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백피(Morus alba root barks)로부터 페놀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L.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8 no.2, 2015년, pp.153 - 155  

정재우 (Graduate School of Biotechnology and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Biotechnology, Kyung Hee University) ,  박지해 (Graduate School of Biotechnology and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Biotechnology, Kyung Hee University) ,  서경화 (Graduate School of Biotechnology and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Biotechnology, Kyung Hee University) ,  오은지 (Graduate School of Biotechnology and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Biotechnology, Kyung Hee University) ,  백윤수 (Graduate School of Biotechnology and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Biotechnology, Kyung Hee University) ,  이대영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임동욱 (Division of Matabolism and Functionality Research,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한대석 (Division of Matabolism and Functionality Research,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백남인 (Graduate School of Biotechnology and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Biotechnology, Kyung He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뽕나무(Morus alba L.) 뿌리껍질을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OAC, n-BuOH, 그리고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및 n-BuOH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phenolic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IR, 및 EI/MS 등을 해석하여, norartocarpanone (1), 2',4',7-trihydroxy-(2S)-flavanone (2), methyl-${\beta}$-resorcylate (3), 그리고 (Z)-oxyresveratrol-4-O-${\beta}$-$\small{D}$-glucopyranoside (4)로 각각 구조동정하였다. 화합물 (Z)-oxyresveratrol-4-O-${\beta}$-$\small{D}$-glucopyranoside (4)는 상백피로부터는 이번 실험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ot barks of Morus alba L. were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fractions. The repeated silica gel, octadecyl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of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led to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상백피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을 분리하고 각 물질에 대한 성분분석을 통해 상백피의 의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자 등은 상백피로부터 용매추출, 용매분획, 및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5종의 triterpenoid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여 보고한 바 있으며(Jung 등, 2014), 이번 실험에서는 4종의 phenolic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상백피에 대해 수행한 실험은? 상백피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을 분리하고 각 물질에 대한 성분분석을 통해 상백피의 의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자 등은 상백피로부터 용매추출, 용매분획, 및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5종의 triterpenoid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여 보고한 바 있으며(Jung 등, 2014), 이번 실험에서는 4종의 phenolic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화합물 4 (Brown amorphous powder)는 어떤 작용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는가? 화합물 4 (Brown amorphous powder)는 EI/MS에서 m/z 406[M]+의 분자이온 peak가 관측되어 분자량을 406으로 결정하였다. IR 스펙트럼으로부터 수산기(3391 cm−1)와 이중결합(1608, 1594 cm−1)의 작용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H-NMR (400 MHz, CD3OD) spectrum에서는 저자장영역에서 olefin methine proton signal (δH 6.
상백피에서 얻어진 EtOAc 분획으로부터 무엇을 얻었는가? 이전에 보고된 바와 같이 상백피에서 얻어진 EtOAc 분획(122 g)으로부터 SiO2 column chromatography (c.c.) (12.5×17 cm, n-hexane-EtOAc=4:1→2:1→1:1→chloroform (CHCl3)- MeOH=10:1, 각 27 L)를 실시하여 41개의 분획물(MRE-1-MRE41)을 얻었다. MRE-28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Hakim EH, Achmad SA, Aimi N, Indrayanto G, Kitajima M, and Makmur L (2004) Regioselective glucosylation of oxyresveratrol by cell suspension cultures of Solanum mammosum. J Chem Res 2004, 706-7. 

  2. Jung JW, Park JH, Jung YJ, Lee CH, Han D, and Baek NI (201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riterpenoids from the Mulberry (Morus alba) root bark. J Appl Biol Chem 57, 295-9. 

  3. Kang KB, Kim SD, Kim TB, Jeong EJ, Kim YC, Sung JH et al. (2011) Tyrosinase inhibitory constituents of Morus bombycis cortex. Natl Prod Res 17, 198-201. 

  4. Zheng ZP, Chem S, Wang S, Wang XC, Cheng KW, Wu JJ et al. (2009) Chemical components and tyrosinase inhibitors from the twigs of Artocarpus heterophyllus. J Agric Food Chem 57, 6649-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