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물통이속(Pilea) 식물의 nrDNA, cpDNA를 통한 계통분석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Pilea (Urticaceae) using nrDNA and cpDNA sequence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5 no.2, 2015년, pp.158 - 168  

문애라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박정미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장창기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물통이(Pilea)속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서 총 1속 5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물통이속은 모두 1년생 초본으로, 그늘지고 습기가 있는 지역에서 서식하며, 여름에 꽃이 피고, 가을에 열매를 맺는다. nrDNA의 ITS regions과 cpDNA의 psbA-trnH regions의 DNA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산물통이, 물통이는 분계조를 각각 형성하였다. 하지만 제주 산방산의 제주큰물통이는 내륙지역의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제주큰물통이와 같은 분계조를 형성하지 못하고 큰물통이, 모시물통이와 섞여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ITS1, 4 regions에서만 DNA 염기서열이 분석된 지리산의 제주큰물통이 역시 완전히 다른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단순히 지리적인 차이로 인해 형성되었다고 보기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후에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of the genus Pilea in Korea including five taxa was carried out using molecular phylogenetic methods. The majority of members of the genus Pilea in Korea are annual herbs, and they live in moist habitats, flowering in summer and fruiting in autumn. The results of a phylogenetic analysis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quetii 역시 다른 종과의 형태학적 형질의 분명한 차이를 확인하기 어렵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물통이속 5종에 대한 분류학적 문제를 검토하여, 속 내 종간의 유연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en의 분류체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물통이속 5분류군은 각각 어느 절에 속하는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물통이(Pilea)속 5분류군은 7절로 구분한 Chen(1982)의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산물통이(P. japonica (Maxim.) Hand.-Mazz.)는 Achudemia절에 속하고, 물통이(P. peploides (Gaudich.) Hook. & Arn.)는 Dimeris절에 속하고, 나머지 큰물통이(P. hamoi Makino), 모시물통이(P. mongolica Wedd.), 그리고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는 Urticella절에 속한다. 이들을 구분하는 주요한 형질은 화서, 잎의 가장자리, 엽병의 길이, 암꽃의 화피의 개수, 열매의 반점 등으로, P.
우리나라에서 물통이속 식물의 분포 현황은? 우리나라에는 5종의 물통이속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어느 지역이든 쉽게 적응하여 활착하지만 특히, 그늘이 지고 습한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에는 P. peploides (Gaudich.) Hook. & Arn. (물통이), P. mongolica Wedd. (모시 물통이), P. hamaoi Makino (큰물통이) 등이 자생하고,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는 P. taquetii Nakai (제주큰물통이), P. japonica (Maxim.) Hand.-Mazz. (산물통이)가 분포하고 있다. 종간에서는 자생하는 환경은 습한 지역으로 비슷하지만, 지리적인 격리와, 해발의 차이로 인해 형태적인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물통이를 구분하는 형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taquetii Nakai) 는 Urticella절에 속한다. 이들을 구분하는 주요한 형질은 화서, 잎의 가장자리, 엽병의 길이, 암꽃의 화피의 개수, 열매의 반점 등으로, P. hamoi,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E. K. 2003.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Cytotoxic Effect of Pilea japonica (Maxim.). Sungkyunkwan University. M.S. Thesis. (in Korean) 

  2. Adams, C. D. 1970. Notes on Jamaican flowering plants 1. Mitteilungen Botanische Staatssammlung Mnchen 8: 99-110. 

  3. Baldwin, B. G. 1992. Phylogenetic utility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of nuclear ribosomal DNA in plants: An example from the Composita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 3-16 

  4. Burger, W. 1977. Pilea, Flora Costaricensis. Fieldiana, Botany 40: 246-272. 

  5. Chen, C. J. 1982. A monograph of Pilea (Urticaceae) in China. Bulletin of Botanical Research 2: 1-132. 

  6. Chen, C. J. 1995. Pilea. In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Vol. 23(2). W. T. Wang and C. J. Chen [eds.],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57-156. 

  7. Chen, C. J., And A. K. Monro. 2003. Pilea. In Flora of China. Vol. 5. Z. Wu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China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issouri, USA. Pp. 57-156. 

  8. Farris, J. S. 1989. The retention index and homoplasy excess. Systematic Zoology 38: 406-407. 

  9. Heywood, V. H. 1991. Flowering plants of the world. Academic books. Pp. 72-73. 

  10. Kwon, H. C., Lee, K. R. and O. P. Zee. 1997. Cytotoxic Constituents of Pilea monogolic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 180-183. 

  11. Maddison, D., And Maddison, W. P. 2000. MacClade 4: analysis of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Sinauer, Sunderl and, Massachusetts, USA. 

  12. Monro, A. K. 2004. Three new species, and three new names in Pilea (Urticaceae) from New Guinea. Kew Bulletin 59: 573-579. 

  13. Monro, A. K. 2006. The revision of species-rich genera: a phylogenetic framework for the strategic revision of Pilea (Urticaceae) based on cpDNA, nrDNA, and morphology. American Journal of Botany 95: 426-441. 

  14. Moon, A. R. 2011. A Taxonomic Study on Genus Pilea in Korea. Kongju National University, M. S. Thesis. (in Korean) 

  15. Shaw, J., E. B. Lickey, E. E. Schilling and R. L. Small. 2005. Comparison of whol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to choose noncoding regions for phylogenetic study in Angiosperms: The tortoise and the here. III. American Journal of Botany. 94: 275-288. 

  16. Soltis, P. D., J. J. Doyle and D. E. Soltis. 1992. Molecular data and polyploid evolution in plants. In Molecular Systematics of Plants. Soltis, P. D., J. J. Doyle and D. E. Soltis. (eds.), Chapman & Hall. New York. Pp. 177-201. 

  17. Swofford, D. L. 2002.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sion 4b10. Sinauer,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18. Thompson J. D., T. 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 G. Higgins. 1997. The Clustal X window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o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earch 25: 4876-4882. 

  19. Weddell, H. A. 1856. Pilea. In G. Baudry and J. Baudry [eds.], Monographie de la famille des Urticacees. Archives de Museum d Histoire Naturelle 9: 172-277. G. and J. Baudry, Paris, France. 

  20. Weddell, H. A. 1869. Pilea. In A. De Candolle [ed.],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16, 104-163. Victoris Masson, Paris, France. 

  21. White T., I. T. Bruns,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 and applications. Innis. M. A.,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White (eds.), Academic Press, San Diego. Pp.315-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