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경잡음 교차상관을 이용한 국내 광대역 지진계의 방위각 보정값 측정
Determining the Orientations of Broadband Stations in South Korea using Ambient Noise Cross-correlation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8 no.2, 2015년, pp.85 - 90  

이상준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이준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잡음 교차상관을 이용하여 국내에 설치된 지표 및 시추공 관측소 지진계방위각 보정값을 계산하였다. 이 방법은 원거리 지진자료를 사용하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배경잡음 자료를 이용하며, 수직-수직성분 배경잡음 교차상관 함수$90^{\circ}$ 위상변화시키면 수직-방사성분 교차상관함수의 위상과 일치하게 된다는 특성을 이용한다. 2007년 1월부터 2008년 9월까지의 연속 자료를 중합하여 계산한 결과는 원거리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이전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하며, 계산 결과의 표준편차도 대부분 $5^{\circ}$ 이하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자료를 30일씩 중합하여 계산한 결과 역시 표준편차가 $5^{\circ}$ 이하로 낮게 계산되며, 시간에 따른 방위각 보정값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미루어 2007년 1월부터 2008년 9월 사이 기간에는 전체 관측소의 지진계 방위각이 크게 바뀌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배경잡음 교차상관 분석 방법의 중합기간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국내 지진관측소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방위각 보정값을 얻는데 필요한 배경잡음 연속 기록의 최소 기간은 30일 정도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ientation corrections for Korean seismic stations were calculated by using ambient noise cross-correlation. This method uses Rayleigh waves extracted from ambient noise cross-correlation instead of teleseismic waveforms from earthquakes, which have been generally used for previous studies. Th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이 기간을 선택한 이유는 같은 기간 동안 관측된 원거리 지진의 P파 입자운동 자료를 분석하여 방위각 보정값을 계산한 Shin et al. (2009)의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에 지진계가 설치된 시추공 관측소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30여 곳은 지진계가 지하 20 ~ 100 m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시추공 관측소이다. 지하는 지표면에 비해 배경잡음의 세기가 낮기 때문에 시추공에 지진계를 설치하면 신호대 잡음의 비율이 높아져서 작은 신호도 관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지진계들은 대부분 지반의 3차원적인 운동을 관측하기 위하여 3성분(북-남, 동-서, 상-하)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확한 관측을 위해서는 수평 성분 센서를 방향에 맞게 설치하거나 관측 자료의 보정을 위하여 수평 성분 센서가 틀어진 각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국내 설치된 상시 광대역 관측소는 어디에서 운영중인가? 국내에 설치된 상시 광대역 관측소는 약 60개소로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IRIS (Incorporated Research Institutions for Seismology) 등에서 운영 중이다.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30여 곳은 지진계가 지하 20 ~ 100 m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시추공 관측소이다.
지진계는 어떤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가? 지하는 지표면에 비해 배경잡음의 세기가 낮기 때문에 시추공에 지진계를 설치하면 신호대 잡음의 비율이 높아져서 작은 신호도 관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지진계들은 대부분 지반의 3차원적인 운동을 관측하기 위하여 3성분(북-남, 동-서, 상-하)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확한 관측을 위해서는 수평 성분 센서를 방향에 맞게 설치하거나 관측 자료의 보정을 위하여 수평 성분 센서가 틀어진 각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수평 성분 센서가 틀어진 각도는 방위각 보정값(Orientation correction)이라고 부르고 동-서 성분 센서의 방향이 정동에서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얼마나 틀어져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ensen, G. D., Ritzwoller, M. H., Barmin, M. P., Levshin, A. L., Lin, F., Moschetti , M. P., Shapiro, N. M., and Yang, Y., 2007, Processing seismic ambient noise data to obtain reliable broad-band surface wave dispersion measurement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69, 1239-1260. 

  2. Ekstrom, G., and R. W. Busby, 2008, Measurements of seismometer orientation at USArray Transportable Array and Backbone stations,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79(4), 554-561. 

  3. Kang, T. S., and Shin, J. S., 2006, Surface?wave tomography from ambient seismic noise of accelerograph networks in southern Kore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17303. 

  4. Laske, G., 1995, Global observation of off-great-circle propagation of long-period surface wave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23(1), 245-259. 

  5. Lee, H., and Sheen, D. H., 2015, A study on determination of orientation of borehole seismometer,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1), 93-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in, F. C., Moschetti, M. P., and Ritzwoller, M. H., 2008, Surface wave tomography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from ambient seismic noise: Rayleigh and Love wave phase velocity map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73(1), 281-298. 

  7. Shapiro, N. M., 2004, Emergence of broadband Rayleigh waves from correlations of the ambient seismic nois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1, L07614. 

  8. Shin, J. S., Sheen, D. H., and Shin, I. C., 2009, Orientation correction for borehole seismic station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 47-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Stachnik, J. C., Sheehan, A. F., Zietlow, D. W., Yang, Z., Collins, J., and Ferris, A., 2012, Determination of New Zealand ocean bottom seismometer orientation via Rayleigh-wave polarization,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83(4), 704-713. 

  10. van Wijk, K., Mikesell, T. D., Schulte-Pelkum, V., and Stachnik J., 2011, Estimating the Rayleigh-wave impulse response between seismic stations with the cross terms of the Green tensor,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8, L16301. 

  11. Zha, Y., Webb, S. C., and Menke, W., 2013, Determining the orientations of ocean bottom seismometers using ambient noise correla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0(14), 3585-35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