B.-S., Kim, H.-N., Paik, S.-H., Yang, I.-H., Kwon, Y.-J., Cha, H., Woo, J.-O. & Jeong, J.-W. (2012). Theories in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론]. Seoul: Kyoyookbook Publication Co. 

  16. Lee, Y.-G., Ko, M.-S. & Kim, M.-Y. (2011). A stud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pecialty in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6(3), 65-75. 

  17. McMillan, J. H. (200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Boston: Allyn & Bacon. 

  18. Min, H. J. (2012). Development of assessment expertise model through analyzing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and teacher train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1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과학과교육과정].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361. 

  20. Nam, M., Park, S., Song, M., Kim, K., Kim, S., Cho, I., Lim, W., Lee, K., Oh, S., Kang, M. & Kang, J. (2006). A study on improvement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III)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III)].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RE 2006-5). 

  21. Noh, T., Yoon, J. & Kang, S. (2009). The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3), 352-360. 

  22.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23. Veal, W. R. & MaKinster, J. G.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axonomies.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 Retrieved from http://unr.edu/homepage/crowther/ejse/ejsev3n4.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