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과 밭 토양의 황산염 환원세균 군집 구조 비교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in rice paddy and dry farming soi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1 no.1, 2015년, pp.21 - 30  

이중배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생명시스템과학과) ,  박경량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생명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논과 밭 토양의 황산염 환원세균의 군집구조와 T-RFLP 패턴을 조사한 논문으로, 유기 농법 토양과 관행 농법 토양 그리고 밭 토양 총 3종류의 토양을 8월과 11월에 채집하여 실험하였다. 토양 성분 분석 결과 총 질소, 총 탄소, 총 인의 값은 모든 토양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계절별로는 수분의 함량은 8월에, 총 탄소는 11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산염 환원세균은 초산보다 젖산을 기질로 이용하는 황산염 환원세균이 더 많이 분포하고, 유기 농법 토양에 황산염 환원세균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토양에서 얻은 총 181개 클론으로 계통학적 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의 클론들은 배양 가능한 황산염 환원세균과는 매우 낮은 상동성을 보였으나, 자연계에서 확인되는 클론들과는 90%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T-RFLP 분석 결과 91, 357, 395, 474 bp의 분포가 가장 높았고, 계절에 따라 황산염 환원세균의 군집 구조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osition of sulfate reducing bacterial assemblages and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patterns in rice paddy and dry farming soils. Samples of organic farming soils, conventional farming soils, and dry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친환경 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친환경 논 농사인 유기 농법과 농약을 사용하는 관행농법 논 토양, 그리고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는 고추 밭 토양에 존재하는 황산염 환원세균의 분포와 다양성 차이를 확인한 연구로, 작물의 생장이 가장 왕성한 8월과 추수 후인 11월에 토양을 채취하여 계절에 따라 논과 밭 토양에 분포하는 황산염 환원세균의 군집 구조 변화를 이화성 황산염 환원효소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는 산소를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호기 호흡과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혐기 환경에서 산소 이외의 무기물을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혐기 호흡, 그리고 유기물을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발효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Wind and Conrad, 1997). 이중 혐기 호흡은 질산염이 존재하면 탈질(denitrification) 과정을 통해, 망간과철 같은 금속이온이 존재하면 금속이온 환원, 황산염이 존재하면 황산염을 황화수소로 환원하여 에너지를 획득한다.
미생물이 혐기 호흡으로 에너지를 획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는 산소를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호기 호흡과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혐기 환경에서 산소 이외의 무기물을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혐기 호흡, 그리고 유기물을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발효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Wind and Conrad, 1997). 이중 혐기 호흡은 질산염이 존재하면 탈질(denitrification) 과정을 통해, 망간과철 같은 금속이온이 존재하면 금속이온 환원, 황산염이 존재하면 황산염을 황화수소로 환원하여 에너지를 획득한다.
물에 잠긴 토양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탄소순환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물에 잠긴 토양은 혐기 환경을 유지하지만, 질산염, 철, 망간 등의 금속이온 농도는 매우 낮아 이들을 전자수용체로 이용하는 미생물 활성은 높지 않다(Westermann, 1993). 대신 물에 잠긴 혐기 환경에서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탄소순환은 메탄 생성(methanogenesis)과 황산염 환원(sulfate reduction) 과정이다. 그러나 보통 담수 환경은 황산염의 농도가 낮아 대부분의 혐기성 분해는 메탄 생성과정으로 진행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lch, W.E., Fox, G.E. Magrum, L.J., Woese, C.R., and Wolfe, R.S. 1979. Methanogens: reevaluation of a unique biological group. Microbiol. Rev. 43, 260-296. 

  2. Barton, L.L. and Tomei, F.A. 1995.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sulfate-reducing bacteria, pp. 1-32. Peplum Press, New York, USA. 

  3. Benjamin, K.H., Zhang, H., Berelson, W., and Victoria, J. 2009. Variations in archaeal and bacterial diversity associated with the sulfate-methane transition zone in continental margin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75, 1487-1499. 

  4. Burns, A.S., Pugh, C.W., Segid, Y.T., Behum, P.T., Lefticariu, L., and Bender, K.S. 2012. Performance and microbial community dynamics of a sulfate-reducing bioreactor treating coal generated acid mine drainage. Biodegradation 3, 415-429. 

  5. Carmen, E.M., Yanez, C., Yoon, O.J., and Bruns, M.A. 2007. Biogeochemistry of metalliferous peats: sulfur speciation and depth distributions of dsrAB genes and Cd, Fe, Mn, S, and Zn in soil cores. Environ. Sci. Technol. 41, 5323-5329. 

  6. Castro, H.F. 2003. Microbial ecology of anaerobic terminal carbon mineralization in Everglades soils, with emphasis on sulfate reducing prokaryotic assemblages, pp. 27-37. Ph. D. Thesis. University of Florida. 

  7. Castro, H.F., Reddy, K.R., and Ogram, A. 2002. Composition and function of sulfate-reducing prokaryotes in eutrophic and pristine areas of the Florida Everglades. Appl. Environ. Microbiol. 68, 6129-6137. 

  8. Chauhan, A., Ogram, A., and Reddy, K.R. 2004. Syntrophic-methanogenic associations along a nutrient gradient in the Florida Everglades. Appl. Environ. Microbiol. 70, 3475-3484. 

  9. Detmers, J., Bruchert, V., Habicht, K.S., and Kuever, J. 2001. Diversity of sulfur isotope fractionations by sulfate reducing prokaryotes. Appl. Environ. Microbiol. 67, 888-894. 

  10. Doris, S., Wentrup, C., Braunegger, C., Deevong, P., Hofer, M., Andreas, R., Christian, B., Michael, P., Michael, W., and Alexander, L. 2011. Microorganisms with novel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 genes are widespread and part of the core microbiota in low-sulfate Peatlands. Appl. Environ. Microbiol. 77, 1231-1242. 

  11.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12. Gavin, N.R., Baldwin, D.S., Watson, G.O., and Hall, K.C. 2010. Sulfide formation in freshwater sediments, by sulfate-reducing microorganisms with diverse tolerance to salt. Sci. Total Environ. 409, 134-139. 

  13. Hansel, C.M., Fendorf, S., Jardine, P.M., and Francis, C.A. 2008. Changes in bacterial and archaeal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al diversity along a geochemically variable soil profile. Appl. Environ. Microbiol. 74, 1620-1633. 

  14. He, J.Z., Liu, X.Z., Zheng, Y., Shen, J.P., and Zhang, L.M. 2010. Dynamics of sulfate reduction and sulfate-reducing prokaryotes in anaerobic paddy soil amended with rice straw. Biol. Fertil Soils 46, 283-291. 

  15.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 

  16. Kovacik, W.P., Scholten, J.C., Culley, D., Hickey, R., Zhang, W., and Brockman, F.J. 2010. Microbial dynamics in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UASB) bioreactor granules in response to shortterm changes in substrate feed. Microbiology 156, 2418-2427. 

  17. Lee, D.B., Lee, K.B., Kim, M.Y., Kim, B.H., Choi, M.K., and Park, S.T. 1998. Influence of spa sewage on the water quality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the near stream. Kor. Turfgrass Sci. 7, 135-147. 

  18. Leloup, J., Quillet, L., Berthe, T., and Petit, F. 2006. Diversity of the dsrAB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 gene sequences retrieved from two contrasting mudflats of the Seine estuary, France. FEMS Microbiol. Ecol. 55, 230-238. 

  19. Lijing, J., Zheng, Y., Peng, X., Zhou, H., Zhang, C., Xiao, X., and Wang, F. 2009. Vertical distributionand diversity of sulfatereducing prokaryotes in the Pearl River estuarine sediments, Southern China. FEMS Microbiol. Ecol. 70, 249-262. 

  20. Park, M.A. and Chang, N.K. 1994. Mineral nutrient and productivity of three grasslands in Kimhwa. Kor. Turfgrass Sci. 8, 29-36. 

  21. Pester, M., Bittner, N., Deevong, P., Wagner, M., and Loy, A. 2010. A 'rare biosphere' microorganism contributes to sulfate reduction in a peatland. ISME J. 4, 1751-7362. 

  22. Pester, M., Knorr, K.H., Friedrich, M.W., Wagner, M., and Loy, A. 2012. Sulfate-reducing microorganisms in wetlands-fameless actors in carbon cycling and climate change. Front. Microbiol. 28, 3-72. 

  23.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4, 406-425. 

  24. Saxena, A.G. 2013. Sulfur-cycling in methane-rich ecosystems: uncovering microbial processes and novel niches. Environ. Microbiol. 14, 3271-3286. 

  25.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and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26. Touzel, J.P. and Albagnac, G. 198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thanococcus mazei strain MC3. FEMS Microbiol. Lett. 16, 241-245. 

  27. Wagner, M., Roger, A.J., Flax, J.L., Brusseau, G.A., and Stahl, D.A. 1998. Phylogeny of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s supports an early origin of sulfate respiration. J. Bacteriol. 180, 2975-2982. 

  28. Westermann, P. 1993. Wetland and swamp microbiology. In Ford, T.E. (ed.) Aquatic microbiology, pp. 215-238. Blackwell Sci. Publ., Cambridge, MA. 

  29. Wind, T. and Conrad, R. 1997. Localization of sulfate reduction in planted and unplanted rice field soil. Biogeochem. 37, 253-278. 

  30. Wu, X.J., Pan, J.L., Liu, X.L., Tan, J., Li, D.T., and Yang, H. 2009. Sulfate-reducing bacteria in leachate-polluted aquifers along the shore of the East China Sea. Can. J. Microbiol. 55, 818-8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