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선나무의 저온 추출 공정에 의한 항주름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wrinkle Activiti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through Low Temperature Extraction Proces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3 no.3, 2015년, pp.231 - 236  

김남영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  이현용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kin anti-wrinkle activities of the stems and leav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evaluated by the extracts obtained from various extraction processes such as using hot water at $100^{\circ}C$, 70% ethanol at $85^{\circ}C$, and 70% ethanol with ultrasonication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논문에서는 처음으로 확인하는 미선나무에 대한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의 증대로 인하여 각 종 생리활성에 대한 새로운 천연물 소재로 관심받기 시작한 미선나무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부노화로 인한 주름개선의 소재로서 미선나무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종래의 추출방법인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미선나무의 주름개선 강화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Park, 2011).
  • , 2011). 뿐만 아니라, 기존의 추출방법은 높은 온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활성물질의 불안정 및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서, 미선나무에 함유 되어있는 catechin, chlorogenic acid, coumaric acid등 각종 성분의 초음파 공정을 통해 용출되는 성분물질함량을 증가 시키고 활성의 증진효과를 도모하고자 연구하였다 (Shin and Ahn, 2013; Lee et al., 2009; Kim et al., 2005). 초음파 공정 및 저온 추출을 실시함으로써 시간 단축과 온도를 낮춤으로서 추출효율을 높이고, 미선나무 활성물질의 보호 및 용출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연구 논문에서는 처음으로 확인하는 미선나무에 대한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의 증대로 인하여 각 종 생리활성에 대한 새로운 천연물 소재로 관심받기 시작한 미선나무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앞서 연구한 특허는 추출물의 농도로 인해 피부세포에 대한 독성 또한 확인하지 않아 효과가 있어도 쓰일 수 있는 것인지 알 수 없고, 향장활성에 대한 효과를 한 가지씩 보아 효능에 대한 검증역시 확실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미선나무를 이용하여 주름개선강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 , 2000). 초음파 추출을 실시하여 항산화 활성 또는 주름개선에 대한 효능증진을 보고한 천연물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음파 공정을 추가하여 활성의 증진을 돕고자 하였다 (Kim et al., 2014; Choi and Lee, 2014; Jin et al., 2011). 뿐만 아니라, 기존의 추출방법은 높은 온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활성물질의 불안정 및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서, 미선나무에 함유 되어있는 catechin, chlorogenic acid, coumaric acid등 각종 성분의 초음파 공정을 통해 용출되는 성분물질함량을 증가 시키고 활성의 증진효과를 도모하고자 연구하였다 (Shin and Ahn, 2013; 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선나무 추출물 공정에서 초음파 공정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이 다른 추출 공정으로 얻어진 추출물들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로써 초음파 저온 추출 공정을 이용함으로 목적하는 물질들의 용출량에 대한 획기적 증진과 함께, 고온 추출 시 야기 될 수 있는 유용 성분들의 파괴 및 변성의 가능성이 줄어 초음파 추출물의 생리 활성이 높아진 결과의 설명이 가능하다. 또한 초음파로부터 발생되는 파장 진동에 의한 높은 에너지에 따른 공동현상으로 천연물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가해져 목적하는 유용 성분외에 기타 미량의 성분들의 용출량도 같이 증가해 이들 성분들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미선나무 초음파 추출물의 향장 활성 증진에도 기여했다고 유추할 수 있다 (Park et al., 2000).
미선나무의 분류학적 위치는? 미선나무는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1속 1종의 희귀 수종이다.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며 낙엽활엽관목인 미선나무는 현재 충청북도 진천, 괴산, 영동, 전라북도 부안에서 서식하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희귀하다 (Lee et al., 1990, 2014).
미선나무의 활성 성분 추출에 있어 저온 추출 시 기대할 수 있는바는? , 2005). 초음파 공정 및 저온 추출을 실시함으로써 시간 단축과 온도를 낮춤으로서 추출효율을 높이고, 미선나무 활성물질의 보호 및 용출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WY and Lee HY. (2014).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urcuma longa leave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121-126. 

  2. Coruh N and Ozdogan N. (2015).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components of Rosa heckeliana Tratt roots. Journal of Liquid Chromatography & Related Technologies. 38:569-578. 

  3. Jang MJ, Jun DH, Kim SH, Han SI and Lee JT. (2013). Antiwrinkle effect of chestnut leaf. Journal of Life Science. 23:751-756. 

  4. Jo BS and Cho YJ. (2012).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m fruit.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9:586-593. 

  5. Kim JE, Kim AR, Kim MJ and Park SN. (2011).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Allim cepa peel extracts.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2:178-184. 

  6. Kim JH, Kim DH, You JH, Kim CH, Kwon MC, Seong NS, Lee SE and Lee HY. (2005). Immuno-regulatory activities of various from Ephedrae sinica Stapf, Rubus coreanus Miq. and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with ultrasonifi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3:161-170. 

  7. Kim NY, Kim JH, Choi GP and Lee HY. (2014). Comparison of anti-skin wrinkle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217-222. 

  8. Kwon SB, Kang HJ, Kim MJ, Kim JH, Shin HS and Kim KS. (2014). Analysis on the compon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nd ste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40:234-244. 

  9. Lee NN, Choi YE and Moon HK. (2014). Effect of leds on shoot multiplication and rooting of rare plant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41:94-99. 

  10. Lee GD. (2011). Antioxidative activity of a medicinal herb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traditional antidiabetic prescription.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8:916-922. 

  11. Lee GH, La IJ, Cho HJ, Yea MJ, Kim SB, Park JY and Kim SH. (2009).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beverage pet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98-104. 

  12. Lee TB. (1990). Conservation of threatened plants in Kore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3:190-196. 

  13. Lee YH. (2006). Anti-wrinkle effect of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ixture of cucumber and grape extracts. Journal of Life Science. 16:516-521. 

  14. Park JH. (2011).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of extracts from Abeliophylli distichi Folium.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6:95-99. 

  15. Park KA, Hong IK, Kim WI and Jeong KW. (2000). Ultrasonic energy effects on squalene extraction from amaranth seed. Applied Chemistry. 4:149-152. 

  16. Pentland AP, Shapiro SD and Welgus HG. (1995). Agonistinduc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and metalloproteinases by human macrophages is regulated by endogenous prostaglandin E2 synthesis.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04:52-57. 

  17. Shin JH and Ahn YG. (2013). Simulateous determination for the contents of caffeine and chlorogenic acid in coffee bean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4:5-12. 

  18. Wee JJ, Park, JD, Kim MW and Lee HJ. (1989). Identification of phenolic antioxidant component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Chemistry Society. 32:50-56. 

  19. Yoo YK and Kim KS. (2001). Germination inhibitors in the seed coat of white forsythia(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42:6-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