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C 열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제조된 산화철 나노입자의 광 전기화학적 물분해 효율 증가연구
Photo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Hematite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a DC Thermal Plasma Proces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6 no.3, 2015년, pp.306 - 310  

이철호 (인하대학교 화학.화학공학 융합학과) ,  이동은 (인하대학교 화학.화학공학 융합학과) ,  김선규 (인하대학교 화학.화학공학 융합학과) ,  유현석 (인하대학교 화학.화학공학 융합학과) ,  최진섭 (인하대학교 화학.화학공학 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광 전기화학적 물 분해 전극 재료로 이용되는 산화철($Fe_2O_3$, hematite)을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DC 열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하여 나노입자로 합성한 후 전극을 제조 시 binder의 종류 및 조성을 다르게 하여 염기성 전해질에서 각각의 물 분해 효율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질소 도핑을 통해 질소가 산화철의 광전기화학 반응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산화철 전극을 제조하여 solar simulator를 이용한 LSV 실험을 통해 각 전극의 onset potential 및 설정한 전압 범위에서의 최대 전류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전극의 내구성 평가를 위하여 LSV 실험을 반복하여 진행하였다. CMC (carboxymethyl cellulose)를 50 : 1의 비율로 섞어 binder로 이용한 산화철 전극이 가장 높은 전류밀도인 $12mA/cm^2$의 전류밀도를 나타내었고, CMC를 20 : 1 비율로 섞은 binder를 이용할 시 $3mA/cm^2$의 초기 전류밀도를 가지고 약 20회의 반복 실험을 견뎌내는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질소의 도핑이 산화철 나노입자의 광 전기 화학적 반응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hematite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DC thermal plasma process to increase the overall surface area. The effect of binders on hematite electrodes was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type and composition of binders when preparing electrodes. Nitrogen gas was also added to the D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DC 열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하여 철 나노입자를 제조한 후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산화철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이를 광전기화학적 물 분해 전극 재료로 이용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전기 전도도 및 반응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전위를 인가하였을 때의 전류밀도가 달라졌다.
  • 본 연구에서는 산화철을 나노입자로 제조하여 표면적을 극대화시키고 이에 따른 물 분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DC 열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한 산화철 나노입자의 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후 표면 분석은 TEM 및 EDX를 통하여 측정하였고,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판 제조 후 3전극 시스템을 채용한 전기화학 실험을 진행하여 산소발생전위 및 전압에 따른 전류밀도를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Figure 4. (a) TEM image and (b) EDX data of N-doped hematite nanoparticl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 전기화학적 물 분해 반응에 이용되는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 범위에 알맞은 밴드갭(band gap) 및 밴드 위치를 가진 물질을 재료로 이용하면 태양광을 쪼이는 것만으로도 물 분해 반응이 일어나 손쉽게 수소 및 산소를 얻을 수 있다[4]. 광 전기화학적 물 분해 반응에 이용되는 물질은 주로 TiO2[5,6], WO3[7], ZnO[8,9], CdS[10,11], Fe2O3[12-16]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 중 산화철(Fe2O3, hematite)은 이전부터 낮은 밴드갭(1.
PVDF를 접착제로 이용한 전극의 전류밀도가 낮게 나온 이유는? PVDF를 접착제로 이용한 전극은 기판과 전극 사이의 안정성이 크기 때문에 산화철 전극의 부착이 떨어지지 않고 반응이 계속 진행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전류밀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PVDF 및 NMP가 전도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생성된 전자의 전달속도가 느려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반대로 CMC를 접착제로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CMC 자체의 전기 전도도및 산화철의 전기전도도 증가 효과로 전류 밀도가 대조군보다 약 3배 정도 높은 결과를 보인다.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하여 나노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의 장점은?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하여 나노물질을 제조하는 방법들은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공정의 절차가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순도가 높은 물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높은 양산성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산업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기술이지만, 아직까지는 대량생산을 포함한 기술이 완성되지 않았으며, 금속 및 금속 산화물 등의 물질에만 이용할 수 있고, 장비 및 기술 관련 초기 투자비용이 기존 방식의 비용보다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 Kudo and Y. Miseki, Heterogeneous photocatalyst materials for water splitting, Chem. Soc. Rev., 38, 253-278 (2009). 

  2. Z. Zou, J. Ye, K. Sayama, and H. Arakawa, Direct splitting of water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with an oxide semiconductor photocatalyst, Nature, 414, 625-627 (2001). 

  3. X. Chen, S. Shen, L. Guo, and S. S. Mao, Semiconductor-based photocatalytic hydrogen generation, Chem. Rev., 110, 6503-6570 (2010). 

  4. F. E. Osterloh, Inorganic materials as catalysts for photochemical splitting of water, Chem. Mater., 20, 35-54 (2008). 

  5. G. K. Mor, K. Shankar, M. Paulos, O. K. Varghese, and C. A. Grimes, Enhanced photocleavage of water using titania nanotube arrays, Nano. Lett., 5, 191-195 (2005). 

  6. G. Liu, L. Wang, H. G. Yang, H. M. Cheng, and G. Q. Lu, Titania-based photocatalysts-crystal growth, doping and heterostructuring, J. Mater. Chem., 20, 831-843 (2010). 

  7. R. Abe, T. Takata, H. Sugihara, and K. Domen, Photocatalytic overall water splitting under visible light by TaON and $WO_3$ with an $IO_3^-/I^-$ shuttle redox mediator, Chem. Commun., 30, 3829-3831 (2005). 

  8. A. Wolcott, W. A. Smith, T. R. Kuykendall, Y. Zhao, and J. Z. Zhang, Photoelectrochemical study of nanostructured ZnO thin films for hydrogen generation from water splitting, Adv. Funct. Mater., 19, 1849-1856 (2009). 

  9. K. S. Ahn, S. Shet, T. Deutsch, C. S. Jiang, Y. Tan, M. A. Jassim, and J. Turner, Enhancement of photoelectrochemical response by aligned nanorods in ZnO thin films, J. Power Sources, 176, 387-392 (2008). 

  10. M. Sathish, B. Viswanathan, and R. P. Viswanath, Alternative synthetic strategy for the preparation of CdS nanoparticles and its exploitation for water splitting, Int. J. Hydrogen Energ., 31, 891-898 (2006). 

  11. Q. Li, B. Guo, J. Yu, J. Ran, B. Zhang, H. Yan, and J. R. Gong, Highly efficient visible-light-driven photocatalytic hydrogen production of CdS-cluster-decorated graphene nanosheets, J. Am. Chem. Soc., 133, 10878-10884 (2011). 

  12. K. Sivula, F. L. Formal, and M. Gratzel, Solar water splitting: progress using hematite ( ${\alpha}-Fe_2O_3$ ) photoelectrodes, Chem. Sus. Chem., 4, 432-449 (2011). 

  13. M. T. Mayer, Y. Lin, G. Yuan, and D. Wang, Forming heterojunctions at the nanoscale for improved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by semiconductor materials: case studies on hematite, Accounts Chem. Res., 46, 1558-1566 (2013). 

  14. Y. Ling, G. Yuan, S. Sheehan, S. Zhou, and D. Wang, Hematite-based solar water splitt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Energ. Environ. Sci., 4, 4862-4869 (2011). 

  15. F. L. Formal, M. Gratzel, and K. Sivula, Controlling photoactivity in ultrathin hematite films for solar water-splitting, Adv. Funct. Mater., 20, 1099-1107 (2010). 

  16. S. Shen, Toward efficient solar water splitting over hematite photoelectrodes, J. Mater. Res., 29, 29-46 (2014). 

  17. P. Yang, D. Zhao, D. I. Margolese, B. F. Chmelka, and G. D. Stucky, Generalized syntheses of large-pore mesoporous metal oxides with semicrystalline frameworks, Nature, 396, 152-155 (1998). 

  18. A. Schutze, J. Y. Jeong, S. E. Babayan, J. Park, G. S. Selwyn, and R. F. Hicks, The atmospheric-pressure plasma jet: a review and comparison to other plasma sources, IEEE T. Plasma Sci., 26, 1685-1694 (1998). 

  19. H. M. Yang, W. K. Nam, and D. W. Park, Production of nano-sized carbon black from hydrocarbon by a thermal plasma, J. Nanosci. Nanotechno., 7, 3744-3749 (2007). 

  20. S. J. Kim and D. W. Park, Preparation of ZnO nanopowders by thermal plasma and characterization of photo-catalytic property, Appl. Surf. Sci., 255, 5363-5367 (2009). 

  21. J. W. Park, D. W. Kim, H. S. Seon, K. S. Kim, and D. W. Park, Synthesis of carbon-doped TiO2 nanoparticles using CO2 decomposition by thermal plasma, Thin Solid Films, 518, 4113-4116 (2010). 

  22. S. H. Lee, S. M. Oh, and D. W. Park, Preparation of silver nanopowder by thermal plasma, Mat. Sci. Eng. C-Bio. S., 27, 1286-1290 (2007). 

  23. C. Sasso, D. Beneventi, E. Zeno, M. P. Conil, D. Chaussy, and M. N. Belgacem, Carboxymethylcellulose: a conductivity enhancer and film-forming agent for processable polypyrrole from aqueous medium, Synthetic Met., 161, 397-40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