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이젠쉬테인 영화형식의 파토스
Pathos of S. Eisenstein's Film For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6, 2015년, pp.73 - 80  

김종국 (백석대학교 문화예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에이젠쉬테인은 1939년에 쓴 "영화의 구조The Structure of the Film"에서 파토스(pathos)를 예술 창작의 기본 원리로 설명한다. 그의 페이소스 또는 파토스는 관객을 엑스타시(ecstasy)로 이끄는 효과로 정의된다. 관객의 감정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파토스 구성은 에이젠쉬테인의 몽타주와 동일선상의 영화형식이며, 영화 표현의 핵심이다. 이 연구는 에이젠쉬테인이 예술가로서의 지위에 머물지 않고, 관객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몽타주를 실험하고 그 연장에서 파토스 효과를 구축하고자 했던 논의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에이젠쉬테인이 설명하는 예술작품에서의 파토스적 의미를 고찰하고, 관객의 감정을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의 파토스 구성을 그가 분석한 영화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위대한 영화감독 가운데 하나인 에이젠쉬테인은 영화예술의 이론화를 추구하면서, 충돌 몽타주, 지적 이미지론, 파토스 구성 등의 원리를 통해 영화의 창작과 이론을 융합하고자 했던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rgei Eisenstein explains pathos as the basic principles of artistic creation in "The Structure of the Film" written in 1939. The definition of pathos is embodied as effect to leap the audience in ecstasy. Pathos aiming at qualitative configuration of the audience's emotions is film form and th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렌즈가 왜곡하는 시각의 질은 자신으로부터 이탈하는 엑스타시의 공식을 따른다. 에이젠쉬테인은 렌즈와 같은 표현수단을 이용해 낡은 전통에서 벗어나 사회주의 농업의 새로운 질로 도약하는 의미를 창출하고자 한다. 결국, <낡은 것과 새 것>의 주제에 부여된 파토스는 이데올로기의 차원으로 도약하게 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에이젠쉬테인이 예술가로서의 지위에 머물지 않고, 관객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몽타주를 실험하고 그 연장에서 파토스 효과를 구축하고자 했던 논의의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에이젠쉬테인이 설명하는 예술작품에서의 파토스적 의미를 고찰하고, 관객의 감정을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의 파토스 구성을 그가 분석한 영화의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 그는 충돌 몽타주, 지적 이미지론, 파토스 구성 등의 원리를 통해 영화의 창작과 이론을 융합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에이젠쉬테인이 예술가로서의 지위에 머물지 않고, 관객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몽타주를 실험하고 그 연장에서 파토스 효과를 구축하고자 했던 논의의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에이젠쉬테인이 설명하는 예술작품에서의 파토스적 의미를 고찰하고, 관객의 감정을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의 파토스 구성을 그가 분석한 영화의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 에이젠슈테인은 그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향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이 후기의 목적은 서커스(eccentric) 연극과 파토스(pathetic) 영화와의 관계가 연속적이고 유기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 에이젠쉬테인은 파토스가 구축된 작품에서 어떤 공식을 찾고자 한다. 파토스 효과를 이루기 위한 매우 명확한 조건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때의 조건이라 함은 작품의 모든 요소들이 무아경의 상태(ecstatic state)에 있는 것이다.

가설 설정

  • 1. 주제에 의해 고무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익센트리시즘은 무엇인가? 에이젠슈테인은 「영화의 구조」에 덧붙인 짧은 글 (Post Scriptum)에서 익센트리시즘(eccentricism)과 파토스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4]. 익센트리시즘은 1920년 대 소비에트 연극이 활용한 서커스 곡예를 일컫는 것으로 에이젠슈테인 연극의 핵심적인 특징이며 파토스는 그의 영화의 특성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는 1920-23년 사이의 연극 작업에서 어떤 사람의 분노가 공중그네를 타면서 뒤로 재주넘을 때 표현되는 것 같은 감정적 포화를 원했다.
에이젠슈테인의 이상은 무엇을 통해 실현됐는가? 이 같은 에이젠슈테인의 이상은 <현인Enough Simplicity in Every Wise Man>(Alexander Ostrovsky)의 서커스 장면에서 가장 순수한 형태로 실현된다. 극중의 마마예프(Mamayev)를 연기한 막심 슈트라우크(Maxim Shtraukh)가 그의 조카가 그린 캐리커처에 화가 나서, 갑자기 재주넘기를 한다.
영화감독 에이젠쉬테인은 무엇을 통해 창작과 이론을 융합하고자 했는가? 위대한 영화감독 가운데 하나인 에이젠쉬테인은 영화예술의 이론화를 추구했다. 그는 충돌 몽타주, 지적 이미지론, 파토스 구성 등의 원리를 통해 영화의 창작과 이론을 융합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에이젠쉬테인이 예술가로서의 지위에 머물지 않고, 관객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몽타주를 실험하고 그 연장에서 파토스 효과를 구축하고자 했던 논의의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임석진 외,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엮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12. 

  2.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엮음, 문학비평용어사전 상.하, 국학자료원, 2006. 

  3. 한용환, 소설학 사전, 문예출판사, 1999. 

  4. Sergei Eisenstein, "The Structure of the Film,"Film form: essays in film theory, trans Jay Leyda, San Diego: Harcourt Brace Jovanovich, pp.174-176, 1977. 

  5. Sergei Eisenstein, "The Structure of the Film,"Film form: essays in film theory, trans Jay Leyda, San Diego: Harcourt Brace Jovanovich, p.176, 1977. 

  6. Sergei Eisenstein, "The Structure of the Film,"Film form: essays in film theory, trans Jay Leyda, San Diego: Harcourt Brace Jovanovich, p.166, 1977. 

  7. Sergei Eisenstein, "The Structure of the Film,"Film form: essays in film theory, trans Jay Leyda, San Diego: Harcourt Brace Jovanovich, p.167, 1977. 

  8.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38, 1987. 

  9.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65, 1987. 

  10.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69-170. 1987. 

  11.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74, 1987. 

  12.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83, 1987. 

  13. Sergei Eisenstein, "On the Structure of Thing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0, 1987. 

  14. Sergei Eisenstein, "On the Structure of Thing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27. 1987. 

  15. Sergei Eisenstein, "On the Structure of Thing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28, 1987. 

  16. Sergei Eisenstein, "On the Structure of Thing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31, 1987. 

  17. Sergei Eisenstein, "On the Structure of Thing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35, 1987. 

  18. Sergei Eisenstein, "The Structure of the Film," Film form: essays in film theory, trans Jay Leyda, San Diego: Harcourt Brace Jovanovich, pp.172-173, 1977. 

  19. Sergei Eisenstein, "On the Structure of Thing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35-36, 1987. 이정하, "작품의 구조에 대하여", 몽타쥬이론, 예건사, p.421, 1990에서 재인용. 

  20. Sergei Eisenstein, "On the Structure of Thing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36-37. 1987. 

  21.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59-199, 1987. 

  22.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38-59. 1987. 

  23.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52. 1987. 

  24.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39. 1987. 

  25.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53-54. 1987. 

  26.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59. 1987. 

  27.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열화당, p.182, 1996. 

  28.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55, 1987. 

  29.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4, 1987. 

  30. Sergei Eisenstein, "Pathos," Nonindifferent Nature, trans Herbert Marsha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51,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