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및 공간통계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
Health Assessment of the Nakdong River Basin Aquatic Ecosystems Utilizing GIS and Spatial Statistic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2, 2015년, pp.174 - 189  

조명희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 공학부) ,  심준석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이재안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팀) ,  장성현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지점에서 생물 및 서식환경, 수질에 대한 건강성을 조사 및 평가한 결과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정보로 재구축하고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보전 및 복원 정책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50개 조사구간의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결과자료를 각 지점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점형 자료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공간적인 분석기법의 적용을 위해 면형 자료로 재구축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Kriging 보간법(ArcGIS 10.1, Geostatistical Analysis)을 활용하여 공간적 영향력 및 트랜드를 분석하였고 면형 자료로 재구축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낙동강 유역 건강성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Hotspot(Getis-Ord Gi, $G^*_i$)과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표준편차타원체(Standard deviational ellipse) 분석을 활용하였다. Hotspot 분석 결과 생물지수(TDI, BMI, FAI)의 Hotspot 유역은 안동댐 상류, 왕피천, 임하댐 유역으로 생물지수의 건강성 등급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Coldspot 유역은 낙동강 남해, 낙동강 하구, 수영강 등의 유역으로 나타났다. LISA 분석 결과 이례지역은 가화천, 합천댐 상류, 영강 상류 유역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지역은 생물 건강성 지수가 높은 유역이지만 주변 유역의 건강성이 낮아 수생태계 건강성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유역으로 분석되었다. 이화학적 요인(BOD)의 Hotspot 유역은 낙동강하류 유역과 수영강, 회야강, 낙동강남해 유역으로 나타났으며, Coldspot 유역은 안동댐, 임하댐, 영강 등 낙동강 지류의 상류 유역으로 분석되었다. 서식 및 수변환경(HRI)요인의 Hotspot과 LISA 분석결과 요인별 Hotspot과 Coldspot이 다르게 분석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낙동강 상류,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유역 등 낙동강 본류와 지류의 상류 유역 서식 및 수변환경 건강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식 및 수변환경 요인이 Coldspot으로 나타난 유역들은 생물지수와 이화학적 요인의 건강성 지수도 낮게 나타나 서식 및 수변환경의 관리가 필요한 유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준편차타원체로 분석한 시계열 분석결과 생물과 서식 및 수변환경에 의한 수생태계 건강성이 좋은 지역이 점점 북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BOD 결과는 조사년도에 따라 방향과 집중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수생태계 건강성 분석 결과는 조사지점별 건강성 관리정보뿐만 아니라 향후 공간정보 기술기반 수환경 연구와 실무연구진을 위한 집수구역 단위 수생태계를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the health of the living organisms, habitat, and water quality at the investigation points for the aquatic ecosystem health of the Nakdong River basin, to support the ratio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분포특성을 분석하여 건강한 수생태계로 보전·복원 할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요인의 공간적 분포 특성뿐만 아니라 시계열적 공간분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표준편차 타원체(Standard deviational ellipse)를 구축하여 지도로 표출하였다. 분석결과는 타원체의 X, Y 축의 거리와 방향성, 중심점의 이동을 파악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의 집중, 확산, 방향의 경향성을 분석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250개 조사지점에 대해 수생태계 건강성 요인들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시계열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점 data로 구축된 정보를 면 data로 재구축한 보간기법은 추정 자체로 의의가 있으며 정확성을 파악하는데 방법론적 기법의 선정과 분석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평가 자료를 GIS DB로 구축하여 2008년부터 현재까지 GIS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런 시계열 분석을 통해 연도별 변화에 따른 생물군 분포를 분석하여 생물적 환경적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물분류군 기반 수생태계 건강성 예측 및 수계별 환경 동향 분석을 통해 수생태계 보전 및 복원 시 필요한 수생태계 생물군 분포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 이에 LISA 분석은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주요요인이 유사한 값을 갖는 공간적 군집의 유의성 판정을 위해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조사지점에서 생물 및 서식환경 등 수생태계 건강성을 조사, 평가한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공간정보기술 기반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수생태계 건강성 공간분석기법의 적용을 통해 낙동강 유역의 보전 및 복원 정책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효율적인 유역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수집된 수생태계 건강성 정보 자료는 검토 및 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시계열적 분석이 어려운 형태로 구축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평가 자료를 GIS DB로 구축하여 2008년부터 현재까지 GIS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런 시계열 분석을 통해 연도별 변화에 따른 생물군 분포를 분석하여 생물적 환경적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otspot 분석과 LISA 분석의 이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활용되는 데이터는 낙동강 유역 250개 조사구간의 결과가 작성되어 있어 점으로 나타난 현상을 Kriging 보간법을 이용하여 면형자료로 재구축하였고,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기본 개념을 둔 Hotspot(Getis-Ord Gi, #)분석과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을 활용하여 공간적 특성을 분석 하고자 한다. Hotspot 분석과 LISA 분석은 공간적 자기상관성 개념을 바탕으로 공간분포도를 작성할 수 있고 이런 공간분포도를 통해 공간패턴을 파악하고 지역 간 유사성과 차이점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z-score 값에 따른 클러스터의 변화는? 또한  #통계 값은 각 지점의 z-score 반환 값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z-score가 클수록 더 강한 클러스터, 즉 Hot spot으로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z-score가 낮을수록 더 강한 Cold spot 클러스터를 가지게 된다. 이런 결과 값을 바탕으로 큰 값들의 공간적 군집도와 작은 값들의 공간적 군집도를 구별할 수 있다(Getis and Ord, 1992).
LISA 분석에서, HH와 LL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LISA 분석에서는 4가지 유형으로 표출되는데 이는 산출된 국지적 모란지수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특히 HH(High-High), LL(Low-Low)는 Hotspot 지역과 Coldspot 지역을 나타내며 수생태계 건강성에 대해 대조되는 군집지역을 나타낸다. HL(High-Low)와 LH(Low-High)는 공간적 이례지역을 나타내는 패턴으로 수생태계 건강성의 보전 및 복원에 관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258-306. 

  2. Bae, Y.J., D.H. Won, W.J. Lee and H.W. Seung. 2003. Development of environment assessment technique and biodiversity management system and their application to stream ecosyste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21(3):223-233 (배연재, 원두희, 이웅재, 승현우. 2003. 하천생태계에 대한 환경평가 기법과 생물다양성 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1(3):223-233). 

  3. Barbour, M.T., J. Gerristen, B.D. Syn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2nd Edi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4. Berg, L. van den and L.H. Klasen. 1987. The contagiousnes of urban decline. In: L. van den Berg, L.S. Burns and L.H. Klasen(Eds). Spatial Cycles. Aldershot: Gower, pp.84-99. 

  5. Ecoriver21. 2011. Integrated River Restoration Manual. Ministry of Land, Infrestructure and Transport (에코리버21 연구단. 2011. 하천복원 통합매뉴얼. 국토교통부). 

  6. Getis, A. and J.K. Ord.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189-206. 

  7. Hwang, S.J., S.W. Lee and Y.S. Park. 2011. Ecological monitoring, assessment, and restoration of running water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S1-S2. 

  8. Jo, M.H. and M.S. Byun, J.S. Sim, S.H. Jang. 2014. Geographic distribution of periphyton diatom species: a case study of achnanthes convergens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3):175-194 (조명희, 변명섭, 심준석, 장성현. 2014. 낙동강 수계 청수성 부착조류의 공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chnanthes convergens를 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3):175-194). 

  9. Jo, M.H., S.H. Lee, H.L. Choi and S.H. Jang. 2013. Building a GIS database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o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189-203 (조명희, 이수형, 최희락, 장성현. 2013. 수생태계 건강성 통합정보 분석을 위한 GIS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189-203). 

  10. Lee, S.W., S.J. Hwang, J.K. Lee, D.I. Jung and Y.J. Park. 2011. Overview and application of the national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NAEMP)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S3-S14.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quatic ecosystem health survey and evaluation V (국립환경과학원. 2012.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V). 

  12. Song, D.H., S.J. Lee, Y.Y. Kim, H.S. Kim and U.H. Jung. 2008. Strategies for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Chungcheonam-do linked with GIS.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113pp (송동하, 이상진, 김영일, 김홍수, 정우혁. 2008. GIS와 연계한 충청남도 물통합관리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113쪽).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