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8 no.2, 2015년, pp.21 - 26
문효종 (상지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대홍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정지수 (상지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승호 (상지대학교 토목공학과)
This study analyzes the failure predict of model slope due to changes in ground condition followed by heavy rainfall with a simulated rainfall system. the movement of a slope from the rainfall penetrating the unsaturated soil i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various conditions of pore-water pressur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게릴라성 집중강우가 단시간에 많은 양을 발생시킬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 특히 우리나라는 지리적인 영향으로 연강수량의 대부분이 여름철에 장마, 게릴라성 집중강우 또는 태풍과 동반되어 집중됨으로 인해 강우에 의해피해는가장 큰 자연 재해중의하나이다. 이처럼게릴라성 집중강우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게릴라성 강우는 국지적으로 단시간에 많은 양을 발생시켜 산사태를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간주된다. | |
우리나라의 지리적 영향으로 인해 연강수량은 언제 집중되는가? |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 그리고 그로인한 자연의 무분별한 훼손 등의 직·간접적인 요인에 따라 더욱 더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리적인 영향으로 연강수량의 대부분이 여름철에 장마, 게릴라성 집중강우 또는 태풍과 동반되어 집중됨으로 인해 강우에 의해피해는가장 큰 자연 재해중의하나이다. 이처럼게릴라성 집중강우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게릴라성 강우는 국지적으로 단시간에 많은 양을 발생시켜 산사태를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간주된다. | |
인공 강우장치를 활용하여 표준사 모형사면의 붕괴현상을 간극수압, 토압, 함수비의 변화를 통한 상호작용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인공 강우장치를 활용하여 표준사 모형사면의 붕괴현상을 간극수압, 토압, 함수비의 변화를 통한 상호작용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다. 인공강우 150 mm/hr로 시작되어 실험시작 약 1300초(22분)후 강우에 따른 다짐현상이 진행되었고 전반적인 모형사면 토압의 증가로 인하여 하부로의 흘러내림이 발생하였으며 중부하단에서부터 사면의 파괴가 진행되었다. 강우가 지속됨에 따라 간극수압, 함수비는 전반적으로 실험시작 후 붕괴가 일어나기 전까지 부분별로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하나 사면 내 간극수의 배수로 인해 간극수압이 떨어지고 함수비는 떨어지거나 일정 값에 수렴함을 알수 있었다. |
김원영, 채병곤, 이춘오, 김경수, 조용찬, 송영석, 최영섭, 서용석(2006), "산사태 위험도 산정시스템 및 피해서감기술개발, 과학기술부, OAA2004032-2006(3), pp360.
박범주(2014), "인공강우 침투에 따른 모형 사면분석",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졸업논문.
박종강(2012), "강우에 따른 불포화토 사면내의 간극수압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관측", 울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논문.
송지영(2008), " 인공강우 재현장치를 이용한 모형토조내의간극수압별화 특성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졸업논문.
장동기(2009), "사질토에서 모형실험을 통한 사면안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 졸업논문.
채병곤, 이성호, 송영석, 조용찬, 서용석(2007), " 산사태 모형실험을 통한 강우강도 및 사면경사 변화와 간극수압과의 관계 연구", 지질공학회논문집 Vol.17, No.1, pp.57-64.
채병곤, 송영석, 서용석, 조용찬, 김원영(2006), "모형실험 장치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 및 사태물질 거동특성 실험", 지질공학회논문집 Vol.16, No.3, pp.275-282.
황석민(2010), "지반정수변화에 따른 사면붕괴 모델 결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졸업논문.
Anderson, S. A., Sitar, N. (1995), Analysis of rainfall induced bebris flow,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EC, 121(7), pp.544-552.
Braja M. Das (1998),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eing Fourth Edition", Thhomson Learning, pp.175-277.
Ikeya, H. (1989), "Debris Flow and its Countermeasures in Japan", Bull. of the IAEG, Vol. 40, NO. 1, pp.15-33.
Moriwaki, H., Inokuchi, T., Hattanji, t., Sassa, K., Ochiai, H., Wang, G. (2004), "Failure processes in a full-scale landslide experiment using a rainfall simulator", Landslides, 1, pp.277-28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