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혼기 기혼여성과 부모 간의 자원이전과 출산의향
Resource Transfers with Parents and the Childbearing Intention Among Women in the Early Stage of Marriage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2, 2015년, pp.27 - 49  

김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orly understood factors related to the recent rapid decline in fertility in Korean society. Along with Becker's child demand theory, personal psychological traits, such as independence, nurturance, and affiliation, were given special attention in this stud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자녀 선호의 영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진사회에서 소자녀화 현상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었다. 소자녀 선호는 만혼을 확산시키고, 결혼을 서두르지 않기 때문에 소자녀를 갖게 되는 저출산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사회도 소자녀 선호 현상이 어느 나라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저출산이 가져오는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함정, 소위 말하는 ‘저출산트랩’1)을 겪고 있는 전형적인 사례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출산과 관련되는 모든 지표가 변화한 시점은? 우리나라의 경우 출산과 관련되는 모든 지표 들은 1997년 외환위기를 계기로 급격하게 변화했다. 당시의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특히 젊은 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결혼과 출산을 늦추게 했다는 것이다(은기수, 2005; 김두섭, 2007).
개인의 가치관 내지 성향이 출산율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루어졌던 연구들은? 개인의 가치관 내지 성향이 출산율과 관련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출산력과의 관계가 명쾌하지 않음에 따라 새롭게 시도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특히 여성들 사이에 자립심의 정도라든지 가정과 직업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Hakim, 2003), 혹은 모성애적 내지 관계 지향적 성격 특성(권영인, 2014) 등이 출산의 지와 관련성을 가진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연구도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고선강(2008). 치매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자원 이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209-229. 

  2. 고선강(2011). 중노년기 가정의 세대 간 자원이전: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57-175. 

  3. 고선강(2012a).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03-121. 

  4. 고선강(2012b). 부모의 결혼자금 지원과 경제적 자원이전: 20-40대 기혼여성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3), 1-19. 

  5. 고선강(2013). 중년기 가정의 자산과 3세대 간 경제자원 이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31-144. 

  6. 고선강(2014).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79-101. 

  7.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8. 권영인(2014). 미혼 및 기혼 무자녀 남성과 여성의 출산 의사 고찰과 미래 예상 출산 자녀수 관련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3(2), 251-268. 

  9. 김나영(2011). 미혼남녀의 출산관련 가치관과 이상적인 자녀수의 인과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26, 5-23. 

  10. 김두섭(2007).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한국인구학, 30(1), 67-95. 

  11.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12. 김순미.박미려(2008). 중.고령자가구의 경제적 자원 교류유형 및 교류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14. 

  13. 김영순(2013). 기혼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이전과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영순.고선강(2014). 중년기 부모와 기혼 자녀 간 상호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도구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43-162. 

  15. 김지경.송은경(2004). 부모와의 경제적 교류여부 및 교류액의 결정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75-89. 

  16. 김지경.송현주(2008). 결혼으로 분가한 자녀와 부모 간의 사적소득이전. 사회보장연구, 24(3), 77-98. 

  17. 김태헌.이삼식.김동희(2006). 인구 및 사회 경제적 차별출산력-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1), 1-23. 

  18. 류덕현(2007). 출산율과 여성노동공급에 대한 거시적 실증분석. 공공경제, 12(1), 39-74. 

  19. 마미정(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20. 문숙재.김지연.(2006). 소득계층에 따른 경제적 자원교류 결정 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9-329. 

  21. 박수미(2008). 둘째 출산 계회의 결정요인과 가족 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22. 배희선(1998). 중.노년기 가계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자원이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송헌재.김지영(2013). 출산장려금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15(1), 3-27. 

  24. 신윤정(2008). 보육.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사회연구, 28(2), 103-134. 

  25. 안윤숙.이상호(2010). 공보육정책이 자녀출산 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3, 227-258. 

  26. 야마다, 마스히로(山田昌弘)(1999) (김주희 역) (2004). 패러사이트 싱글의 시대. 서울: 성신여대출판부. 

  27. 엄동욱(2009). 우리나라는 저출산함정에 빠진 것인가? -저출산함정 가설의 검증과 함의-. 한국인구학, 32(2), 141-159. 

  28. 염지혜(2013).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강남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5, 43-63. 

  29. 유계숙(2009). 저출산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2007년 출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69-189. 

  30. 유계숙(2013). 청년층의 경제적 합리성으로 본 희망자녀수와 출산시기: 저출산트랩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3), 141-151. 

  31. 유계숙(2014). 헬리콥터부모 역할이 대학생자녀의 출산의향과 희망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21(3), 5-12. 

  32.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 최근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이 갖는 의미. 보건복지포럼, 102, 25-35. 

  33. 이삼식.최효진.오영희.서문희.박세경. 도세록(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보건복지부가족부. 

  34. 이성용(2009). 출산순위별 출산증가 요인 분석. 한국인구학, 32(1), 51-70. 

  35. 이세영.홍달아기(2014). 대학생의 결혼관과 출산의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2), 3-28. 

  36.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37-151. 

  37. 이재경.조영미.이은아.유정미(2005). 유럽의 저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여성주의 적 분석. 한국여성학, 21(3), 133-166. 

  38. 이제상(2011).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 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1), 27-61. 

  39. 이진숙.김태원(2014). 독일의 저출산문제와 최근 대응의 변화. 국제지역연구, 18(1), 3-16. 

  40. 이현옥(2011). 한국 여성의 출산행태 결정 요인 분석.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이형실(2003). 농촌 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집단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4), 57-69. 

  42. 임현주(2013). 인구.사회학적 변인, 경제변인, 양육.출산 변인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유아교육연구, 33(3), 35-58. 

  43. 장지연(2005). 여성의 경제활동과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102, 45-56. 

  44. 정상천(2014). 저출산문제: 프랑스 사례연구.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2), 327-359. 

  45. 정성호(2009).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향후과제. 사회과학연구, 48(2), 1-22. 

  46. 정성호(2010). 저출산 요인의 인과모형. 사회과학연구, 49(1), 69-91. 

  47. 주효진.곽경희.조주연(2010). 사회경제적 요인과 정책적 요인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24(4), 211-228. 

  48.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49. 최새은.옥선화 (2003). 30대 기혼남녀의 초혼연령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1), 53-73. 

  50. 하석철(2010). 부모 자녀 간 소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수혜자인 부모와 제공자인 자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4(2), 101-136. 

  51. 한민아.한경혜(2004). 세대간 지원교환유형과 성인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35-152. 

  52. 홍성희.곽인숙(2014). 성인자녀의 지원교환이 중년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70-91. 

  53. 황정미(2005).'저출산'과 한국 모성의 젠더 정치. 한국여성학, 21(3), 99-132. 

  54. Becker (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Boston: University Press 

  55. Easterlin, R. A.(1973). relative economic status and the American fertility swings. in Family Economic Behavior, Eleanor B. Sheldon, ed. Philadelphia: Lippincott. 

  56. Freedman(1976). Fertility, aspirations, and resources: A symposium on the Easterlin hypothesi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3/4), 411-415. 

  57. Hakim, C. (2003). A new approach to explaining fertility patterns: Preference theor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3(3), 349-374. 

  58. Miller, W. B.(1992). Personality traits and developmental experiences as antecedents of childbearing motivation. Demography, 29(2), 265-285. 

  59. Olneck, M. R., & Wolfe, B. L.(1978). A note on some evidence on the Easterlin hypothesi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6(5), 953-958. 

  60. Thompson, R., & Lee, C.(2011). Fertile imagination: young men's reproductive attitudes and preferences.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9(1), 43-55. 

  61. Torr, B. M., & Short, S. E. (2004). Second births and the second shift: a research note on gender equity and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0(1), 109-130. 

  62. Wright, R. E.(1989). The Easterlin hypothesis and European fertility rat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5(1), 107-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