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iBOB 전해액 첨가제 도입에 따른 Li(Ni1/3Co1/3Mn1/3)O2/graphite 전지의 고온특성
Effects of Lithium Bis(Oxalate) Borate as an Electrolyte Additive on High-Temperature Performance of Li(Ni1/3Co1/3Mn1/3)O2/Graphite Cell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8 no.2, 2015년, pp.58 - 67  

정지선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이혜원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이후길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유명현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이용민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극 표면에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를 형성하는 전해질 첨가제인 lithium bis(oxalate) borate (LiBOB),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vinylene carbonate (VC), 2-(triphenylphosphoranylidene) succinic anhydride (TPSA)를 $Li(Ni_{1/3}Co_{1/3}Mn_{1/3})O_2$ (NCM)/graphite 전지에 도입하여 고온 저장 특성을 비교하였다. 각 전지를 50%의 충전상태(stage of charge, SOC)에서, 고온 저장($60^{\circ}C$, 20일) 시킨 이후의 용량 유지율을 확인한 결과, LiBOB 1 wt.%가 가장 우수한 용량 유지 특성(초기 방전용량 대비 86.7%)을 나타내었다. LiBOB 1 wt.%의 경우 고온 저장 전후의 전지 저항 증가 및 SEI 두께 변화가 가장 적었고, 이는 음극 SEI에 포함된 다량의 semi-carbonate 물질과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LiBOB 1 wt.%가 포함된 NCM/graphite 전지의 상온($25^{\circ}C$) 및 고온수명($60^{\circ}C$) 특성도 기준 전해액(1.15 M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6) in ethylene carbonate/ethyl methyl carbonate (EC/EMC, 3/7 by volume))보다 각각 6%와 9%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LiBOB이 상온 성능을 동등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고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전해액 첨가제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electrolyte additives, lithium bis(oxalate)borate (LiBOB),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vinylene carbonate (VC), 2-(triphenylphosphoranylidene) succinic anhydride (TPSA), on high-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of $Li(Ni_{1/3}Co_{1/3}Mn_{1/3})O_2$/graphite are investig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4-26)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고온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4종의 전해액 첨가제(LiBOB, FEC, VC, TPSA)를 도입 하여 graphite 표면의 SEI를 개질, 이들이 NCM/ graphite전지의 고온 저장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 하였다.
  • 또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중대형전지 시스템에 적절한 전극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첨가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대형전지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전극 시스템을 기반으로 설계하고자, NCM/ graphite를 전극 chemistry로 선택하였다. 평가된 첨가제로는 고온 특성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LiBOB,17) FEC,15) VC,18) TPSA19)를 선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차전지의 고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가? 하지만, 상용화된 리튬이차전지는 고온에 취약한 LiPF6 리튬염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어, 장기간 고온 노출 시 전해액의 분해반응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7)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온에 안정적인 염을 사용하거나, 유기용매와 첨가제의 종류 및 조성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소량의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양극 또는 음극의 표면에 형성되는 SEI를 제어하여, 전지의 고온 저장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vinylene carbonate (VC),8-10) ethylene sulfite (ES),11) 1,4-butane sultone (BS),12) vinyl ethylene carbonate (VEC)13), lithium bis(oxalate)borate (LiBOB)14) 등의 첨가제를 이용하여 음극 표면의 SEI 를 제어하고, 고온에서의 성능 향상의 결과를 얻은 논문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리튬이차전지는 장기간 고온 노출 시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하지만, 상용화된 리튬이차전지는 고온에 취약한 LiPF6 리튬염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어, 장기간 고온 노출 시 전해액의 분해반응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7)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온에 안정적인 염을 사용하거나, 유기용매와 첨가제의 종류 및 조성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리튬이차전지 전기자동차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석유자원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은 내연기관 자동차를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electric vehicles(EVs) 등의 전기자동차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전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1-3) 현재, 에너지밀도가 가장 높은 리튬이차전지가 전기자동차로 주로 채용되고 있지만, 충분한 주행거리를 확보하기에는 아직도 부족하고, 높은 가격 그리고 10년 이상의 검증이 필요한 수명과 안전성은 해결되어야 할 요소들이다.4,5) 특히, 자동차의 특성상 주행보다는 주차되어 있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사용 지역의 환경이 리튬이차전지의 성능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 Armand and J.-M. Tarascon, 'Building better batteries' Nature, 451, 652 (2008). 

  2. B. Scrosati, J. Hassoun, and Y.-K. Sun, 'Lithium-ion batteries. A look into the future' Energy Environ. Sci., 4, 3287 (2011). 

  3. C. Liu, F. Li, L. P. Ma, and H. M. Cheng, 'Advanced materials for energy storage' Adv. Mater., 22, E28 (2010) 

  4. F. Conte,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a review' Elektrotechnik & Informationstechnik, 123, 424 (2006). 

  5. C. Chan, 'The state of the art of electric, hybrid, and fuel cell vehicles' Proc. IEEE, 95, 704 (2007). 

  6. E. Karden, S. Ploumen, B. Fricke, T. Miller, and K. Snyder, 'Energy storage devices for future hybrid electric vehicles' J. Power Sources, 168, 2 (2007). 

  7. S. Santee, A. Xiao, L. Yang, J. Gnanaraj, and B. L. Lucht, 'Effect of combinations of additives on the performance of lithium 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94, 1053 (2009). 

  8. D. Aurbach, K. Gamolsky, B. Markovsky, Y. Gofer, M. Schmidt, and U. Heider, 'On the use of vinylene carbonate (VC) as an additive to electrolyte solutions for Li-ion batteries' Electrochim. Acta, 47, 1423 (2002). 

  9. T. Sasaki, T. Abe, Y. Iriyama, M. Inaba, and Z. Ogumi, 'Suppression of an alkyl dicarbonate formation in Li-ion cells' J. Electrochem. Soc., 152, A2046 (2005). 

  10. L. Zhao, S. Okada, and J.-I. Yamaki, 'Effect of VC additive on MFA-based electrolyte in Li-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244, 369 (2013). 

  11. M. Lu, H. Cheng, and Y. Yang, 'A comparison of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on the artificial graphite anode of the aged and cycled commercial lithium ion cells' Electrochim. Acta, 53, 3539 (2008). 

  12. M. Xu, W. Li, X. Zuo, J. Liu, and X. Xu, 'Performance improvement of lithium ion battery using PC as a solvent component and BS as an SEI forming additive' J. Power Sources, 174, 705 (2007). 

  13. J. Li, W. Yao, Y. S. Meng, and Y. Yang, 'Effects of vinyl ethylene carbonate additive on elevated-temperature performance of cathode material in lithium ion batteries' J. Phys. Chem. C, 112, 12550 (2008). 

  14. L. Larush-Asraf, M. Biton, H. Teller, E. Zinigrad and D. Aurbach, 'On the electrochemical and thermal behavior of lithium bis (oxalato) borate (LiBOB) solutions' J. Power Sources, 174, 400 (2007). 

  15. M.-H. Ryou, G.-B. Han, Y. M. Lee, J.-N. Lee, D. J. Lee, Y. O. Yoon, and J.-K. Park, 'Effect of fluoroethylene carbonate on high temperature capacity retention of $LiMn_2O_4/graphite$ Li-ion cells' Electrochim. Acta, 55, 2073 (2010). 

  16. N. N. Sinha, J. Burns, and J. Dahn, 'Storage studies on Li/graphite cells and the impact of So-called SEI-forming electrolyte additives' J. Electrochem. Soc., 160, A709 (2013). 

  17. W. Lu, Z. Chen, H. Joachin, J. Prakash, J. Liu, and K. Amine, 'Therm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CMB/LiNi_{1/3}Co_{1/3}Mn_{1/3}O_2$ using LiBOB as an electrolyte additive' J. power sources, 163, 1074 (2007). 

  18. H. Ota, K. Shima, M. Ue, and J.-I. Yamaki, 'Effect of vinylene carbonate as additive to electrolyte for lithium metal anode' Electrochim. Acta, 49, 565 (2004). 

  19. M.-H. Ryou, J.-N. Lee, D. J. Lee, W.-K. Kim, J. W. Choi, J.-K. Park, and Y. M. Lee, '2-(triphenylphosphoranylidene) succinic anhydride as a new electrolyte additive to improve high temperature cycle performance of $LiMn_2O_4/graphite$ Li-ion batteries' Electrochim. Acta, 102, 97 (2013). 

  20. A. Prakash, P. Manikandan, K. Ramesha, M. Sathiya, J. Tarascon, and A. Shukla, 'Solution-combustion synthesized nanocrystalline $Li_4Ti_5O_{12}$ as high-rate performance Li-ion battery anode' Chem. Mater., 22, 2857 (2010). 

  21. T. Yoon, S. Park, J. Mun, J. H. Ryu, W. Choi, Y.-S. Kang, J.-H. Park, and S. M. Oh, 'Failure mechanisms of $LiNi_{0.5}Mn_{1.5}O_4$ electrode at elevated temperature' J. Power Sources, 215, 312 (2012). 

  22. J.-H. Kim, S. C. Woo, M.-S. Park, K. J. Kim, T. Yim, J.-S. Kim, and Y.-J. Kim, 'Capacity fading mechanism of $LiFePO_4$ -base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for stationary energy storage' J. Power Sources, 229, 190 (2013). 

  23. T. Eriksson, A. M. Andersson, A. G. Bishop, C. Gejke, T. Gustafsson, and J. O. Thomas, 'Surface analysis of $LiMn_2O_4$ electrodes in carbonate-based electrolytes' J. Electrochemical Society, 149, A69 (2002). 

  24. K. Colbow, J. Dahn, and R. Haering, 'Structure and electrochemistry of the spinel oxides $LiTi_2O_4$ and $Li_{4/3}Ti_{5/3}O_4$ ' J. Power Sources, 26, 397 (1989). 

  25. E. Ferg, R. Gummow, A. De Kock, and M. Thackeray, 'Spinel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41, L147 (1994). 

  26. K. Zaghib, M. Armand, and M. Gauthier, 'Electrochemistry of anodes in solid-state Li-ion polymer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45, 3135 (1998). 

  27. R. Yazami and Y. F. Reynier, 'Mechanism of self-discharge in graphite-lithium anode' Electrochim. Acta, 47, 1217 (2002). 

  28. K. Abe, T. Hattori, K. Kawabe, Y. Ushigoe, and H. Yoshitake, 'Functional electrolytes triple-bonded compound as an additive for negative electrode' J. Electrochem. Soc., 154, A810 (2007). 

  29. A. Andersson, A. Henningson, H. Siegbahn, U. Jansson, and K. Edstrom, 'Electrochemically lithiated graphite characterised by photoelectron spectroscopy' J. power sources, 119, 522 (2003). 

  30. K. Xu, U. Lee, S. Zhang, M. Wood, and T. R. Jow, 'Chemical analysis of graphite/electrolyte interface formed in LiBOB-based electrolytes' Electrochem. solidstate lett., 6, A144 (2003). 

  31. Z. Chen, W. Lu, J. Liu, and K. Amine, ' $LiPF_6/LiBOB$ blend salt electrolyte for high-power lithium-ion batteries' Electrochim. Acta, 51, 3322 (2006). 

  32. D. Aurbach, B. Markovsky, A. Shechter, Y. Ein-Eli and H. Cohen, 'A comparative study of synthetic graphite and Li electrodes in electrolyte solutions based on ethylene carbonate-dimethyl carbonate mixtures' J. Electrochem. Society, 143, 3809 (1996). 

  33. R. Dedryvere, S. Laruelle, S. Grugeon, L. Gireaud, J.-M. Tarascon, and D. Gonbeau, 'XPS identification of the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of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formed on a metallic cathode' J. Electrochem. Soc., 152, A689 (2005). 

  34. Y. K. Kwon, W. Choi, H.-S. Choi, and J. K. Lee, 'Effect of lithium difluoro (oxalato) borate on $LiMn_2O_4$ -activated carbon hybrid capacitors' Electron. Mater. Lett., 9, 751 (2013). 

  35. M. H. Ryou, Y. M. Lee, J. K. Park, and J. W. Choi, 'Mussel-Inspired Polydopamine-Treated Polyethylene Separators for High-Power Li-Ion Batteries' Adv. Mater., 23, 3066 (2011). 

  36. M. H. Ryou, D. J. Lee, J. N. Lee, Y. M. Lee, J. K. Park, and J. W. Choi, 'Excellent Cycle Life of Lithium-Metal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with Mussel-Inspired Polydopamine-Coated Separators' Adv. Energy Mater., 2, 645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