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중인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 대처양상 및 간호요구도
Stress, Coping Style and Nursing Needs for Hospitalized Pregnant Women due to Preterm Labor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2, 2015년, pp.83 - 92  

김수현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  정향인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assess levels of stress, coping style, and nursing needs for hospitalized pregnant women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25 pregnant women aged between 20 and 40 years and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by OBGY un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입원중인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및 간호 요구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조기 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상과 간호요구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및 간호요구도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궁극적으로 조기진통을 경험하고 있는 임부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조기진통으로 입원중인 임부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및 간호요구도를 파악하여,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및 간호요구 관련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조기진통으로 입원중인 임부의 스트레스와 대처 양상 및 간호요구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및 간호요구 관련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이와 관련하여 조기진통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산과적 특성과 임부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임부의 일반적 특성이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 및 간호요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및 간호요구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대상자의 일반적, 산과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및 간호요구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여,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산이란? 조산은 조기진통이 진행되어 임신 20주에서 37주 사이에 분만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조기진통은 임신 20주에서 37주 미만의 기간 중 자궁경부의 변화를 동반한 20분 내에 4회 이상의 자궁 수축이나 1 cm 이상의 자궁경관 개대(dilatation) 또는 80% 이상의 자궁경관 연화를 의미한다[3]. 조산의 주요 원인이 되는 조기진통은 과거력, 사회경제적 수준, 산모의 나이, 영양상태, 다태임신, 자궁내 감염, 자궁 기형, 자궁 경부 손상, 내과적 질환, 스트레스 등 산모측 요인과 다태아, 양수 과다증, 태반 이상, 태아 기형 등의 태아측 요인으로 발생된다[3, 4].
조산아 발생률이 증가할 추세인 이유는? 3명으로 증가하였다[1]. 조산아 발생률은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다태 임신의 증가와 신생아 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한 조산아의 생존률 증가 및 임신연령의 고령화로 인해 앞으로도 증가할 추세이다[2].
임신 20주에서 37주 사이에 분만하게 되는 조산의 요인인 조기진통은 어떻게 발생되는가? 조산은 조기진통이 진행되어 임신 20주에서 37주 사이에 분만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조기진통은 임신 20주에서 37주 미만의 기간 중 자궁경부의 변화를 동반한 20분 내에 4회 이상의 자궁 수축이나 1 cm 이상의 자궁경관 개대(dilatation) 또는 80% 이상의 자궁경관 연화를 의미한다[3]. 조산의 주요 원인이 되는 조기진통은 과거력, 사회경제적 수준, 산모의 나이, 영양상태, 다태임신, 자궁내 감염, 자궁 기형, 자궁 경부 손상, 내과적 질환, 스트레스 등 산모측 요인과 다태아, 양수 과다증, 태반 이상, 태아 기형 등의 태아측 요인으로 발생된다[3, 4]. 그러나 각 산모마다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에 따른 치료 또한 침상 안정과 수액 요법 처방, 다양한 자궁 수축 억제제 투여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상적인 치료법은 없는 실정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tatistics Korea. 2013 infant mortality rate for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4 September 3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269012 

  2. Lee NH. Ways to improve prenatal care in a low-fertility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4;217:64-74. 

  3. Cunningham FG, Gant NR, Leveno KJ, Gilstrap LC, Hauth JC, Wenstrom KD. Williams Obstetrics. 23rd ed. New York: Mc- Graw-Hill; 2010. 

  4. McParland P, Jones G, Taylor D. Preterm labour and prematurity. Obstetrics, Gynaecology and Reproductive Medicine. 2004;14(5):309-319. 

  5. Ghorbani M, Dolatian M, Shams J, Alavi-Majd H, Tavakolian S. Factor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its coping styles in parents of preterm and full-term infants.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2014;6(3):65-73. 

  6. Maloni JA. Lack of evidence for prescription of antepartum bed rest. Expert Review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1;6 (4):385-393. 

  7. Thornburg P. 'Waiting' as experienced by women hospitalized during the antepartum period.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002;27(4):245-248. 

  8. Ryu KH, Shin HS.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2):140-149. 

  9. Figueiredo B, Costa R. Mother's stress, mood and emotional involvement with the infant: 3 months before and 3 months after childbirth.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09;12 (3):143-153. 

  10. Yonkers KA, Smith MV, Forray A, Epperson CN, Costello D, Lin H, et al. Pregnant women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isk of preterm birth.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Psychiatry. 2014;71(8):897-904. 

  11. Mackey MC, Boyle JS. An explanatory model of preterm labor.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00;11(4):254-263. 

  12. Silver RM, Varner MW, Reddy U, Goldenberg R, Pinar H, Conway D, et al. Work-up of stillbirth: A review of the evidenc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196 (5):433-444. 

  13. Schore AN. Effects of a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on right brain development affect regulation, and infant mental health.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001;22(1-2):7-66. 

  14. Kim HK. Stress and coping style of women with preterm labor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2003. 

  15.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 Publishing Company; 1984. 

  16. Youn IS. A study on emotions, feelings of discomfort, and nursing needs of the women in the possibility of abortion: Centered on the threatened abortion and habitual abortion during hospitaliz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5;1(1):119-137. 

  17. Lee PS, Yoo EK. A study on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tus, and nursing needs of the pregnant women hospitalized by premature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6;2(1):88-105. 

  18. Rines AR, Montag MI. Nursing concept and nursing care. New York: A Wiley Biomedical Publication; 1976. 

  19. Kim MK, Lee YW, Cho IS, Lim JY.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after hospitalization in preterm labor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1):24-31. 

  20. So HS, Cho BH, Hong MS. Analysis of nursing studies of coping conducted in Korea from 1978 to 1995.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6;26(3):709-729. 

  21. Wilson-Barnett J, Carrigy A. Factors influencing patients emotional reactions to hospitaliz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78;3(3):221-229. 

  22. Billings AG, Moos RH.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981;4(2):139-157. 

  23. Doyle NM, Monga M, Kerr M, Hollier LM. Maternal stressors during prolonged antepartum hospitalization following transfer for maternal-fetal indications. American Journal of Perinatology. 2004;21(1):27-31. 

  24. Shim CS, Lee YS. Effects of a yoga-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self confidence and labor pain in pregnant women with in 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3):369-376. 

  25. Yu WJ, Song J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state anxiety, stress, and tocolytic dosage for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 (3):442-452. 

  26. Chung SH.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2;35 (1):3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