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치과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ental Utilization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5 no.1, 2015년, pp.60 - 66  

안은숙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인문사회치의학교실) ,  황지민 (백석문화대학교 치위생과) ,  신명숙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4,521명) 노인을 대상으로 Andersen과 Davidson이 제안한 모델을 적용하여, 소인성 요인, 가능 요인, 필요 요인, 구강건강행태 요인과 치과의료이용의 관계를 파악한 후, 노인들의 치과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소인성, 가능, 필요 요인과 틀니 필요여부에서는 소인성 요인에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능 요인에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틀니의 필요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필요 요인에서 미충족 치과의료를 경험한 노인 중 39.89%, 저작 불편을 호소한 노인 중 67.79%가 틀니 장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노인의 치과의료이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Model 1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1.23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치과의료이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과 결혼상태, 교육수준, 민간건강보험 가입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Model 2는 Model 1에서 필요 요인을 보정한(adjusted) 결과 미충족 치과의료를 경험하지 않은 경우 1.35배, 저작 불편을 호소한 경우 1.34배 치과의료이용을 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민간건강보험 가입여부, 미충족 치과의료, 저작 불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강건강상태를 포함한 Model 3은 연령, 미충족 치과의료경험, 저작 불편 호소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소인성 요인과 가능요인, 필요 요인 등이 노인의 치과의료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노인에 치과의료 이용에 다양한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노인의 치과의료 이용의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면적인 노력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redisposing, enabling, need factors and oral health care factors to the dental utilization in 4,521 senior citizens based on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s for the relationship of predisposing, enabl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노인들의 구강건강을 좌우하는 치과의료이용 양상을 파악하고 치과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Andersen과 Davidson이 제안한 모델15)을 이용한 노인의 치과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 서비스 및 보건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del 1, Model 2, Model 3의 설명력을 증가하기위해 사용한 분석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은 어떤 변수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이 변수에 따라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검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18).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Model 1, Model 2, Model 3을 검정한 결과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odel 1과 Model 2를 비교해보면, 소인성 요인과 가능 요인만을 고려한 모델보다 필요 요인을 추가했을 경우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의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각각의 유의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의 구강건강은 어떤 요소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노인의 건강 및 복지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3). 노인의 구강건강은 건강과 행복에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노인의 구강 건강상태 및 상병은 연령 증가에 따른 생리적 변화, 만성질환, 다양한 의약품 사용과 관계되어 위험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4,5).
소인성 요인과 가능요인, 필요 요인 등이 노인의 치과의료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 Model 3은 어떠한 통계적 유의미가 있는가? 34배 치과의료이용을 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민간건강보험 가입여부, 미충족 치과의료, 저작 불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강건강상태를 포함한 Model 3은 연령, 미충족 치과의료경험, 저작 불편 호소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소인성 요인과 가능요인, 필요 요인 등이 노인의 치과의료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om YH, Han JH: Factor associated with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in elderly persons: applying Anderson's model. J Korean Acad Fundam Nurs 21: 18-28, 2014.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20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pp.4-11, 2012. 

  3. Jang Y, Yoon H, Park NS, Chiriboga DA, Kim MT: Dental care utilization and unmet dental needs in older Korean Americans. J Aging Health 26: 1047-1059, 2014. 

  4. Silva AR, Langlois CO, Feldens CA: Use of dental service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in southern Brazil. Rev Bras Epidemiol 16: 1005-1016, 2013. 

  5. Dolan TA, Atchison K, Huynh TN: Access to dental care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J Dent Educ 69: 961-974, 2005. 

  6. Kiyak HA, Reichmuth M: Barrier to and enablers of older adults' use of dental services. J Dent Educ 69: 975-986, 2005. 

  7. Ahn KS, Ji MG: A study of factors of oral health diseases among the elderly. J Korean Acad Dent Health 8: 73-84, 2008. 

  8. Park MS, Ryu SA: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J Korean Acad Nurs 40: 747-755, 2010. 

  9. Hur IG, Lee TY, Dong JK, Hong SH: The effect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 Adv Prosthodont 48: 101-110, 2010. 

  10. Lee HS, Kim C: Effe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person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3: 338-346, 2012. 

  11. Evashwick C, Conrad D, Lee F: Factors related to utilization of dental services by the elderly. Am J Public Health 72: 1129-1135, 1982. 

  12. Davidson PL, Andersen RM: Determinants of dental care utilization for diverse ethnic and age groups. Adv Dent Res 11: 254-262, 1997. 

  13. Caban-Martinez AJ, Lee DJ, Fleming LE, et al.: Dental care access and unmet dental care needs among U.S. workers. J Am Dent Assoc 138: 227-230, 2007. 

  14. Ohi T, Sai M, Kikuchi M, et al.: Determinants of the utilization of dental services in a community-dwelling elderly Japanese population. Tohoku J Exp 281: 241-249, 2009. 

  15. Andersen RM, Davidson PL: Ethnicity, aging, and oral health outcomes: a conceptual framework. Adv Dent Res 11: 203- 209, 1997. 

  16. Levesque JF, Harris MF, Russell G: Patient-centred access to health care: conceptualising access at the interface of health systems and populations. Int J Equity Health 12: 1-9, 2013. 

  17. Retrieved December 18, 2012, from 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439(2014, August 7). 

  18. Min IS, Choi FS: STATA basic statistics $^{(R)}$ ression analysis. The Korean Association of STATA, Seoul, pp.183- 202, 2010. 

  19. Kim HS, Ahn E, Kim MY, Kim SM, Shin H: Trends of household income and dental care spending. J Korean Acad Oral Health 38: 17-24, 2014. 

  20. Kim JG: The impact of family type on health behavior of elderly people. J Welf Aged 51: 35-56, 2010. 

  21. Park SB, Jung KH: The determinan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its effects on medical utilization in Korea. Korean Soc Secur Stud 88: 23-49, 2011. 

  22. Yang DL, Choi IY, Kim KJ, Kwon YD: Awareness and purchase of the private dental insurance among dental patients in the capital region. J Korea Content Assoc 13: 322-33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