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Residents of a single room occupancy (Jjok-bang) in Seoul are at high risk of having mental health issues. The majority of residents live in single households with past traumatic experiences including self-deprivation and social exclus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역사회 기반의 참여적 건강증진 연구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보건전문가, 연구자들과 동등한 협력자로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파악하고 결정한 해결책을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접근법이다. CBPR의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 내의 관련 조직, 단체들의 연결망이 조성, 확대, 강화되고 지도력이 개발되어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을 위한 자생적, 지속적인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즉, CBPR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주도적 참여를 바탕으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역량강화, 참여자의 역량강화, 관련 조직 및 지역사회의 역량강화를 구현하며 이런 역량개발과 강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이루게 한다(Merzel & D’Afflitti, 2003; Minkler, 2005).
  • 그러나 쪽방지역의 폐쇄성과 민감성(susceptibility)을 감안한다면 본 연구가 쪽방주민의 정신건강을 연구하는데 기초조사자료(baseline data)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2008년 김미령이 조사한 서울 및 대구 쪽방주민의 스트레스 원과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이후 처음으로 진행한 쪽방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양적 연구로써 선행연구와 비교 연구할 수 있다는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생태적 요인이 쪽방주민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델 1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모델 1의 설명력은 16.
  • 본 연구는 사회생태적 모델을 적용하여 국내의 극빈곤층인 쪽방거주민들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쪽방주민들의 정신건강이 일반인구집단과 비교했을 때 훨씬 더 취약했고, 이들의 정신건강은 인구사회학적 특성보다는 개인의 역량강화나 지역사회 결속력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 본 연구는 사회생태적 모델을 적용하여 쪽방주민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설문조사로, 사용한 측정도구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Table 1]에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을 포함했다.
  • 본 연구는 쪽방주민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사회생태적 관점을 적용하여 다각도로 조명함으로써 쪽방주민의 정신건강문제를 이해하는 통합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쪽방 주민들의 정신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쪽방주민을 비롯한 빈곤계층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제도 제정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사회생태적 모델을 적용하여 쪽방주민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내 요인과 지역사회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쪽방주민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수준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쪽방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속가능한 건강증진사업과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존의 쪽방연구는 주로 쪽방 주민의 주거를 개선하거나 쪽방주민의 삶을 탐구하는 생애사적인 접근이 많았고(Heo, 2010; Jung & Kim 2013; Kim, 2008; Kwon & Han, 2008; Lee & Ahn, 2013; Lee & Lee 2013), 쪽방주민의 정신건강을 다룬 연구로는 Kim(2008)의 쪽방거주자의 스트레스 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 유일한 연구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생태적 모델을 적용하여 쪽방주민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내 요인과 지역사회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쪽방주민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수준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쪽방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속가능한 건강증진사업과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쪽방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우울과 안녕감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 2) 쪽방주민의 역량강화 수준에 따라 우울과 안녕감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 3) 쪽방주민의 지역사회 결속력의 수준에 따라 우울과 안녕감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체계적 관점 중 미시체계란? 생태체계적 관점은 인간발달과 행동에 관련된 환경을 조직화하는 틀을 제공하였고 이를 모형화하여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로 구분하였다. 첫째 미시 체계(microsystem)는 개인이 직접 접하게 되는 가장 가까운 체계로, 가족구성원과 개인을 둘러싼 여러 그룹들인 학교, 이웃, 동료, 직장 등의 물리적 환경 및 관계를 일컫는다. 둘째 중간 체계(mesosystem)는 가족, 학교, 이웃 등 미시체계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개념이다.
쪽방의 시설적 취약점은? 쪽방 거주민의 경우, 쪽방 생활 자체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Kim, 2008). 쪽방은 기초생활수급자나 가난한 노인, 장애인들이 현재의 소득수준으로 선택할 수 있는 주거 형태인데, 방안에 개별취사, 세면, 용변 등 기초적인 부대시설이 없으므로 그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Kim & Jo, 2010). 더욱이 쪽방은 가구단위가 아닌 개인단위로 거주하는 사람들이 많으므로 쪽방주민들은 이웃과의 소통이 적고 고립된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아, 고독사와 같은 극단적인 상황도 종종 발생한다(Chung et al.
WHO에서 정의한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그 이유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Social Determinants of Health)으로 설명할 수 있다. WHO에서 정의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의하면 개인의 건강은 생애주기동안 노출되는 사회적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데, 다시 말해 유년 시기의 경험, 교육, 경제적 상태와 직업, 거주지와 주변 환경, 의료보장체계 등 다양한 요인들이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WHO, 2008). 쪽방 거주민의 경우, 쪽방 생활 자체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Kim,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Balarajan, Y., Selvaraj, S., & Subramanian, S. (2011). Health care and equity in India. The Lancet, 377(9764), 505-515. 

  2. Benjamin, S., Lennon, S., & Gardner, G. (1991). The validity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for first- stage screening for mental illness in pain clinic patients. Pain, 47(2), 197-202. 

  3. Bronfenbrenner, U. (1979). Ecolog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4. Brown, W. J., Basil, M. D., & Bocarnea, M. C. (2003). The influence of famous athletes on health beliefs and practices: Mark McGwire, child abuse prevention, and androstenedion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8(1), 41-57. 

  5. Buckner, J. C. (1988).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eighborhood cohes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6), 771-791. 

  6.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rends. New York: McGraw-Hill. 

  7. Chung, B., Jones, L., Dixon, E. L., Miranda, J., Wells, K., & Council, C. P. (2010). Using a community partnered participatory research approach to imple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lanning the design of community partners in care. Journal of Health Care for the Poor and Underserved, 21(3), 780. 

  8. Chung, H. J., Cho, S. H., Park, S. H., Kim, J. S., Che, X. H., & Seo, W. Y. (2013). A Formative Research to Design an Asset-Based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Research Program. [13-22].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9. Fessler, D. R. (1952). The development of a scale for measuring community solidarity. Rural Sociology, 17(2), 144-152. 

  10. Fleury, J., & Lee, S. M. (2006). The social ecological model and physical activity in African American wome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7(12), 129-140. 

  11. Gelberg, L., & Linn, L. S. (1989). Assessing the physical health of homeless adults. JAMA, 262(14), 1973-1979. 

  12. Green, L. W., & Kreuter, M. W. (1991).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approach (2nd ed.). California. 

  13. Headey, B., & Wearing, A. (1992). Understanding happiness: A theory of subjective well-being: Melbourne: Longman Cheshire. 

  14. Heo, H. H., & Braun, K. L. (2014). Culturally tailored interventions of chronic disease targeting Korean Americans: a systematic review. Ethnicity & Health, 19(1), 64-85. 

  15. Heo, S. Y. (2010).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Chokbang).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1), 241-260. 

  16. Hur, J. S. (2002).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3, 7-35. 

  17. Israel, B. A., & Schurman, S. J. (1990). Social support, control, and the stress proces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8. Jung, Y. J., & Kim, J. D. (2013). Approached based on grounded theory about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4(2), 295-322. 

  19. Kang, C. H., & Hong, H. M. L. (2002). A study of community solidarity - An exploration for effective community practice. Journal of Social Welfare, 48, 42-81. 

  20. Kawachi, I., & Berkman, L. (2000). Social cohesion, social capital, and health. Social epidemiology, 174-190. 

  21. Kim, B. S. (2009). A study on ecosystem variable influenc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Korean Journal of 21 Century Social Welfare, 6(2), 15-44. 

  22. Kim, C. Y., Son, J. I., Kim, S. K., Kim, J. S., & Cho. S. H (2012). A Cross-Sectional Study on Health Right among Dongja-dong Jjokbang Residents. Health Right Network. 

  23. Kim, H. I. (2010).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posthumous organ donation intentions: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4(6), 173-198. 

  24. Kim, M., R. (2008).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homeles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8, 126-151. 

  25. Kim, M., J., & Jo, H. M. (2010). Living status of Jjok-bang (small single room) region residents and reproduction of poverty.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3(2), 183-205. 

  26. Kim, O., H. (2013). Analysis of effects which social supports and cohabiting influence on the elderly's mental health.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22, 234-255. 

  27. Kim, S., N. (2013).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96-204. 

  28. Kim, T., & Huh, S. (2008). Changes in financial burden of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18(4), 23-48. 

  29. Kweon, G., Y., & Park, K. W. (2007).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ives. Social Research, 14, 187-219. 

  30. Kwon, J. D., & Cho, J. Y. (2000).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3), 61-76. 

  31. Kwon, J. S. & Han, G. Y. (2008).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ving experience of the old residing in Jjok-bang.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2(1), 63-84. 

  32. Kwon, J. S. (2008). An ethnography on the daily life of the residents in Jjok-ba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0(4), 131-156. 

  33. Lee, E. H. (2009). An analysis of the effect on increasing community solidarity through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1, 29-54. 

  34. Lee, H. J., & Ahn, G. D. (2013). The stud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2), 33-62. 

  35. Lee, H. K., Kim, M. S., Choi, S. S., & Choi, M. K. (2014). Eco-systematic analysis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Korean elderly suicide idea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3), 430-451. 

  36. Lee, H. O., & Lee, E J. (2013).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life and resident relationship in Jjok-bang area in Dongja-dong.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5, 281-304. 

  37. Lee, J. M., & Kim, T. W. (2014). Policy strategies for reducing income and asset poverty among Korean old-age Households. Health Welfare Forum (212), 64-73. 

  38. Lee, S. G. (2000). The effects of multisystemic factors on school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15, 109-132. 

  39. Mattaini, M. A., Lowery, C. T., & Meyer, C. H. (2002). Founda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A Graduate Text: Washington, DC: ERIC. 

  40. McLeroy, K. R., Bibeau, D., Steckler, A., & Glanz, K. (1988).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 Behavior, 15(4), 351-377. 

  41. McLeroy, K. R., Norton, B. L., Kegler, M. C., Burdine, J. N., & Sumaya, C. V. (2003).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4), 529-533. 

  42. McNair, R., & Brown, R. (1996). Innovative perspectives in youth health care. Australian Family Physician, 25(3), 347-351. 

  43. Merzel, C., & D'afflitti, J. (2003). Reconsidering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mise, performance, and potential.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4), 557-574. 

  44. Minkler, M. (2005). Community-based research partnership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Journal of Urban Health, 82, ii3-ii12. 

  45. Minkler, M., & Wallerstein, N. (Eds.). (2008).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From Process to Outcomes. San 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46. Park, C. Y. (2011).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epression of Korean adult male and female. Health and Social Science, 29, 99-128. 

  47. Putnam, R. D.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The American Prospect, 4(13), 35-42. 

  48. Robinson, T. (2008). Applying the socio-ecological model to improv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low-income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3(6), 395-406. 

  49. Rogers, J. (1992). Probation, parole, power, and women offenders: From patriarchal parameters to participatory empowerment, I. Moyer, The changing roles of women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50. Shattell, M. M., Hamilton, D., Starr, S. S., Jenkins, C. J., & Hinderliter, N. A. (2008). Mental health service needs of a Latino population: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project.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9(4), 351-370. 

  51. Shin, J. D., & Yeo. G. (2009). Health index on the basis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Health Welfare Forum, 12, 22-29. 

  52. Son, D. S. (2005).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Focused on the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octorate thesis. Graduate School of Kangnam University. 

  53. Stokols, D. (1992).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healthy environments: Toward a social ecology of health pro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7, 6-22. 

  54. Stokols, D., Grzywacz, J. G., McMahan, S., & Phillips, K. (2003). Increasing the health promotive capacity of human environm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4-13. 

  55. WHO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008).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World Health Organization (Ed.). World Health Organization. 

  56. Yang, O. K, & Choi, M. N. (2006). Current issues and future tasks of empowerment approach in social work practice and edu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2(2), 39-84. 

  57. Yoo, S. (2009).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for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141-1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