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요소가 방문객 몰입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ustomer Experience on Customer Commit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me Park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6, 2015년, pp.499 - 508  

이신전 (우송대학교 국제경영학부) ,  펑펑 (우송대학교 외식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ine and Gilmore가 제안한 엔터테인먼트 체험, 현실도피 체험, 미적 체험, 교육체험인 4가지 체험영역을 바탕으로 테마파크 방문객의 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몰입경험이 테마파크 재방문 및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테마파크를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테마파크 내 미적 체험요소, 교육 체험요소, 엔터테인먼트 체험요소, 현실도피체험요소는 방문객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체험에 대한 방문객의 몰입경험이 증가할수록 재방문/구전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요소는 몰입을 통해 재방문/구전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테마파크가 일회성 방문이 아닌 재방문객을 꾸준히 유치하기 위해서는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의 극대화를 통한 방문객의 몰입도 제고에 더욱 신경 써야 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4Es), customer commit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experience of the theme park as a hedonic destination. To carry out this study objective, a survey targeted for theme park customers was conducted from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ine과 Gilmore[6]가 제안한 엔터테인먼트 체험, 현실도피 체험, 미적 체험, 교육체험인 4가지 체험영역을 바탕으로 테마파크 체험요소가 방문객의 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몰입경험이 테마파크 재방문 및 구전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본 이론적 연구를 기초로 하여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체험이 차세대 마케팅 전략의 도구로 등장함에 따라 테마파크 상황에 적합한 체험 척도를 개발하고 이것이 테마파크 방문객들이 갖는 몰입 및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Pine과 Gilmore의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체험에 의거하여 개발된 테마파크 방문객의 4가지 체험요소, 방문객의 몰입, 재방문의도, 구전의도 등을 변수로 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설계하여 분석하였다.
  • 또한 테마파크에서 체험요소가 관광객에게 감정적으로 몰입을 느끼더라도 이를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게 만든다면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고객을 모집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체험요인이 관광객의 몰입을 통해 재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를 조명하는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체험요인을 테마파크의 특성에 맞춰서 재구성하고, 방문객들의 몰입은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테마파크에 방문한 고객의 체험이 고객행동과의 관계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테마파크의 체험요소가 방문객의 몰입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테마파크에 방문객의 몰입이 재방문의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테마파크에 방문객의 몰입이 구전의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Mattila[25]는 감정적 몰입은 미래 충성도에 대한 서비스 실패의 파급효과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테마파크에 방문한 고객의 몰입은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한다. 즉:
  • 박순천의 축제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체험의 감성, 감각, 행동, 관계요인이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21].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테마파크의 체험은 소비자의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한다. 즉: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테마파크란? 이러한 여가활동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상성을 완전히 차단한 창조적이고 유희적인 여가공간으로서 테마파크는 레저공간으로 대표적인 레저공간이다[1]. 이는 다채로운 주제를 토대로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편익을 제공하고 유익한 여가활동과 휴식의 공간을 조성하여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여가산업이다. 또한 놀이기구는 탑승물로 대변되는 하드웨어 요소와 쇼·이벤트로 대변되는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2].
몰입이 소비자와 판매자의 관계에서 중요한 이유는?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는 고객의 지속적인 선호상태라 할 수 있으며 몰입은 구매자와 판매자와의 관계에서 관계지속성을 위한 핵심 변인이다. 몰입이 소비자와 판매자의 관계에서 중요한 이유는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강한 관계의 경우 미래 구매의도[14], 구매자의 이탈 방지, 구전의 활성화, 관계유지 및 관계회복, 소비자의 애호도를 창출하는 변인이기 때문이다[22][23].
테마파크의 놀이기구는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나? 또한 놀이기구는 탑승물로 대변되는 하드웨어 요소와 쇼·이벤트로 대변되는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2]. 최근에는 하드웨어 개발을 벗어나 테마파크의 특정 주제를 부각시킬 수 있는 콘텐츠 개발, 독창성 있는 연출 및 분위기 조성, 고객 체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서비스 구축 등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중심이 되고 있다[3]. 이처럼 체험은 현대사회의 테마파크 산업에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체험요소를 강화시킨 콘텐츠 도입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흥렬, 윤설민, "다차원척도법 (MDS) 을 이용한 테마파크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5권, 제2호, pp.197-216, 2010. 

  2. 신동식, "기대불일치이론을 적용한 테마파크 이용자의 이용만족과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4권, 제2호, pp.177-197, 2009. 

  3. 김용일, "테마파크 방문객의 놀이기구 관여도에 따른 지각된 대기시간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9권, 제1호, pp.139-159, 2014. 

  4. 김지희, 윤설민, "테마파크 내 체험에 따른 인지적, 정서적 구성개념의 영향력 검증",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3권, 제3호, pp.65-84, 2011. 

  5. B. Schmitt, "Experiential marketing," J. of Marketing Management, Vol.15, No.1-3, pp.53-67, 1999. 

  6. B. J. Pine and J. H. Gilmore,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Vol.76, pp.97-105, 1998. 

  7. 조방현, 전형상, 김준희, "국내 테마파크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객의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2권, 제4호, pp.211-221, 2008. 

  8. 이태희, 김지희, 윤설민, "테마파크에서의 고객 체험이 신규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의사에 미치는 영향: Pine 과 Gilmore 의 체험 (4Es) 요인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7-81, 2012. 

  9. 김창수, 이성호, 오은해, "디지털콘텐츠의 상호작용요인이 몰입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212-224, 2011. 

  10. 송강영, 임영삼, 안병욱, "대학생의 여가유능감과 여가몰입, 여가만족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425-433, 2011. 

  11. 박수경, 박지혜, 차태훈, "체험요소 (4Es) 가 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7권, 제6호, pp.55-78, 2007. 

  12. 송학준, 최영준, 이충기, "4Es 이론에 따른 축제 방문객의 충성도 연구: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5권, 제6호, pp.179-198, 2011. 

  13. 하동현, "파크에서의 체험요소에 관한 연구-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 (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37-47, 2009. 

  14. B. J. Pine and J. H. Gilmore,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re and every business a stage, Harvard Business Press, 1999. 

  15. Csikszentmihalyi, Beyond Boredom and Anxiety, SF: Jossey-Bass, 1975. 

  16. S. S. Kim, D. Scott, and J. L. Crompton,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psychological involvement, behavioural involvement, commitment, and future intentions in the contexts of bird watching," J. of Leisure Research, Vol.29, pp.320-341, 1997. 

  17. 이장우, 안성식, 석승환, "패밀리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 평가요인이 관계몰입과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4권, 제1호, pp.265-284, 2009. 

  18. 김태홍, 이준엽, "축제 이미지 일치가 도시브랜드 몰입 및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여수세계 박람회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7권, 제4호, pp.119-136, 2013. 

  19. 성낙봉,"브랜드체험이 고객-브랜드 관계몰입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지역브랜드상품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제18권, 제1호, pp.143-162, 2014. 

  20. 이태희, 황태진, "체험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심리 연구-방문동기 및 몰입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22권, 제3호, pp.41-51, 2012. 

  21. 박순천, "문화관광축제 체험과 개최지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관계-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벤트컨벤션연구, 제19권, 제1호, pp.1-21, 2013. 

  22. S. H. Park and B. S. Hong, "Influentional factors on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commitment between salesperson and apparel purchaser," J.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0, No.2, pp.358-368. 

  23. 최철재, 허영수, "서비스전달 특성과 충성도 관계에서 감정적 몰입의 매개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255-269, 2014. 

  24. 강유원, 이제헌, 변경원, "스크린 골프장 선택속성과 고객만족, 신뢰, 몰입 및 고객충성도와의 구조적인 관계: 이용정도에 따른 모형비교", 한국체육학회지, 제53권, 제2호, pp.347-365, 2014. 

  25. A. S. Mattila, "The impact of service failures on customer loyalty: The moderating role of affective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Vol.15, No.2, pp.134-149. 

  26.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 2011. 

  27. 권영미, 박종희, 양주환, 서상윤, "체험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제10권, 제 3호, pp.51-72, 2010. 

  28. S. Hosany and M. Witham, "Dimensions of cruisers' experiences, satisfaction, andintention to recommend," J. of Travel Research, Vol.49, No.3, pp.351-36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