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opolis의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in vitro 항균 효과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propoli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8 no.2, 2015년, pp.65 - 70  

허강준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원태경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신기욱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생체안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 vitro antimicrobial effects of propolis against six different fish bacterial pathogens, Aeromonas hydrophila, Edwardsiella tarda, Vibrio vulnificus, V. parahaemolyticus, A. salmonicida subsp. masoucida, A.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using minimum inhibi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항균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벌꿀의 프로폴리스를 대상으로 하여 주요 어병 세균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함으로써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수산용 천연약재의 개발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은 Serra Bonvehi 등(1997) 이 15가지의 다른 수종에서 얻은 프로폴리스의 분석과 활성물질 및 식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그 성분 중 Acacetin과 Apigenin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Pinocembrin, Quercetin, Rutin, Vanillin 등이 적은 양으로 존재하며, Bacillus subtillis과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하여 Tetracycline보다 53배,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는 400배 정도로 높은 항균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프로폴리스란 무엇인가? 프로폴리스의 뜻은 그리스어인 pro (before)와 polis (city)의 합성어이며 꿀벌들이 벌집 입구에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벽을 쌓는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Bankova 등, 2000). 꿀벌이 식물에서 분비되는 물질을 수집하고 이것을 꿀벌 타액의 효소와 혼합하여 육아봉의 큰 턱샘에서 만들어 낸 프로폴리스는 박테리아와 균류에 약효가 있는 천연항생물질이다. 꿀벌은 이것을 봉군보호를 위하여 벌동내부의 오염되기 쉬운 곳에 바르고 오염균류나 바이러스 및 외적을 방어하는데 활용한다.
어류의 세균성 질병을 야기하는 병원성 세균 중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의 종류는? 양식어류 사육에 있어서 상재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항생제의 무분별한 오남용이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내성균의 출현 문제가 우리나라는 물론 외국에서도 매우 높은 빈도로 보고되고 있다(Aoki 등, 1973; 이 등, 2003; 김 등, 2010; Blackburn 등, 2010). 양식어류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 중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으로 Aeromonas hydrophila (Aoki 등, 1971b), A. salmonicida (Aoki 등, 1971a), Vibrio spp. (Aoki 등, 1973), Edwardsiella tarda (Aoki와 Egusa, 1977) 등 대부분의 그람음성균과 그람양성균인 Streptococcus spp. 등이 포함되어 있다(Aoki 등,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명석, 서정수, 박명애, 조지영, 황지연, 권문경, 정승희. 2010.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 Vibrio spp., Streptococcusspp.의 항균제내성 경향. 한국어병학회지 23(1): 37-45. 

  2. 김아라, 김도균, 변태환, 조은지, 이은우, 권현주, 김병우, 김태훈, 이경본, 김영만. 2011. 어병세균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8(1): 87-90. 

  3. 김병문. 2007.프로폴리스 농도가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석사), 강원대학교 화학공학과. 

  4. 박호용, 오현우, 박두상, 장영덕. 1995. 한국산 봉교 추출물의 항생활성. 한국양봉학회지 10(1): 53-56. 

  5. 윤효인, 배순이. 1998. 양파외피 추출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성 검색.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의과학 연구지 6(1): 25-29. 

  6. 이재인, 한기영, 박홍현. 2003. 수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분리특성 및 항생제 감수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6(2): 111-115. 

  7. 정승희, 손영찬, 김이청. 2001. 식물성 생 약재 열수추출물이 어병 원인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넙치식세포의 활성산소생산에 미치는 in vitro효과. 한국어병학회지 14(1): 3-10. 

  8. 장동석. 2000. 수산식품위생학. 정명당, 부산: 157-159. 

  9. 한상미, 이광길, 박관규. 2011. 국내산 봉독의 어류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어병학회지 24(2): 113-120. 

  10. 허강준, 강진휘, 신기욱. 2013. 원저: 어류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curcumin의 항균효과.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6(4): 297-301. 

  11. Aoki T, Egusa S, Kimura T, Watanabe T. 1971a. Detection of R factors in naturally occurring A. salmonicida strains. J Microbiol 22: 716-717. 

  12. Aoki T, Egusa S, Ogata Y, Watanabe T. 1971b. Detection of resistance factors in fish pathogen A. linquefaciens. J Microbiol 65: 343-349. 

  13. Aoki T, Egusa S, Watanabe T. 1973. Detection of R+ bacteria in cultured marine fish, yellow tails. J Micobiol Immunol 21: 77-83. 

  14. Aoki T, Takami K, Kitao T. 1990. Spread of drug resistant strains of Streptococcus sp. in yellow tail farms. The 2nd Asian Fisheries Forum. manila: 697-699. 

  15. Bankova VS, de Castro SL, Marcucci MC. 2000. Propolis: recent advances in chemistry and plant origin. Apidologie 31(1): 3-16. 

  16. Beuchat LR. 1976. Sensitive of Vibrio parahaemolyticus to spices and organic acids. J. Food Science. 41(4): 899-902 

  17. Blackburn KJ, Mitchell AM, Blackburn HM, Curtis A, Thompson AB. 2010. Evid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in free swimming, top-level marine predatory fishes. J Zoo and Wildlife Med 41(1): 7-16. 

  18. Choi HS, Kim JS, Jang DS, Yu YB, Kim YC, Lee JS. 2005.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lla Rhois extract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Journal of fish pathology 18(3): 239-245. 

  19. Han JS, Shin DH. 1994. Antimicrobial effect of each solvent fraction of Morus alba Linne, Sophora flavescens alton on Listeria monocytoge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39-544. 

  20. Hisae M, Isao K. 1993. Bactericidal activity of anacardic acid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their potentiation. J Agric Food Chem 41: 1780. 

  21. Johnson MG, Vaughn RH. 1969. Death of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in the present of freshly reconstituted dehydrated garlic and onion. Appl. Microbiol. 17(6): 903M. 

  22. Kim YG, Rho BJ, Lee KK. 1994. Antimicrobial activity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ssential oil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J Fish Pathol 7: 113-117. 

  23. Kim YG, Rho BJ, Lee KK. 1994. The dietary supplementing effects of Kugija, Lycium chinense, on immune respons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Edwardsiella tarda. J. Fish Pathology 12: 73-81. 

  24. Krell R. 1996. "Value-added products from beekeein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25. Lee KK, Lee JY. 2001. Effect of plant extracted essential oil on antimicrobial activity for fish pathogens. J Aquac 14(2): 81-87. 

  26. Lorian MD. 1986.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2 ed. Willams and Wilkins. Baltimore MD: 89-94. 

  27. Mi-Ra Jo, Jin Woo Kim and Dong Soo Kim. 2002. Antimicrobial effects of natural plant and mushroom, Dicyophora indusiata extracts on fish pathogenic bacteria. J. korea Fish. Soc. 35(6): 578-582. 

  28. Mok JS, Song KC, Choi NJ. 2001. Antibacterial effect of fish diet soaked in Salvia miltiorriza extract. J Aquac 14: 157-163. 

  29.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30. Serra Bonvehi J, Escola Jorda R. 1997. Nutrient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honeybee-collected pollen in Spai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5(3): 725-7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