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분자 전해질막 수소 연료 전지 분리판 용 흑연/폴리프로필렌/액정고분자 복합 재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raphite/Polypropylene/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e for a Bipolar Plat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627 - 3632  

비라즈 둔가나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손영곤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분리판 용 흑연/폴리프로필렌(PP)/액정고분자 (LCP) 복합소재의 기계적, 유변학 특성 및 전기전도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저분자량 PP를 바인더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열가소성 고분자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전기 전도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점도가 낮은 PP에 의해 흑연 입자의 분산이 향상되어 나타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를 소량 첨가하면 복합재료의 전기전도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산처리를 하여 산소 관능기를 포함한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했을 때에는 전기전도도의 증가가 거의 없었다. 이로부터 탄소나노튜브는 비극성 고분자와 친화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저분자량 PP를 바인더로 사용하였을 때는 복합재료의 점도가 사출성형이 가능할 정도로 낮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계적인 강도는 다른 고분자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LCP를 혼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한 결과 전반적인 물성 밸런스가 잘 맞는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mechanical, rheolog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graphite/PP/LCP composites for a bipolar plat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The composites containing very low molecular weighted PP showed much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compared with other thermoplastic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유동 흑연/고분자 복합재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PP)을 바인더로 사용한 흑연/PP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유변 물성 및 전기전도도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PP로는 부족할 수 있는 기계적 성질 및 내열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LCP와 PP의 혼합물을 바인더로 사용한 흑연/고분자 복합재료에 관해서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리판 소재에 금속이나 흑연을 적용시키기 어려운 이유는?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분리판 소재에는 금속, 흑연 판 등 여러 재료가 시도되었으나, 금속과 흑연과 같은 재료들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지 않아 제조된 연료전지의 가격이 매우 높다는 제약이 있어왔다 [1, 2]. 저가의 분리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사출성형과 같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재료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런 요구에 맞추어 흑연과 고분자를 복합화하고 사출성형을 통하여 복잡한 유로형상을 성형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분리판처럼 전도성을 위해 흑연을 70 vol.% 이상 투입하고 고분자는 30 vol.% 이내로 혼합할 경우 어떠한 한계가 존재하는가? % 이내로 혼합하여야 원하는 전도성이 얻어진다 [3,4,5]. 이렇게 제조된 복합재료의 유동성은 원하는 바와 달리 일반적인 고분자에 비해 현저히 낮은 정도로 제한된다 [6]. 따라서 원래 목표인 사출성형이 가능할 정도의 고유동성을 얻기 위해서는 전기 전도도의 희생 없이 바인더로 쓰이는 고분자의 양을 더욱 높이거나, 특수한 가공방법으로 고점도의 재료를 이용하여 분리판을 대량 생산하여야 한다.
PP의 함량의 증가는 전기전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에 흑연/PP 복합재료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냈다. PP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감소하는 전형적인 형태를 볼 수 있다 (fig. 1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 A. Choi, I. H. Oh "Current R&D Issues on Bipolar Plates of PEMFC",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5, 612-617 (2004). DOI: http://dx.doi.org/10.9713/kcer.2012.50.1.118 

  2. R. A. Antunes, M. C. L. de Oliveira, G. Ett, V. Ett, "Carbon materials in composite bipolar plate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A review of the main challenges to improve electrical performance",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96, pp. 2945-2961 (2011). DOI: http://dx.doi.org/10.1016/j.jpowsour.2010.12.041 

  3. L. G. Xia, A. J. Li, W. Q. Wang, Q. Yin, H. Lin, Y. B. Zhao, "Effects of resin content and prepar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polyphenylene sulfide resin/graphite composite for bipolar plate", J. Power Sources, Vol. 178, pp. 363-367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powsour.2007.11.094 

  4. S. I. Heo, J. C. Yun, K. S. Oh, K. S. Han, "Influence of particle size and shape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raphite reinforce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for the bipolar plate of PEM fuel cells", Adv. Compos. Mater., Vol. 15, No. 1, pp. 115-126, (2006). DOI: http://dx.doi.org/10.1163/156855106776829356 

  5. T. Yang, P. Shi, "Study on the mesocarbon microbeads/polyphenylene sulfide composite bipolar plates applied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J. Power Sources, Vol. 175, No. 1, pp. 390-396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powsour.2007.08.113 

  6. Q. Wang, J. Gao, R. Wang, Z. Hua,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HDPE/graphite composite with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Polymer Composites, Vol. 22, pp. 97-103 (2001). DOI: http://dx.doi.org/10.1002/pc.10521 

  7. H. Geng, K. K. Kim, K. P. So, Y. S. Lee, Y. Chang, Y. H. Lee, "Effect of Acid Treatment on Carbon Nanotube-Based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J. Am. Chem. Soc., Vol. 129 No. 25, pp. 7758-7759 (2007). DOI: http://dx.doi.org/10.1021/ja0722224 

  8. F. Mighri, M. A. Huneault, M. F. Champagne,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Blends for Injection and Compression Molding of Bipolar Plates in the Fuel Cell Application", Polm. Eng. Sci., Vol. 44, No. 9 pp. 1755-1765 (2004). DOI: http://dx.doi.org/10.1002/pen.20177 

  9. T. Villmow, S. Pegel, P. Potschke, U. Wagenknecht, "Influence of injection molding parameters 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polycarbonate fill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68, pp. 777-789 (2008). DOI: http://dx.doi.org/10.1016/j.compscitech.2007.08.031 

  10. J. Huang, "Carbon Black Filled Conducting Polymers and Polymer Blends", Advances in Polymer Technology, Vol. 21, No. 4, pp. 299-313 (2002). DOI: http://dx.doi.org/10.1002/adv.10025 

  11. James E. Mark, "Polymer data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999). 

  12. A. Goldel, G. Kasaliwal, P. Potschke, "Selective Localization and Migr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 Blends of Polycarbonate and Poly(styrene-acrylonitrile)", Macromol. Rapid Commun., Vol. 30, pp. 423-429 (2009). DOI: http://dx.doi.org/10.1002/marc.200800549 

  13. Younggon Son,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Density Polyethylene/metallocene catalyzed Poly(ethylene-co-octene) Blen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6, pp. 3108-3113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3108 

  14. Younggon Son, "Study on a rheology of PS/PP blends flowing in a micro chann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3, pp. 1023-1026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3.10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