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배달도시락 수혜 아동의 도시락 서비스 이용 실태와 평가
Use and Assessment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6, 2015년, pp.935 - 943  

문정아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창희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은 지역 실정과 아동 여건에 따라 급식소 급식, 일반음식점 급식, 도시락 배달, 부식 지원 등의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그중 도시락 배달은 완전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낙인 현상 없이 아동이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먹을 수 있다는 면에서 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도시락은 생산하는 장소와 섭취하는 장소가 분리되고, 섭취 전까지 취급 방법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락이 가정으로 배달된 후 가정 내 보관과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도시락 급식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도시락 서비스를 이용한 기간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절반 정도의 아동들이 일주일에 4~5회 도시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 중보다는 방학 중 도시락 서비스 이용 빈도가 증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86.1%는 도시락을 받은 후 4시간 이내에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3.9%는 4시간이 지나거나 다음 날 아침에 먹는 경우가 있었고, 도시락을 섭취 시까지 싱크대나 식탁 등의 상온보관을 하는 비율이 30.1%였다. 특히 학년이 낮을수록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나 도시락을 섭취하기 전 안전한 보관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였다. 남은 음식은 냉장고에 보관 후 섭취전 가스레인지나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다. 배달도시락 서비스 품질 점수는 보통 정도였으나 음식의 간과 맛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용 기간이 길어질 수록 메뉴 요인의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이 서울 일부 지역에서 도시락 배달을 받는 수혜자로 제한되어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결식아동을 대상으로 가정에서 배달된 도시락을 어떻게 보관하고 섭취하는지에 대해 수혜 아동의 입장에서 수행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역에 따라 급식서비스 운영 방법이 다양하므로 향후 다양한 지역과 급식서비스 업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sumption of home-delivered meals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assess their perception of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on 392 children who had received home-delivered meals, and 208 questionnaires (respon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락의 품질은 조리 후포장과 배달과정뿐 아니라 수혜자의 이용 방법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나, 결식아동들을 위해 가정으로 배달된 도시락이 섭취 전까지 어떻게 취급되며 섭취하는 지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결식아동의 입장에서 도시락이 가정으로 배달된 후 취급 및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도시락 급식 서비스 평가를 통해 향후 배달도시락의 품질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도시락은 생산하는 장소와 섭취하는 장소가 분리되고, 섭취 전까지 취급 방법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락이 가정으로 배달된 후 가정 내 보관과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도시락 급식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도시락 서비스를 이용한 기간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절반 정도의 아동들이 일주일에 4~5회 도시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1)A 5-point Likert scale used from 1 (strongly disagree) to 5 (strongly agre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락 배달은 어떤 점에서 만족도가 높은가?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은 지역 실정과 아동 여건에 따라 급식소 급식, 일반음식점 급식, 도시락 배달, 부식 지원 등의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그중 도시락 배달은 완전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낙인 현상 없이 아동이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먹을 수 있다는 면에서 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도시락은 생산하는 장소와 섭취하는 장소가 분리되고, 섭취 전까지 취급 방법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있다.
아동급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에 대한 정부와 사회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아동급식의 문제점과 정책 방안이 제시되어 왔다. Cho(8)는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사업 중 현장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전문 인력 확보, 예산증액, 시설・설비 확충 등을 지적하였는데, 도시락 제공기관의 영양사 고용 비율은 28%밖에 되지 않았고(5), 비전문가의 급식운영으로 위생관리는 물론 결식아동에게 제공된 도시락의 영양 상태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9,10). 또한 결식아동을 위한 도시락 제공기관의 45%가 도시락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기 구비 및 방법을 취하지 않고 있었다(5). 대부분의 연구가 결식아동현황, 급식지원체계 개선방안, 방학 중 아동급식의 영양학적 진단, 지원조직간 서비스 연계(11-15) 등에 제한되어 있고, 도시락 수혜 아동 입장에서 도시락 서비스에 대한 평가나 이용 실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가정배달도시락이 일반 단체급식과 달리 갖는 특성은? 가정배달도시락은 일반적인 단체급식과는 달리 배달과정 추가되고 도시락 생산과 소비가 공간적, 시간적으로 분리되는 특성으로 인해 식단관리, 영양적 및 위생적 품질관리에 특별한 고려가 요구된다. 도시락의 특성상 메뉴가 제한적이며 그로 인해 영양적 품질 역시 저하될 수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Statistics Korea. KOSIS 100 Index.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3&NUM166 (accessed Jan 2015). 

  2. Lim WS, No DM. 2013. Poverty statistical yearbook 201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Korea. p 75. 

  3.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3. 2013 The child welfare program guide.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 133. 

  4. Kim MS, Kim HR, Jo AJ, Lee HW, Hong M, Kim HJ. 2007. Status on food service support systems for low-income childre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Korea. p 110. 

  5. Yoon B, Yoon J, Shim JE, Kwon S. 2009. Current status of meal box service management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uring summer va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4: 206-215. 

  6. Ministry Health and Welfare. 2012. Ministry Health and Welfare year book 2012. Ministry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 284. 

  7. Yoon JH. 2008. Status on 'Happy Meal Box' foodservice for low-income children. Research Report. The Happiness Foundation, Seoul, Korea. 

  8. Cho AJ. 2008. The food delivery servic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for poor childre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39: 43-54. 

  9. Lee JH, Son EY, Kim Y, Lim Y. 2011.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hildren using community food service centers according to family type. Korean J Nutr 44: 255-263. 

  10. Yoon B, Kwon S, Yoon J. 2011. Menu evaluation of meal boxes delivered to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uring summer vaca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118-124. 

  11. Park JS, Chun JH, Kim SJ, Sohn HS, Lee JT. 2002. A study on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unprivileged children without lunch. Inje Medical J 23: 721-728. 

  12. Chung GH. 2005. Lunch program for needy children: Current status and policy recommend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01: 5-14. 

  13. Yang IS. 2005. Were the healthy meals served for low-income children during long school vacations? What the summer/winter foodservice program should b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01: 15-23. 

  14. Lee HH. 2006. A study on support policies for undernourished children during vacation. J Adolescent Welfare 8:159-176. 

  15. Cho AJ. 2007. The poorly-fed children in Korea and the reform of the public meal delivery syste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28: 37-46. 

  16. Kwun HY, Kim JH, Lee HM. 2011. Beneficiaries' satisfaction, menu preference and dietary habits of lunch-box program provided to low-income families. Korean J Food & Nutr 24: 320-328. 

  17. Kwak TK. 2006. Current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for children and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od Industry & Nutrition 11(2):41-54. 

  18. Moon J, Yoo C, Lee K. 2013.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home-delivered meal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uring production and delivery. J Korean Diet Assoc 19: 236-252. 

  19. Kye SH, Yoon SI, Park HS, Shim WC, Kwak TK. 1988.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condition and the quality of packaged meals (Dosirak) produced in packaged meal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in Seoul city and Kyungki-do province. Kor J Food Hygiene 3: 117-129. 

  20. Kwak TK, Kim SH. 1996.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Dosirak items marketed in CVS. Korean J Dietary Culture 11: 235-242. 

  21. Kwak TK, Kim SH, Park SJ, Cho YS, Choi EH. 1996.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actices for packaged meals (Kim Pab)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using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J Fd Hyg Safety 11: 177-187. 

  22. Kim HY, Ryu SH. 2003. Evaluation of hazardous factors for the application of HACCP on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flow in home-delivered meals for the elderl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195-209. 

  23. Kim HY, Ryu SH. 2003. Changes of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home-delivered meals for elderly as affected by packaging methods and storage conditions 2.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41-253. 

  24. Kim HY, Ko SH. 2004. A study on microbiological quality & safety control of Dongtae-jeon (pan-fried dish) and rolled egg in packaged meals (Dosirak) with various cooking process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292-298. 

  25. Park HS, Rye K. 2007. Microbial risk analysis of cooked foods donated to foodbank (I).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617-629. 

  26. Park HS, Rye K. 2007.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ed foods donated to foodbank (II). J Korean Diet Assoc 13: 389-406. 

  27. Park JY, Lee KE, Yi NY, Kwak TK. 2010. Clients' handling and consumption of home-delivered meals at home and their perceptions on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older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379-392. 

  28. Wolfe WS, Frongillo EA. 2001. Building household foodsecurity measurement tools from the ground up. Food Nutr Bull 22: 5-12. 

  29. Na SY, Ko SY, Eom SH, Kim KW. 2010.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329-341. 

  3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Standard Growth Chart for Children 2007. Cheongju, Korea. p 31-32. 

  3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chool Health Examination Sampling Survey (Press Release, Feb 28, 2013). Seoul, Korea. 

  32. Kim HR. 2012.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Status, and policy options for childhood health equalit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88:55-66. 

  33. Son SM, Yang CS. 1997. Nutritional status of 5th grade school children residing in low-income area of Pucheo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267-274. 

  34. Nam KH, Kim YM, Lee GE, Lee YN, Joung H. 2006.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f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172-179. 

  35. Sung SJ, Kwon SJ. 2010.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206-226. 

  36. Kwon JE, Park HJ, Lim HS, Chyun JH. 2013. The relationship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meal fre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8: 272-281. 

  37. Jung KA.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kbooks for children based on the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Korean J Culinary Res 16: 351-366. 

  38. Kim YH. 2010. A study on the needs of dietary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Home Eco Edu Assoc 22: 77-90. 

  39. Fey-Yensan N, English C, Ash S, Wallace C, Museler H. 2001. Food safety risk identified in a population of elderly home-delivered meal participants. J Am Diet Assoc 101:1055-1057. 

  40. Almanza BA, Namkung Y, Ismail JA, Nelson DC. 2007. Clients' safe food-handling knowledge and risk behavior in a home-delivered meal program. J Am Diet Assoc 107: 816-821. 

  41. Kim M, Kim H. 2006. An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towards food hygiene among child consumers. J Korean Home Eco Assoc 44: 143-151. 

  42. Choi MH, Song SM, Lee YH. 2010. Evaluation of food hygiene knowledge and health practi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uw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1: 311-322. 

  43. Lee YJ, Bae JH. 2011. A study on the necessity for hygiene education for children at the Gyeongbuk community children center. Korean J Food & Nutr 24: 577-588. 

  44. Yoon SJ, Kim HA. 20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food waste and factors affecting plate waste rate of school foodservice in the 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8: 126-140. 

  45. Jung KA. 2011. A study on the cooking and food preparation skills of 5th and 6th graders in Gangwon Province. Korean J Culinary Res 17: 204-220. 

  46. Choi YD, Chung DH. 2007. A study on the efficient food service program to the poorly-fed children.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Support 3: 1-24. 

  47. Yang IL, Yi BS, Park MK, Baek SH, Chung YS, Jeong JY, Kim YJ, Kim HY. 2013. Evaluation of the quality attribute and satisfaction on school foodservice in 2010. Korean J Community Nutr 18: 491-5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