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공연에 대한 사회·경제적 수요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demanders for cultural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155 - 3161  

이주석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  곽승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  조승국 (한세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국 1,000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된 일대일 개별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일반 국민들의 사회 경제적 변수가 공연관람 및 공연관람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수요를 분석할 경우 공연관람 경험이 없거나 공연관람 지출이 전혀 없는 다수의 응답자를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wo-equation 모형과 Tobit모형을 활용하여 이를 고려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젊을수록,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서울 거주자일수록 문화공연에 대한 수요가 많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득에 대해서는 비탄력적이며 일정연령(peak age)가 지나면 오히려 수요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demanders for cultural performance. To take into account zero responses (no expenditure or no experience for cultural performance, this paper employed a two-equation model and tobit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btaine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1,000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된 일대일 개별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일반 국민들의 사회 · 경제적 변수가 공연관람 및 공연관람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학술적인 측면과 정책적인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의 설문조사결과 응답자의 70% 가까이가 공연관람 경험이 없거나 공연관람 지출이 전혀 없다고 응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obit 모형과 two-equation 모형의 특징은? Two-equation 모형은 관람여부를 결정하는 방정식과 관람할 경우 관람 수준을 결정하는 방정식으로 이루어진 두 수준의 결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분석에 있어서 관람하지 않는 대상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고, 관람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람 시 관람 횟수나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Tobit 모형의 경우 종속변수가 제한적인 변수인 경우에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종속변수가 비율 혹은 양(positive)의 연속변수 형태로 나타나는 자료에 적합한 모형이다. Tobit 모형은 일반적인 선형확률모형(linear probability model)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음(-)의 추정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문화공연시설의 수요예측 기법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일반적으로 문화공연시설의 수요예측 기법은 시계열 (time-series) 자료를 활용하여 과거의 추세가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시계열모형과 횡단면(cross-sectional)자료를 활용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함수로 나타내어 수요를 예측하는 횡단면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시계열 분석의 경우 국내에 관련 자료가 제한적이고, 개별적인 신규 공연시설에 대한 수요예측에는 부적절하다.
공연관객수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공연예술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의 ‘공연예술 실태조사’에 따르면 2008년의 공연관객수는 약 24백만명 수준이었으나 2011년에는 30백만명 수준으로 증가하였다[1]. 이러한 국민들의 공연문화에 대한 수요 증가에 발맞추어 신규 공연시설의 건립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보다 수준 높은 양질의 대규모 공연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survey of performing art. 2014. 

  2. Zieba, M., "Full-Income and Price Elasticities of Demand for German Public Theatr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 33(2), 2009, 85-108. DOI: http://dx.doi.org/10.1007/s10824-009-9094-2 

  3. Throsby, D. and Withers, G. A., Economics for the Performing Arts, Gregg Revivals, 1983. 

  4. Gray, H.P., "Culture and Economic Performance : Policy as an Intervening Variable, " Journal of Comparative Economics, 23(3), 1996, 278-291. DOI: http://dx.doi.org/10.1006/jcec.1996.0065 

  5. Lee C-J. and Kim, J-B., Demand for Classical Music Concerts from Transaction Cost Perspective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 17 (2), 2014, 3-28. 

  6. Sung, J-H. A Study of the Effect of Art Specific Human Capital on the Demand for Artistic-Cultural Good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 25 (1), 2012, 657-677) 

  7. Bhat, C. R., "Imputing as a Continuous Income Variable from Grouped and Missing Income Observations", Economics Letter, Vol. 46, 1994, pp. 311-319. DOI: http://dx.doi.org/10.1016/0165-1765(94)90151-1 

  8. Deaton, A., The Analysis of Household Surveys: Microeconometric Analysis for Development Policy,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7. DOI: http://dx.doi.org/10.1596/0-8018-5254-4 

  9. Heckman, J. J.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Econometrica, 47, 153-161, 1979. 

  10. Amemiya, T. Tobit models: a survey, Journal of Econometrics ,24, 3-61,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