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사용과 공유를 위한 수업 자료 큐레이션 시스템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the Curation System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Reusing and Sharing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2, 2015년, pp.135 - 168  

박양하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문성빈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수업 자료의 재사용과 공유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업 자료의 활용현황을 조사한 면담을 통해 현장 교사들이 수업 자료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는 것과 수업 자료 생산 매체 및 수업 자료 사용 목적이 초등학교와 중 고등학교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재사용과 공유를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큐레이션 전략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한 정책, 디자인, 표준 및 도구에 대한 전략을 식별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설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업무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개인 작업 공간에서 구현되어야하는 업무는 인증, 환경설정, 등록, 보관, 편집을 통한 재사용이다. 공유를 위한 공동 작업 공간으로 구현되어야하는 업무는 접수, 저장, 동료 평가, 접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design a curation system to suppor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reusing and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s efficiently. It is proved through interviewing teachers at the chalkface that they utiliz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elem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 기술의 발전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은? 정보 기술의 발전은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을 통해 시스템 안에서 저장․유통되는 데이터와, 데이터들의 의미 있는 조합으로 창출되는 정보, 그 정보를 통해 새로 규정되는 지식으로 집중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기 보존과 재사용의 가치가 있는 디지털 정보자원이 식별되지 못함으로 인해 제대로 수집, 관리되지 못하고 삭제되거나 접근이 불가한 형태로 보존되는 등 관리와 활용이 쉽지 않다(안영희, 박옥화 2009; Rusbridge et al. 2005).
정보 기술의 발전이 의미하는 것은? 정보 기술의 발전은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을 통해 시스템 안에서 저장․유통되는 데이터와, 데이터들의 의미 있는 조합으로 창출되는 정보, 그 정보를 통해 새로 규정되는 지식으로 집중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기 보존과 재사용의 가치가 있는 디지털 정보자원이 식별되지 못함으로 인해 제대로 수집, 관리되지 못하고 삭제되거나 접근이 불가한 형태로 보존되는 등 관리와 활용이 쉽지 않다(안영희, 박옥화 2009; Rusbridge et al.
큐레이션의 핵심개념은 어디에 있는가? 따라서 이용가치가 높은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 공유 및 재사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큐레이션은 정보의 저장과 공유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큐레이션은 생애주기 활동에 의한 데이터의 활동적인 관리이며, 핵심 개념은 재현가능성(reproducibility)과 재사용(re-use)에 있다(Rusbridge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곽승진, 신재민. 2014.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발전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5(4): 499-518.(Kwak, Seungjin and Shin, Jaemin. 2014. "Study on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Library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5(4): 499-518.) 

  2. 김국현. 2012. 소셜 미디어 생태계에 있어서의 큐레이션 및 유통 플랫폼 설계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2012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39(2): 255-257.(Kim, Good Hyun. 2012. "Platform design study of the way data is curated and distributed in the social media ecosystem." Proceeding of The 39th KIISE Fall Conference, 39(2): 255-257.) 

  3. 김성천, 양정호. 2007. 전문성을 지닌 교사리더로 성장하기: 협동학습연구회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7(4): 1-33.(Kim, Seong-Cheon and Yang, Jung-Ho. 2007. "Learning to be a professional teacher leader through teachers active study group."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7(4): 1-33.) 

  4. 김원중, 양재동, 임종태. 2014. 폐쇄형 SNS에서 소셜 큐레이션에 기반한 지식관리 시스템: KUHB. 정보처리학회지, 21(1): 55-59.(Kim, Won-Joong, Yang, Jae-Dong and Lim, Jong-Tae. 2014.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social curation in closed SNS: KUHB."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21(1): 55-59.) 

  5. 김정숙. 2014. 매쉬업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큐레이팅 서비스 시스템.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7(4): 535-545.(Kim, Jung-Sook. 2014. "Video Curating Service System Using Mashup Customization Techniqu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7(4): 535-545.) 

  6. 김평화, 정철. 2012. 초.중고등학교 교수자를 위한 협업적 컨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클리핑 도구와 카테고리 관리. 한국정보과학회 2012 가을학술발표논문집, 39(2A): 60-62.(Kim, Pyunghwa and Chung, Chul. 2012. "Collaborative Content Curation System for K-12 Teachers' Network: Clipping Tool and Category Management." Proceeding of The 39th KIISE Fall Conference, 39(2A): 60-62.) 

  7. 박선화. 2013. RVC 적용 쇼핑 큐레이션 방법 연구: 온라인 침구시장의 상품기획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Park, Sun-hwa. 2013. Research of the RVC applied curation Metho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ens University.) 

  8. 박양하. 2012. 수업 자료 공유를 위한 디지털큐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발표논집, 2012년 11월: 45-64.(Park, Yang-Ha. 2012. "Research of Digital Curation System for Instructional Materials." Proceeding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pring Conference, 2012(November): 45-64.) 

  9. 사사키 도시나오. 2012. 큐레이션의 시대. 한석주 옮김. [서울]: 민음사. (Sasaki Toshinao. 2012. The Era of Curation. (Han Seckchoo, Trans). [Seoul]: Minumsa.) 

  10.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 2011.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 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Seo, Kyoung Hye, Choi, You Kyung and Kim, Su Jin. 2011.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s Online: A Case Study of Online Teacher Community."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2): 257-284.) 

  11. 안영희. 2010. 생애주기 기반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한국기록관리학회 창립10주년 기념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2010년 10월: 91-112.(Ahn, Young-Hee. 2010. "Strategy based on Life Cycle of Digital Curation."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Fall Conference, 2010(October): 91-112.) 

  12. 안영희, 박옥화. 2009.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11-326.(Ahn, Young-Hee and Park, Ok-Wha. 2009. "Digital Curation Strategy for University Libra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311-326.) 

  13. 안영희, 박옥화. 2010. 디지털 큐레이션 정책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167-189.(Ahn, Young-Hee and Park, Ok-Wha. 2010.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Digital Curation Poli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167-189.) 

  14. 염윤정, 최영미, 주문원. 2009. I-Scream: 교수학습 지원 동영상 서비스 모델 개발(1). 2009년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1): 495-498.(Yeom, YunJeong, Choi, YoungMie and Choo, MoonWon. 2009. "I-Scream: Moving Image Service Model for Suppor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1)." '09 Proceeding of Korea Multimedia Society Spring Conference, 12(1): 495-498.) 

  15. 조병호. 2013. 디지털 큐레이션 서비스 동향. 정보통신산업연구원 주간기술동향, 1620(-): 1-10. (Cho, Byung-Ho. 2013. "Services Trend of Digital Curation." The Korea Information & Communication Industry Institute's Weekly Trends, 1620(-): 1-10. ) 

  16. 한나은, 김성희. 2014. 외국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비교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1-24.(Han, Na-eun and Kim, Seonghee. 2014. "Comparative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Foreig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1-24.) 

  17.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5. 국가 디지털 아카이빙 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05-ID-01R-5.(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Archives and Records. 2005. A Study on Developing National Digital Archiving Strategies. [Seoul]: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05-ID-01R-5.) 

  18. Androulakis, S., Buckle, A. M., Atkinson, I., Groenewegen, D., Nicholas, N., Treloar, A., and Beitz, A. 2009. "ARCHER-e-Research Tool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1(4): 22-33. [online] [cited 2014. 3. 5.] 

  19. Ball, A. 2010. Review of the State of the Art of Digital Curation of Research Data. University of Bath. [online] [cited 2014. 10. 8.] 

  20. Beagrie, N. 2006. "Digital Curation for Science Digital Libraries, and Individual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1(1): 3-16. [online] [cited 2011. 10. 10.] 

  21. Beagrie, N. and Pothen, P. 2001. "Digital Curation: Digital Archives, Libraries and e-Science Seminor." Aridne Issue 30, January 2002. [online] [cited 2011. 10. 10.] 

  22. DCC. 2010. Data Dimensions: Disciplinary Differences in Research Data Sharing, Reuse and Long term Viability. DCC SCARP Synthesis Report. [online] [cited 2014. 9. 8.] 

  23. DCC. 2013. Closing the Digital Curation Gap. [online] [cited 2013. 5. 10.] 

  24. DCC. 2014. What is digital curation? [online] [cited 2014. 1. 15.] 

  25. Higgins, S. 2007. ISO 15489. [Edinburgh]: Digital Curation Centre. [online] [cited 2013. 8. 30.] 

  26. Jones, Sarah. 2009. A report on the range of policies required for and related to digital curation. [Edinburgh]: Digital Curation Centre. [online] [cited 2014. 3. 5.] 

  27. Lord, P. and Macdonald, A. 2003. e-Science Curation Report. The JISC Committee for the Support of Research. 

  28. McHugh, A. 2005. Digital Curation Manual: Instalment on Open Source for Digital Curation. [Edinburgh]: Digital Curation Centre. [online] [cited 2011. 10. 10.] 

  29. Robertson, N. D. 2012. "Content Cu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Knowledge Quest, 41(2): 1-5. 

  30. Rosenbaum, S. 2011. 큐레이션: 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이시은 옮김. [서울]: 명진출판. 

  31. Rusbridge, C., Burnhill, P., Ross, S., Buneman, P., Giaretta, D., Lyon, L. and Atkinson, M. 2005. The Digital Curation Centre: a vision for digital curation. Conference report. Local to Global: Data Interoperability- Challenges and Technologies, Mass Storage and System Technology Committee of the IEEE Computer Society. 20-24 June: 31-41. [online]. [cited 2010. 4. 6.] 

  32. UCL(University College London). 2011. [online]. [cited 2011. 11. 24.] 

  33. Walters, T. and Skinner, K. 2011. New Roles for New Times: Digital Curation for Preservation. Washington: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online] [cited 2014. 9. 8.] 

  34. Whittingham, J., Huffman, S., Rickman, W. and Wiedmaier, C. 2013. Technological Tools for the Literacy Classroom. IGI Global. [online] [cited 2014. 5. 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